[include(틀:KT)] [include(틀:kt스포츠)] ||<-2> '''{{{+1 kt 롤스터}}}''' || ||<-2> '''{{{#fff kt Rolster}}}''' || ||<-2> [[파일:kt 롤스터 로고.svg|width=300&theme=light]][[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width=300&theme=dark]] || || '''창단''' ||[[1999년]] [[12월 30일]] || || '''지역'''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대표''' ||이창호|| || '''단장''' ||김상태|| || '''디렉터''' ||신기혁|| ||<|3> '''종목'''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리그 오브 레전드]] ||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 || ||[[FC 온라인]][* [[PGxKT|PLAYGROUND]]라는 팀을 후원해주는 형식으로 운영중] || || '''링크''' ||[[http://kt-sports.co.kr/sports/site/esports/rolster/bi.do| [[파일:kt 롤스터 심볼.svg|width=25]]]] [[https://rolster.bstage.in/|[[파일:비스테이지 아이콘.svg|width=20]]]][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trolster_tw, 크기=20)] [[https://www.instagram.com/ktrolstagra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ktesport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8FErYSi74YwGUAoTpjvgz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위치'''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3로 36 리버타워 207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영등포 리버타워, 너비=100%, 높이=225px)]}}} || [목차] [clearfix] == 개요 == [[KT]]를 모기업으로 삼는 [[e스포츠]] 프로게임단. [[1999년]] [[12월 30일]] 당시 ⓝ016 온라인 프로게임단으로 창단하였으며 이는 전 세계 프로게임단 중 3번째이자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cartoon&no=605885|프로게임단]]'''이다.[* 이보다 역사가 긴 프로게임단은 [[퀘이크]] 클랜을 모체로 [[1997년]]에 설립한 [[SK Gaming]]과 [[Evil Geniuses]] 뿐이며, EG는 게임단으로서의 정식 발족은 [[1999년]]이라고 공식 홈페이지에서 언급하고 있다. 이 뒤로는 [[2000년]]에 창단한 [[Team Liquid]]와 [[Ninjas in Pyjamas]]가 있으며, 이 외에 비슷한 시기에 창단된 팀은 대부분 해체되었다.] 초기에는 [[FIFA 시리즈|FIFA 종목]]이 스타보다 더 강세를 보였다. [[스타크래프트]]에는 남유성, 한정근, 권태규(여자선수)등 [[스타크래프트]] 선수들이 있었으며 [[임성춘]]이 몸담은 적도 있다. 한정근과 같은 선수는 온겜이나 엠겜에서 두각을 나타내진 못했을 뿐[* 온게임넷 스타리그 16강 진출 1회가 끝.], 이 당시 KT 스타전력이 결코 약한 것은 아니었으며 당시 존재하던 [[KIGL]]과 같은 종목에서 상위권 성적을 기록했던 게임단이다. 다만 FIFA의 [[이지훈(e스포츠)|이지훈]]이 워낙 압도적인 괴물이라서 이지훈이 대표 선수 이미지가 강했을 뿐. 게다가 당시 KT 선수들이 [[온게임넷]]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한 것은 그당시 온게임넷 측에서는 스폰서 부착이 금지되어서 당시 존재하던 대기업 게임단이던 KT와 [[삼성전자 칸]]에서는 온게임넷 스타리그에 선수들을 내보내지 않았기 때문이며, 이는 모기업 홍보를 할 수 없는 대회에 선수를 참가시킬 이유가 없었다는 원인이 있었다. [[2001년]] [[3월 21일]]에 [[한국통신프리텔]]-[[한국통신엠닷컴]]의 통합 무선인터넷 브랜드명을 활용한 팀명인 'KTF magicⓝs'(KTF 매직엔스)로 재창단되면서, 각 팀의 에이스들을 영입하면서 게임계의 [[레알 마드리드]]라는 별칭을 갖게 되었'''었'''다. 잠시 [[Lunatic-Hai]]를 인수하여 [[카운터 스트라이크]]에도 출전했고, 2009년에는 [[스페셜 포스]] 팀이 추가되었으나 2012년에 [[스페셜 포스 2 프로리그]]가 폐지되면서 스페셜 포스 팀은 해체된다. 2012년 9월부터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단을 창단한다는 소문이 돌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진 [[스페셜 포스 2]]의 대체제가 필요한 상황이긴 하다. 