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kt wiz)] [include(틀:kt wiz)] [목차] == 개요 == 이 문서는 [[kt wiz]]의 역대 암흑기를 다룬 문서이다. == 1차 암흑기 (2015~2019, AAA96) == 이 1차 암흑기는 MLB의 후발주자 신생팀이 으레 겪어왔던 초반 부침과 흐름이 유사하다. 어메이징 메츠라고 [[1969년 월드 시리즈|칭송]]받던 [[뉴욕 메츠]]도, 캐나다 최초의 MLB 월드 시리즈 우승팀인 [[토론토 블루제이스]]도, 아메리칸 리그 동부지구를 지옥의 지구로 만들어버린 [[탬파베이 레이스]]도 처음에는 이런 시절을 겪어 왔다. 일본도 사정이 다르지는 않은데, 2005년 처음 1군에 참가했던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첫 시즌을 보면 이 팀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진 않았다. === [[kt wiz/2015년|2015년]]: 10위 === [[kt wiz/2015년|2015년에는]] 1군 승격 첫 해였는데, 이 해 꼴찌를 기록했다. 개막 후 11경기를 내리 졌고, 29경기 3승 26패에 그치며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100패]]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이후 8월 월간승률 5할을 달성하는 등 승수를 쌓아가며 일찌감치 100패에서 벗어났다. 이 해의 의의는 1991 쌍방울과 2013 NC와 신생팀 최다 타이 승을 기록한 것이다.[* 물론 경기 수가 다르기에 승률은 KT가 제일 낮고, 순위도 쌍방울은 LG와 공동 6위(당시 8위 OB), NC는 7위(당시 8위 KIA, 9위 한화)였지만 KT는 꼴찌였다.] === [[kt wiz/2016년|2016년]]: 10위 === [[kt wiz/2016년|2016년]]에는 반짝했으나 이내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DTD]]를 시전하며 꼴찌를 기록했다. === [[kt wiz/2017년|2017년]]: 10위 === [[kt wiz/2017년|2017년에는]] '''단독 1위'''까지 기록했지만... 역시 또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DTD]]를 시전하며 꼴찌로 추락, '''3년 연속 꼴찌'''라는 비참한 기록을 세우며 내년을 기약할 수 밖에 없게 됐다. 최대 승패마진 차이가 50으로, 126경기에 승패마진 차이가 31이었던 [[타이거즈는 어떻게 다시 강팀이 되었나|2013년 KIA]]를 능가하는 수준이다. === [[kt wiz/2018년|2018년]]: 9위 === [[NC 다이노스/2018년/9~10월|NC의 9월 초반 선전]]과 9월 초 kt의 부진으로 [[kt wiz/2018년/9~10월|9월 중반 결국 다시]] 꼴찌를 기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NC도 9월말 부진에 빠져 반경기 차로 9월 30일에는 9위를 기록했다. 10월 1일 휴식일 기준으로 kt가 8경기, NC가 5경기 남아있어서 kt가 3경기 더 남아있는데 만약 승차가 없어지면 무승부수가 많은 kt가 10위가 된다. 여전히 [[AAA]]를 넘어 [[AAAA]]로 갈 위기다. kt가 전승하면 NC가 아무리 잘해도 kt가 9위를 하지만, kt가 전패하면 NC가 아무리 못해도 kt가 10위가되는 상황이 되었다. 만약 또 kt가 10위면 2000년대 초 [[8888577|4년 연속 나무숟가락을 수집]]한 롯데와 타이기록을 세우게 된다. ~~10위만 네번 four ten 터질 판~~ 하지만 [[멜 로하스 주니어|로하스]]의 하드캐리로 이 날 한화에게 패배한 NC와의 게임차를 2경기로 마무리하면서 기어이 탈꼴찌에 성공했다. 최종전 직전의 탈꼴찌 경우의 수였다.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eb1c24)" {{{#ffffff '''탈꼴찌 경우의 수'''[* 무승부는 빼고 계산하였다. 실질적으로 매직넘버는 '''0.5'''다.]