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메가렉스)] ||<-2>
[[파일:Lapix.png|width=250]] || ||<-2>[[파일:lapixphoto.jpg|width=100%]]|| || '''{{{#000000 이름}}}''' ||'''라피스(Lapix)'''|| || '''{{{#000000 생일}}}''' ||'''[[12월 4일]]'''|| || '''{{{#000000 국적}}}'''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 '''{{{#000000 직업}}}''' ||'''[[프로듀서]], [[DJ]]'''|| || '''{{{#000000 활동 시기}}}''' ||'''[[2013년]] - [[현재]]'''|| || '''{{{#000000 장르}}}''' ||'''하이테크''', '''[[하드코어 테크노]]''' 등|| || '''{{{#000000 소속}}}''' ||'''[[MEGAREX]]'''|| || '''{{{#000000 관련 링크}}}''' ||[[https://twitter.com/_lapix_|트위터]] [[https://twitter.com/HiTECH_NINJA|HiTECH NINJA 명의 트위터]] [[https://t.co/VksQ7oqJce|사운드클라우드]]|| [목차] == 개요 == [[일본]]의 [[작곡가]]이자 [[DJ]]. 닉네임인 lapix는 라픽스가 아닌 '''라피스'''로 읽는다.[[https://twitter.com/MEGAREXjp/status/1234396166525050880?s=19|#]] [[하드코어 테크노]]나 일렉트로 팝, [[EDM]] 등의 장르 역시 작곡하지만, '''하이테크 닌자'''라는 별명이자 부명의에 걸맞게 역시 [[트랜스(음악)#s-4.7.3|하이테크 사이트랜스]] 및 하이테크 풀온을 중심으로 통칭 '하이테크'라 불리는 장르가 그의 주력 장르이자 상징. 하이테크라는 장르가 일본 일렉트로닉 씬에서는 좀처럼 잘 다루어지지 않는 것과 더불어, 발표한 음악들에서 보여주는 높은 퀄리티로 인해 씬 내에서도 독보적인 위치와 인기를 자랑하는 아티스트이다.[* 현재는 메이저한 동인 레이블에서 마이너한 국소 레이블까지 하이테크를 동인계에서 많이 다루기 시작했는데 사실상 이 씬에 하이테크 바람을 불게 한 장본인이 바로 라피스라고 봐도 무방하다.] 레이블 [[MEGAREX]]를 통해 1집 앨범 Beyond The Limits를 발표했으며, 타 레이블에서 발표하는 음반에도 활발하게 게스트로 참여하며 곡을 제공하고 있다. == 활동 == 7살이라는 굉장히 이른 나이에 [[신시사이저|전자 오르간]]을 접하게 된 것을 계기로 음악을 시작했으며, [[피아노]]가 아닌 2단 건반과 발건반으로 이루어진 전자 오르간으로 음악을 시작한 만큼 솔로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리듬과 연주 표현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었다고 한다. 신시사이저를 사용한 음악에 대해 관심을 갖고 트랙 메이킹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10대 시절부터. 1집 앨범에도 참여하였듯이 동료 아티스트 중에는 [[かめりあ]] 등과 친분이 있으며, 선배 아티스트 중에는 씬의 터줏대감인 [[kors k]]의 메이저 앨범에 참여하기도 했다, 또 신시사이저 사운드가 두드러지는 하이테크 계열에 조예가 있는 아티스트인만큼 일본 일렉트로닉 씬에서 신시사이저를 가장 사랑하는 남자로 알려진 [[후지모리 소타]]와도 친분이 있는 듯. 트위터에는 [[かめりあ]], [[후지모리 소타]], [[DJ Remo-con]] 세 사람과 함께 찍은 [[https://twitter.com/_lapix_/status/646313384158203904|사진]]이 올라오기도 했다. [[리듬 게임]] 계열에서는 2013년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에 투고한 Foolish Hero가 당선되어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를 통해 데뷔했으며, 이후 몇 곡이 추가로 당선되며 이름을 알렸다. III 그래비티 워즈에 들어서 제공한 [[Discloze]]는 [[FLOOR INFECTION]] 이벤트를 통해 [[beatmania IIDX]] 시리즈에도 수록되었고, 이것을 계기로 하여 [[beatmania IIDX 23 copula]]에도 오리지널 신곡을 제공함으로서 [[BEMANI|BEMANI 시리즈]]에 정식으로 데뷔하게 되었다. 2016년 9월에는 상기한 별명인 하이테크 닌자(HiTECH NINJA)라는 명의로 [[maimai PiNK PLUS]]에 Hyper Active라는 곡을 제공[* BGA는 BOF에서 [[Engine]], [[After Burner]]등의 곡의 BGA를 담당한 鑓田(alpha complex).]했다. 특유의 하이테크 신디음과 더불어 '하이테크 닌자'라는 명의 자체가 lapix를 상징하는 별명인 탓에 정체를 숨길 의지 자체가 없는 명의라는 평. 한동안 트위터 트렌드에는 "HiTECH NINJA... [[DJ NAGAI|대체 누구pix냐...]]"같은 트윗이 올라오기도 했었다. 