그리고 2012년 10월 10일 LoL 팀 창단 발표가 났다. [[http://www.thisisgame.com/board/view.php?category=13438&id=1307325|#]] 그러던 2021년 3월 25일, LoL 팀의 프랜차이즈화가 진행된지 반년도 채 지나지 않았음에도 갑작스럽게 게임단 매각을 추진 중이라는 기사가 올라와 큰 충격을 주고 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11&aid=0003888223|#]] 일단 구단 측에서는 [[http://naver.me/xH2gmFcD|사실무근]]이라고 일축한 상태이지만 또 다른 언론에선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4519419|#]] [[T1]]처럼 e스포츠 팀을 독립해 투자 유치하는 방안도 있다는 식의 기사도 나와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여진다. [[2021년]] [[6월 8일]], [[LCK]] 팀 최초로 [[와일드 리프트]] 팀을 창단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3&aid=0010540586|#]] 2022년 8월, [[FIFA 온라인 시리즈]] 프로게임단 [[kt 롤스터/FC 온라인|PLAYGROUND]]의 [[네이밍 스폰서]]를 맡게 되었다. == 운영 중인 프로게임단 == ||<-3>
<#FFF> [[kt 롤스터|[[파일:kt 롤스터 로고.svg|height=70]]]] || ||<-3> '''{{{#FF0A07 운영 중인 게임단}}}''' || || [[리그 오브 레전드|[[파일:league-of-legends.png|height=50]]]] ||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파일:wildriftwhitelogo.png|height=50]]]] || [[FC 온라인|[[파일:FC ONLINE.svg|height=50]]]] ||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FF0A07 kt Rolster}}}''']][br][[kt 롤스터 챌린저스|'''{{{#FF0A07 kt Rolster Challengers}}}''']][br][[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s-9.2|'''{{{#FF0A07 kt Rolster Academy}}}''']] || [[kt 롤스터 Y|'''{{{#29cdc7 kt Rolster Y}}}''']] || '''[[kt 롤스터/FC 온라인|'''{{{#FF0A07 kt Rolster}}}''']]'''[* 네이밍 스폰서십] || ===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 === 와일드 리프트 프로게임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t 롤스터 Y)] === FC 온라인 프로게임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t 롤스터/FC 온라인)] 플레이그라운드 네트워크가 운영하는 FC 온라인 게임단에 후원을 하고있다. == 콘텐츠 크리에이터 == ||<-3> [[kt 롤스터|[[파일:kt 롤스터 로고.svg|width=60]]]] || || '''{{{#ff0a07 아이디}}}''' || '''{{{#ff0a07 이름}}}''' || '''{{{#ff0a07 링크}}}''' || || '''Lorem Ipsum''' || [[로렘입숨(유튜버)|로렘입숨]] || [[https://www.twitch.tv/loremipsumkorea|[[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O4WDEqWjzJJ7Hte6x6eL5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해체된 프로게임단 == ===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임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 === 스페셜 포스 프로게임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t 롤스터/스페셜 포스)] === FIFA 프로게임단 === kt 롤스터의 모태팀이자 前 kt 롤스터의 총 감독인 [[이지훈(e스포츠)|이지훈]]이 프로게이머 시절 여기 소속이었다. 한창 때 이지훈이 혼자서 개인리그 우승 '''18회'''를 하면서 현재 kt 롤스터의 우승 기록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 카운터 스트라이크 프로게임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unatic-Hai/카운터 스트라이크)] 잠시 [[Lunatic-Hai]]를 인수하여 운영한 적이 있다. 