}}}}}} || || {{{#ffffff '''kt 경우의 수'''}}} || '{{{#ffffff NC 경우의 수}}} || {{{#ffffff 최종순위}}} || ||<|2> '''승시(.418)''' || 승시(.413) ||<|3> '''{{{#ffffff 9위}}}''' || || '''패시(.406)''' || ||<|3> 패시(.411) || 패시(.406) || || 승시(.413) || {{{#ffffff 10위}}} || 대망의 최종전, kt가 이기고 NC가 지면서 최종적으로 2게임차 9위를 기록하였다. === [[kt wiz/2019년|2019년]]: 6위 === 꼴찌는 면했지만 꼴찌권이기에 만년 꼴찌라는 오명을 벗으려면 못해도 중하위권 정도의 성적은 거둬야 할 듯 싶다. 과연 2019년은 다를까? 일단 4월부터 최하위로 추락했으나 5월 7일 롯데전을 기점으로 각성하면서, 5월말~6월까지 7위 언저리에서 머물고 있다. 그러다 6월 말부터 부진하고 있는 삼성을 제치고 6위 자리에 올라섰고, 7월 5일 기점으로 5위 NC와의 게임차를 2경기까지 좁히면서 구단 창단 이래 첫 가을야구 진출의 꿈을 키우고 있었다, 하지만 2019년 9월 24일 NC가 자력으로 5위 매직넘버를 지움으로써 KT는 6위가 확정되어 올시즌도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하게 되었다. 비록 올시즌도 포스트시즌에 나갈 수 없게 되었지만, 그래도 6위로 그것도 NC와 막판에 5위 경쟁을 했고, 창단 첫 5할 승률로 시즌을 마감하며 의미가 큰 시즌을 보냈다. 만약 유일한 극열세 팀이었던 LG(3승 13패)와의 경기에서 반타작만 했더라면 가을야구에 갈 수 있었으니 아쉬울 수 밖에 없다. === [[kt wiz/2020년|2020년]]: 암흑기 탈출 === 만약 이 해에도 못 진출하면, 비밀번호를 쓰는 5번째 구단[* 첫 번째는 [[6366677]](1982~1988, [[삼청태현|삼청태]] 시절)을 찍은 [[현대 유니콘스]], 두 번째는 453566(1984~1989, [[MBC 청룡]] 시절)과 [[6668587667]](2003~2012)을 찍은 [[LG 트윈스]], 세 번째는 [[8888577]](2001~2007)을 찍은 [[롯데 자이언츠]], 네 번째는 [[5886899678]](2008~2017)을 찍은 [[한화 이글스]]다.]이 될 뻔했다.[* 참고로 비슷한 처지에 놓인 [[삼성 라이온즈]]는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가 2016년부터 진행 중이기 때문에 20년까지는 포스트시즌에 나가지 못해도 비밀번호가 작성되지는 않는다.] 작년이 플루크인지, 아니면 창단 첫 가을야구의 서막인지는 2020년 시즌으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 답이 안 나오는 불펜의 방화와 수비를 생각하면 그럴 수밖에. 이러다간 시애틀이나 옛날 오클랜드처럼 될지도. 지금 상황으로서는 kt 가을야구 확률은 중국이 월드컵 본선에 나갈 확률--???--이다. (참고로 역시 하위권을 전전하다가 2013년 처음으로 가을야구에 진출 한 넥센(현 키움)은 창단 6년만에 갔다.) 그렇지만 위안거리는 야구나 농구나 강력한 공격력을 갖추고 있다. 다만 7월 들어 6위, 8월 들어 5위, 9월 들어 공동 4위->단독 4위->공동 3위->단독 3위까지 치고 올라온 상황이라 점점 가을야구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물론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DTD]]가 다시 실현될 가능성도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니 선수단과 팬들 모두 가을에도 야구하고 싶다면 긴장의 끈을 놓치지 말아야 할 듯하다. [[파일:kt wiz 2020년 포시 진출 확정.gif]] '''그리고 2020년 10월 22일, 두산전에서 17-5로 승리하며 창단 첫 포스트시즌을 확정지었으며, 2020년 페넌트레이스 최종전에서 LG와 키움이 패배하면서 페넌트레이스 2위가 확정되었다.''' 창단 최초로 포스트시즌, 그것도 한국시리즈 아래에 있는 플레이오프에 직행했지만, 2경기 더 치른 [[두산 베어스]]에게 1승 3패의 성적을 내면서 탈락하였다. 경험 부족이 만든 아쉬운 결과인 셈. 그래도 매 경기마다 점수 차이가 2~3점 내외였을 정도로 대등하게 싸웠고 3차전에서 창단 첫 승리를 거두었다. === 암흑기 탈출 이후 === 2021 시즌에는 시범경기에서 5승 1무 1패로 2위를 한 후, 개막월인 4월에 13승 10패로 2등으로 시작한 후 5월 13일에 1위를 했고, 잠시 2위로 떨어졌다가 6월 13일 단독 1위로 올라선 이후, 계속 1위 자리를 유지했다. 2021년 10월 4일 기준 매직넘버는 단 '''18'''이었고 10월 31일 삼성과 타이브레이커전에서 이김으로써 정규리그 우승도 이루게 되었다. 