이후에는 HiTECH NINJA 명의로도 앨범을 발매했으며 동인 앨범 TECHCORE EVANGELIX 02에서도 이 명의를 사용하는 등 리듬게임 밖에서도 사용하는 명의가 되어가고 있다. 2019년 11월 27일 결혼을 발표했다.[[https://twitter.com/_lapix_/status/1199536319266869248|#]] 2021년 이후로는 꽤 바쁘게 지내는지 DJ Pyoshi가 매년 진행하는 레이브대전에도 불참하고 있고 SNS로는 자신의 신곡 공지만 올리고 있다. == 디스코그래피 == === 동인 앨범 === ==== 1집 〈Beyond The Limits〉 ==== ||<-3> '''Beyond The Limits''' || ||<-3> [[파일:external/i1.sndcdn.com/artworks-000100168524-30j45o-t500x500.jpg|width=500]] || ||<-2> 2014년 [[코믹마켓]] 87에서 발매 || [[http://megarex.jp/mrx-005.html|#]] || || '''트랙''' || '''곡명 ''' || '''비고''' || || 01 ||Foolish Hero (Extended) || || || 02 ||Beyond The Limits ft.Luschel || || || 03 ||HiTECH NINJA || || || 04 ||Don't Hold Back || || || 05 ||Crossroad ft.Luschel || || || 06 ||Beyond The Limits ft.Luschel ([[kors k]] Remix) ||[[kors k]]의 리믹스 || || 07 ||No Problem || || || 08 ||Midnight Doll || || || 09 ||Dead Music ||[[かめりあ|Camellia]]와의 합작|| || 10 ||Ultra Funktion || || || 11 ||Of The Behind || || || 12 ||[[Paradoxy]] (Extended) || || ==== 2집 〈Perfect Comes〉 ==== ||<-3> '''Perfect Comes''' || ||<-3> [[파일:external/i1.sndcdn.com/artworks-000139994112-npd9i8-t500x500.jpg|width=500]] || ||<-2> 2015년 [[코믹마켓]] 89에서 발매 || [[http://megarex.jp/mrx-009.html|#]] || || '''트랙''' || '''곡명 ''' || '''비고''' || ||<-3> '''DISC 1''' || || 01 ||[[Discloze]] (Extended) || || || 02 ||Perfect Comes ft. Shully || || || 03 ||Psychedelic Tokyo Underground || || || 04 ||HeadShot || || || 05 ||CLIMAX ||[[USAO]]와의 합작 || || 06 ||Ultra Funktion Pt.2 || || || 07 ||Raving Day Break || || || 08 ||Survivor ft. Kent Alexander || || || 09 ||Ubud || || || 10 ||Youthful || || || 11 ||Around The World || || || 12 ||Just One || || ||<-3> '''DISC 2''' || || 01 ||Foolish Hero[br]([[P*Light]] Remix) ||[[P*Light]]의 리믹스 || || 02 ||Drone[br](HiTECH NINJA Remix) ||셀프 리믹스 || || 03 ||Go Crazy ft. Lushel & Kent Alexander[br](DJ Shimamura Party Blaster Remix) ||DJ Shimamura의 리믹스 || || 04 ||Ultra Funktion[br]([[Ryu☆]] vs [[Ryu☆|青龍]] Remix) ||[[Ryu☆]]의 리믹스 || || 05 ||Crossroad ft. Lushel[br](Akira Complex Remix) ||Akira Complex의 리믹스 || || 06 ||Combat Signal[br](aran Remix) ||aran의 리믹스 || || 07 ||HiTECH NINJA[br](MNK Remix) ||[[Massive New Krew]]의 리믹스 || || 08 ||How About U[br](HyperJuice Remix) ||HyperJuice의 리믹스 || || 09 ||Midnight Doll[br](Masayoshi Iimori Remix) ||Masayoshi Iimori의 리믹스 || || 10 ||Paradoxy[br]([[かめりあ|Camellia]]'s PERPETUAL Remix) ||[[かめりあ]]의 리믹스 || ==== 3집 〈Core Signal〉 ==== ||<-3> '''Core Signal''' || ||<-3> [[파일:external/diverse.direct/j_m_Core-Signal_-jacket.jpg|width=500]] || ||<-2> 2016년 [[코믹마켓]] 91에서 발매 || [[http://megarex.jp/mrx-012.html|#]] || || '''트랙''' || '''곡명 ''' || '''비고''' || ||<-3> '''DISC 1''' || || 01 ||[[NEO GRAVITY]] (Extended) || || || 02 ||Core Signal ft. Kanata.N || || || 03 ||Morning Glow ft. [[kradness]] || || || 04 ||Hi-TECHOLIC ||[[C-Show]]와의 합작 || || 05 ||[[Backflow]] (Extended) || || || 06 ||Vital || || || 07 ||Concept of Reality ft. Renko || || || 08 ||NEXT LEVEL ||[[sky_delta]]와의 합작 || || 09 ||YOLO ft. Numb'n'dub || || || 10 ||Lose Control (lapix Remix) ||원곡 [[Massive New Krew]] || || 11 ||Blue Love ft. YUC'e || || || 12 ||Good Time ft. [[모리나가 마유미|Mayumi Morinaga]] || || ||<-3> '''DISC 2''' || || 01 ||[[Inner Spirit]][br](maozon Remix) ||maozon의 리믹스 || || 02 ||[[Discloze]][br]([[Hommarju]] Remix) ||[[Hommarju]]의 리믹스 || || 03 ||[[NEO GRAVITY]][br]([[BlackY|Black]][[Yooh]] vs. [[siromaru]] Remix) ||[[BlackY]], [[Yooh]], [[siromaru]]의 리믹스 || || 04 ||Live Nor Die ft. Kent Alexander[br]([[Nhato]] Remix) ||[[Nhato]]의 리믹스 || || 05 ||Celebrate[br](Snail's House Remix) ||Ujico*의 리믹스 || || 06 ||Go Crazy ft. Luschel & Kent Alexander[br]([[JAKAZiD]] Remix) ||[[JAKAZiD]]의 리믹스 || || 07 ||Around The World[br]([[Dirty Androids]] Remix) ||[[Dirty Androids]]의 리믹스 || || 08 ||Survivor ft. Kent Alexander[br](Srav3R Remix) ||Srav3R의 리믹스 || || 09 ||CLIMAX[br] (Dustvoxx Remix) ||Dustvoxx의 리믹스 || || 10 ||Beyond The Limits[br]([[Massive New Krew]] Remix) ||[[Massive New Krew]]의 리믹스 || ==== 4집 〈JazzFunktion〉 ==== ||<-3> '''JazzFunktion''' || ||<-3> [[파일:911px-JazzFunktion.png|width=500]] || ||<-2> 2018. 12. 30. || [[https://megarex.jp/mrx-030|#]] || || '''트랙''' || '''곡명 ''' || '''비고''' || ||<-3> '''DISC 1''' || || 01 ||[[Roll the Dice]] (Extended Mix) || || || 02 ||[[Far Away(BEMANI 시리즈)|Far Away]] (Extended Mix) || || || 03 ||Under Mebius feat. 藍月なくる || || || 04 ||Leave me alone feat. Such ||[[PSYQUI]]와의 합작 || || 05 ||[[Nothing but Theory]] (More JazzFunktion Mix) ||KARAMEU와의 합작 || || 06 ||Monochrome feat. YUC'e || || || 07 ||JazzFunktion feat. mami || || || 08 ||[[Debug Dance]] (Extended Mix) || || || 09 ||Back to Substance || || || 10 ||Born 2 Lose || || || 11 ||Touch the Sky feat. Renko || || || 12 ||[[〆#s-2]] (Extended Mix) || || ||<-3> '''DISC 2''' || || 01 ||[[Roll the Dice]] ([[USAO]] Remix) ||[[USAO]]의 리믹스 || || 02 ||[[Amazing Mirage]] (Getty Remix) ||Getty의 리믹스 || || 03 ||Over Da Moon (lapix Hitech ENERGIZED) ||셀프 리믹스 || || 04 ||Title ||[[PSYQUI]]와의 합작 || || 05 ||KARAMERU NINJA ||からめる와의 합작|| || 06 ||Core Signal ft. Kanata.N (Aire Remix) ||Aire의 리믹스 || || 07 ||KALACAKLA (Nhato Remix) ||[[Nhato]]의 리믹스 || || 08 ||Concept of Reality ft. Renko (KO3 Bassline Remix) ||KO3의 리믹스 || || 09 ||OceanView feat. Renko (Srav3R Remix) ||Srav3R의 리믹스 || || 10 ||Good Time ft. Mayumi Morinaga (PINKPONG Remix) ||PINKPONG의 리믹스 || ==== 5집 〈Rizing Destruction〉 ==== ||<-3> '''Rizing Destruction''' || ||<-3> [[파일:rizingdestruction.jpg|width=500]] || ||<-2> 2019. 