하지만 당시의 유명했던 대회인 '한-중 사이버게임(China-Korea Cyber Games: CKCG)' 대회 기간에 맞춰서 딱 2개월만 잠깐 했던 것으로 단기 후원으로 볼 수 있다. == 기타 == * KTF 시절에는 약칭 케텝, 별명 케찹. 막장 시절[* 2006년 후기 + 2007년 전체를 포함, 2008년에는 그나마 숨통이 트이면서 08-09 팀이 부활한다.] 에는 꼴텝 또는 먹텝[* 그 당시 신예였던 이영호 또는 김윤환을 제외한 2004년 내에 데뷔한 선수들 한정.]. KT 롤스터로 개명하고 나서는 주로 케티, 키티, 킅으로 불리고 있다. * 스타크래프트 시절 [[데미소다]][* 2006~2008 초반 유니폼 소매에 데미소다 후원 마크가 달렸다.]와 [[포카리스웨트]]가 협찬[* 얼마 안가서 데미소다가 라이벌 통신사 팀인 [[SKT T1/스타크래프트|T1]]에도 협찬을 하기도 했었다. T1도 나중에 유니폼을 바뀔때 포카리스웨트가 후원을... 데미나 포카리가 제조하는 곳이 똑같은 회사인 [[동아오츠카]] 라서 그렇다.]을 했었다. 그리고 [[이영호]]가 잘 나갔을때 경기때마다 포카리스웨트를 마셔서 그의 포카리는 [[도핑]]과 같다는 말도 나왔었다. === 팀 이름 === 긴 시간 사용하던 KTF 매직엔스라는 이름은 [[KTF]]가 KT와 통합되면서 임시로 KT 매직엔스로 변경. 이후 2009년 8월 KT 로고가 바뀜과 동시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44&oid=236&aid=0000014768|KT 핑거붐]]으로 팀명을 교체했으나 핑거붐의 어감이 영어 슬랭으로 여성기를 손가락으로 애무한다는 뜻인 [[https://en.wiktionary.org/wiki/fingerbang|핑거뱅]]과 비슷 내지는 한층 더 파워풀한 느낌이었다는 것이 밝혀져[* 딸딸이라는 단어를 알면 폭딸이란 단어는 어떻게 느껴지는가? 대강 그런 차이다.] 논란을 낳았고, 팬들의 반응도 매우 안 좋아서 핑계거품, 핑거품 등의 별명으로 대차게 까이면서 [[흑역사]]로 전락. [[부산 kt 소닉붐|같은 모 기업에 운영한 KT 농구단]]의 ~~우주복~~ 초창기 마스코트와 함께 희대의 삽질작이 되었다. 본래 의도는 [[의도는 좋았다|마우스와 키보드를 조작하는 손가락으로 붐을 일으키고 새로운 신화를 만들어간다는 의미로 지었으나]], 하필이면 안좋은 의미와 겹쳐져서... 그 후에 팀명 투표를 통해 팬투표가 실시됐는데 기호 '''2번'''인 롤스터가 높은 팬투표를 얻어 롤스터가 확정되었다. 여기서 롤스터는 '[[롤러코스터]]'의 준말이라고 한다.[* 처음 이 이름이 나왔을땐 '이렇게 올라가다가 얼마나 낙하하려고'라며 이름이 좀 그렇다는 이들도 있었으나 이 이름으로 바꾼 후 KT는 쭉 상승세다. ~~하지만 앞날은 모르는 거다~~ 는 정말로 15-16 시즌 동안 기량이 위아래로 왔다갔다해서 이름 따라가는 구단이 되었다.] 핑거붐보다는 낫지만 이거도 역시 차라리 KT에서 밀어주는 [[olleh|올레]]KT로 하자는 평이 자자했다. 실제로 [[이지훈(e스포츠)|이지훈]] 감독은 우승 후 포모스 기자단에게 기사 제목을 '''올레 KT, 광안리를 접수하다'''라고 해달라고 요청했을 정도. 그래도 핑거붐만큼의 논란 없이 그럭저럭 잘 정착해나갔다. 참고로 기호 1번 팀명은 '''알파붐'''이었다. 핑거붐으로 망신사고도 붐에 미련을 보이는 그들의 속내는 과연 무엇인가 싶었는데, 같은 [[KT|모기업]]의 [[농구]]팀명이 공개되고 모든 것이 풀렸다. 농구팀 이름은 '''[[부산 kt 소닉붐]]'''.[* 2021년 수원시로 연고지를 이전해서 수원 kt 소닉붐으로 불리고 있다.] 과거 '매직엔스'와 '매직윙스'처럼 '매직'으로 통일했던 전례에 맞춰 '붐'으로 통일하려 했던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그렇지 왜 하필 '[[붐]]'일까...~~ ~~momboom~~ === 유니폼 변천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t 롤스터/유니폼)] === 로고 변천사 === || [[파일:KTF 극초기로고.jpg|width=100%]] || [[파일:attachment/KTF2.gif|width=100%]] || [[파일:ktf매직엔스후기로고.png|width=100%]] || [[파일:kt핑거붐 로고.jpg|width=100%]] ||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width=100%]] || [[파일:kt 롤스터 로고.svg|width=100%]] || || '''KTF 매직엔스[br]초기 로고''' || '''KTF 매직엔스[br]중기 로고''' || '''KTF 매직엔스[br]후기 로고''' || '''흑역사 취급 받는[br]KT 핑거붐 로고''' || '''2009년 KT 통합 이후[br]12년 동안 사용했던[br]kt 롤스터 구 로고'''[* 12년이나 쓰이다 보니 말년에는 촌스럽다는 반응도 있었지만, 라이벌 SKT보다는 훨씬 적었다.] || '''2021년 6월 변경된[br]kt 롤스터 신 로고''' || 2021년 6월까지 달려있던 로고의 별은 우승 10회에 하나씩 다는 것이다. 