그리고 2021년 11월 18일, 두산을 상대로 4승 0패 셧아웃으로 '''창단 7년만에 통합우승을 이룩하였다.''' 창단 8년만에 우승한 SK와이번스와 NC다이노스를 1년 차이로 앞지르고 '''KBO 리그 역사상 창단 후 최단기간 내에 한국시리즈 우승 및 통합우승'''을 거두는 대기록을 달성하였다. 앞으로 11번째 구단이나, 기존 구단의 해체 후 재창단 형식으로 신규 구단 창설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꽤 오랜 기간 동안 이 기록이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2022 시즌도 시즌 내내 온갖 부상의 늪에 시달렸음에도 최종 결과 4위로 준수하게 마무리했다. 2023 시즌 역시 초반에는 거의 암흑기 시절에 맞먹는 수준으로 밑바닥에 있다가 또 여름이 되자마자 순식간에 치고 올라가 2위에 안착하는 등 이제는 슬로우 스타터가 완벽한 팀 컬러가 되어 버렸다. 이후 정규 시즌 2위로 시즌을 마쳤다. == 여담 == kt wiz처럼 3년이나 4년 연속으로 꼴찌를 한 팀은 21세기 기준으로 [[8888577|롯데 자이언츠]](2001~2004, 4년), [[한화 이글스]](2012~2014, 3년),(2020~2022, 3년)밖에 없다. 물론, 바다 건너 [[일본프로야구]]에 있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는 '''6년 연속 꼴찌한 적도 있으므로...''' 또, 2020년에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하면 이 문서의 제목도 작성된 비밀번호로 변경될 뻔했으나 포스트시즌 진출을 확정지으며 작성되지 않았다. 참고로, 역대 신생팀[* 빙그레(현재 한화) 쌍방울-SK(현재 SSG) 우리(현재 키움) NC]들 모두가 첫 해부터 이어진 비밀번호가 생기지 않았다.[* 다만, [[삼청태]]는 원년부터 [[6366677|비밀번호를 기록한 적]]이 있긴 하다.] 따져보면 종목과 리그를 가리지 않고 후발주자 신생팀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현상이라 볼 수 있다. 아무래도 신생팀 특혜가 있다지만 초반 선수수급이 뜻대로 될 리가 없기에 초반은 언제나 바닥으로 시작한다는 것.[* 특히 kt는 특별 지명권을 가졌던 당시 한국 야구 인재풀이 역대급 골짜기 세대라 평가받을 정도로 황폐화되었기에 선수수급에 상당히 불리한 면이 있었다.] 창단 초부터 꾸준히 가을야구에 진출한 NC가 특이한 케이스[* NC가 창단 초부터 선전한 것은 '''[[나성범]], [[박민우(야구선수)|박민우]]'''등 향후 몇 년간을 책임졌던 코어급 선수를 (신생팀 보정이 있었다고는 해도)잘 뽑은 것과 '''[[에릭 테임즈]]'''로 대표되는 강력한 외국인 선수의 영향이 매우 컸다. 다만 NC도 [[NC 다이노스/2018년|2018년]]에는 신생팀에서 볼 수 있는 한계가 제대로 나왔다.]일 뿐, 창단 후 몇 년 뒤에야 간신히 순위가 올라가기 시작한 kt가 결코 이상한 것은 아니다. kt보다 먼저 창단된 [[SSG 랜더스]]와 [[키움 히어로즈]] 역시 첫 가을야구를 하는데 적지 않은 기간이 걸렸다. 아이러니하게도 kt가 암흑기에서 벗어나 강팀의 반열에 들기 시작하자 이번에는 NC가 온갖 사건사고와 구설수에 시달리며 성적도 급격한 내리막을 타기 시작했으나[* 이건 [[NC 다이노스 원정숙소 방역수칙 위반 사건|실력 외적인 요소로 인한 여파]]가 컸다.] 2023년에는 다시 중상위권에서 가을 야구 경쟁을 하며 살아나고 있다. == 관련 문서 == * [[kt wiz/2015년]] * [[kt wiz/2016년]] * [[kt wiz/2017년]] * [[kt wiz/2018년]] * [[kt wiz/2019년]] * [[kt wiz/2020년]] * [[조범현]] * [[김진욱(1960)|김진욱]] * [[이강철]] * [[99688]][* 거의 비슷한 시기에 발생한 삼성 라이온즈의 암흑기, 두 팀 모두 5년만에 탈출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KBO 암흑기)] [각주] [[분류:kt w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