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KT]][[분류:2008년 기업]] [include(틀:KT)] ||<-2>
{{{+1 {{{#ffffff '''kt ds'''}}}}}} || ||<-2> [[파일:kt ds 로고.svg|width=45%]] || || {{{#ffffff '''정식 명칭'''}}} ||주식회사 케이티디에스 || || {{{#fff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ffffff '''업종명'''}}} ||컴퓨터시스템 통합 자문 및 구축 서비스업 || || {{{#ffffff '''설립년도'''}}} ||[[2008년]] [[8월 1일]] || || {{{#ffffff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176([[방배동]]) ktds사옥) || || {{{#ffffff '''대표이사'''}}} ||우정민 || || {{{#ffffff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 || {{{#ffffff '''주요 주주'''}}} ||[[KT|{{{#!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fff;" [[파일:KT 로고.svg|width=20]]}}}]] : 95.31% || || {{{#ffffff '''모기업'''}}} ||[[KT|{{{#!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fff;" [[파일:KT 로고.svg|width=20]]}}}]] || || {{{#ffffff '''매출'''}}} ||4,285억 1,328만원 (2019.12) || || {{{#ffffff '''직원 수'''}}} ||1,367명 (2020.12) || || {{{#ffffff '''링크'''}}} ||[[https://www.ktds.com|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KT]] 계열 IT서비스 업체로, 2008년 8월 KT본사의 IT관련 부서가 분리되어 설립된 회사. KT및 KT계열사의 IT시스템을 대부분 담당하여 개발하고 있다. 특히 KT의 통신 관련 서비스, 빌링 시스템 등 대부분의 통신 관련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다. 이외에도 기가지니, 기가IOT, KT Enterprise 등 KT에서 진행하는 굵직한 사업들도 kt ds의 주도 하에 진행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KT 구현모 대표이사가 2021년 신년사에서 언급했듯 KT그룹 전체적으로 Telco(기존 통신 기업) -> Digico(디지털 플랫폼 기업) 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고, Digital Transformation이라는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대대적인 조직 개편에 들어가 앞으로 ktds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대기업 계열사(삼성 SDS, LG CNS, SK C&C등)들 중 오픈소스에 관련한 활동을 가장 많이 추진하고, 또 성과를 내는 기업이다. --물론 위 회사들과 비교는 크나큰 실례이다-- == 역사 == KT에서 분사된 회사이므로, 2008년 8월 1일 까지는 KT와 역사를 공유한다. 분사 이전 핵심 연혁으로는 아래와 같다. 1998.01 KT 정보시스템본부 발족 2001.12 kt 사명 변경(구 한국전기통신공사) 2002.06 kt 고객통합시스템(ICIS) 구축 2003.10 kt 전사 자원관리시스템(ERP)구축 kt IT 본부로 개편 구 KTF 고객관계관리시스템(CReaM)구축 2004.11 kt 전사정보인프라시스템(EDW) 구축 2005.05 kt 종합망관리시스템(NeOSS) 구축 2006.11 국내 통신업체 최초 IT 서비스 전부문 ISO20000 인증 획득(구KTF) 2006.12 정보시스템부문 CRM 분야 CMMI 레벨 4 인증 획득(구KTF) 2007.08 CMMI 레벨 5 인증 획득(KT) 2007.11 IT 서비스 전부문 ISO20000 인증 획득(K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