한동안 2개를 달고 있었으나 스타크래프트 2 팀이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4]]를 우승하면서 3번째 별을 달게 되었다. 2021년 6월 3일, kt 롤스터로 팀명이 바뀐 지 12년 만에 로고를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241&aid=0003123403|교체했다.]] 우승 횟수를 나타내던 별 3개가 사라지고, 알파벳 R과 별을 조합한 간결한 형태로 변경되었다. 새 로고는 2021 LCK 서머부터 사용되며, 2022년부터는 유니폼에도 적용되었다. === 우승 커리어 === [[이지훈(e스포츠)|이지훈]] 전 KT 감독이 선수 시절 기록한 우승과 이윤열이 임대 시절 기록한 우승을 제외하면 3년여 동안 우승을 하지 못했고, 팀 단위 리그 우승은 09-10 시즌에 기록한 것이 최초이다. 한 때는 황신의 저주가 강림하여 kt는 영원히 우승을 못한다는 이야기가 지배적이었지만 지금은 옛날 이야기. ~~근데 황신이 없어서 우승을 한 거일수도 있다. 방심은 금물. 진정한 저주 해제는 황신과 함께 해야 한다!~~[* 이 말은 황신이 돌아온 이후에 벌어진 위너스 리그 결승전에서 KT가 SK텔레콤 T1에게 무참히 패배하면서 붙은 말이다.] 별 1개를 달려면 우승 횟수 10개가 필요하다. ~~[[홍진호|어 그럼 KT 별 10개 넘어가잖아]]~~ 그리고 2014년 프로리그 우승으로 드디어 30번째 우승을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팀 로고의 별도 3개로 늘어났다. 2020년 기준 팀 소속 개인 + 팀 리그의 우승 횟수는 39회. 그러나 이러한 별의 전통은 2021년 팀 로고가 변경되면서 사라졌고, 같은 해 [[Rolster Y]]가 WCK 우승을 하면서 40, 41번째 우승을 했으나 로고의 별이 늘어날 일은 없어보인다. --애초에 흑역사 뺀 기준으로는 36번째라서 상관없긴 했다-- ||<-3> {{{#white '''kt 롤스터 우승 현황'''}}} || ||<:> '''{{{#ffffff 선수명}}}''' ||<:> '''{{{#ffffff 대회명}}}''' ||<:> '''{{{#ffffff 비고}}}''' || || [[이지훈(e스포츠)|이지훈]] 전 감독[br](18회) ||FIFA 개인리그 18회 우승 || [* [[프로게이머]] 현역 시절 달성] || || --[[이윤열]][br](2회 우승)--[* 임대 시절] ||[[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br][[스타우트&배스킨라빈스배 KPGA 투어 4차 리그]] || [* KTF 시절이 아닌 임대 선수 시절로 본선에 올라간 기록은 인정되지 않는 모양이다. 이윤열의 우승을 뺐을 때 프로리그 2014에서 30회 우승이 딱 완성된다.] || ||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br](1회 우승) ||[[CYON MSL]] || [* KTF 창단 첫 개인리그 우승] || || [[이영호]][br](6회 우승) ||[[박카스 스타리그 2008]][br][[EVER 스타리그 2009]][br][[하나대투증권 MSL]][br][[빅파일 MSL]][br][[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br][[ABC마트 MSL]] || || || ~~[[박찬수]][br](1회 우승)~~ ||~~[[로스트사가 MSL 2009]]~~ || [* 승부조작 사건으로 흑역사. 이후에 연습실에 걸려있는 단체사진엔 박찬수만 ~~[[볼드모트|새키맣게]]~~ 매직으로 [[흑역사|칠해져]] 있었다.] || || [[주성욱]][br](3회 우승) ||[[2014 WCS Korea Season 1·HOT6 GSL Season 1]][br][[2014 KeSPA Cup]][br][[2016 HOT6 GSL Season 1]] || || || ~~[[이승현(1997)|이승현]][br](1회 우승)~~ ||~~[[2015 GSL Season 1]]~~ || [* 승부조작 사건으로 흑역사.] || || 팀 단위[br](8회 우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br][[스페셜 포스 2 프로리그#s-4.4|생각대로T 스페셜포스 프로리그 2010 시즌 2nd]][br][[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br][[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4]][br][[HOT6 Champions Summer 2014]][br][[2017 LoL KeSPA Cup]][br][[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br][[2021 Wild Rift Champions Korea]][br][[2022 Wild Rift Champions Korea Spring]] || || || '''총합''' ||<-2> 41회 우승 || [[분류:kt 롤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