12. 31. || [[https://megarex.jp/mrx-060|#]] || || '''트랙''' || '''곡명 ''' || '''비고''' || ||<-3> '''DISC 1''' || || 01 ||[[Welcome to the Mosh Pit]] (Extended Mix) || || || 02 ||Rizing Destruction feat. RANASOL || || || 03 ||Volumetric feat. Such || || || 04 ||What about us feat. ぷにぷに電機 || || || 05 ||[[Cranberry City ft. Luschel|Cranberry City]] feat. Luschel (Extended Mix)|| || || 06 ||Loneliness feat. 中村さんそ || || || 07 ||[[Kill The Beat]] (Extended) || || || 08 ||Twilight Bounce || || || 09 ||Dissolve feat. 紫崎 雪 || || || 10 ||[[Voyager]] (Extended) || || || 11 ||love U || || || 12 ||[[Nexta]] (Extended Mix) || || ||<-3> '''DISC 2''' || || 01 ||[[Carry Me Away]] (PSYQUI Remix) ||[[PSYQUI]]의 리믹스 || || 02 ||[[Far Away(BEMANI 시리즈)|Far Away]] (Mameyudoufu Remix) ||Mameyudoufu의 리믹스 || || 03 ||LIGHTS feat. EVO+ (lapix Drum'n'Bass Mix) ||셀프 리믹스 || || 04 ||[[Cranberry City ft. Luschel|Cranberry City]] feat. Luschel (Hardcore Flip) ||셀프 리믹스 || || 05 ||Day by Day feat. Nicole Curry (lapix Donk Remix) ||셀프 리믹스 || || 06 ||Touch the Sky feat. Renko (tokiwa Remix) ||tokiwa의 리믹스 || || 07 ||JazzFunktion feat. mami (Blacklolita Remix) ||Blacklolita의 리믹스 || || 08 ||Debug Dance (Zekk Remix) ||[[Zekk]]의 리믹스 || || 09 ||Under Mebius feat. 藍月なくる (YUKIYANAGI Remix) ||YUKIYANAGI의 리믹스 || || 10 ||[[Roll the Dice]] & [[Welcome to the Mosh Pit]] (Special MushUp) ||매시업 || === 메이저 앨범 === ==== 1집 〈L〉 ==== ||<-3> '''L''' || ||<-3> [[파일:lapix_l.jpg|width=500]] || ||<-2> 2018. 03. 21. || [[http://camellialapix.extsm.com/|#]] || || '''트랙''' || '''곡명 ''' || '''비고''' || || 01 ||Revolution || || || 02 ||No Superstition ft. Kanata.N || || || 03 ||Violet Corner || || || 04 ||[[LIGHTS ft. EVO+]] || || || 05 ||Give me a break || || || 06 ||Schranz Cafe || || || 07 ||NUMBER 26 ft. [[쿠로사와 다이스케|黒沢ダイスケ]]×Daisuke from SEVER BLACK PARANOIA || || || 08 ||[[Foolish Hero]] (FutureCore Mix) ||셀프 리믹스 || || 09 ||青色ノスタルジック ft. Shully || || || 10 ||Flying City || || || 11 ||Shadow Play ft. Luschel || || || 12 ||Revolution (Camellia's "Levorotary" Remix) ||[[かめりあ]]의 리믹스 || || 13 ||Healthy || || || 14 ||Jump & Scream ft. Kent Alexander || || || 15 ||Burner || || || 16 ||[[Discloze]] (Hardcore Mix) ||셀프 리믹스 || || 17 ||The Meaning of Love ft. Renko || || == [[리듬 게임]]에 제공한 곡 == === [[BEMANI|BEMANI 시리즈]] === ==== [[사운드 볼텍스]] ==== * [[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 * [[Foolish Hero]] * [[Paradoxy]] * [[Monkey Business]] (lapix Remix) *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 [[Discloze]] * [[Backflow]] * [[Finally Dive]]([[코코나츠]] 프로듀스 곡) * [[NEO GRAVITY]] * [[Never Fails]] * [[NEO TREASON]] *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코나스테]] * [[Nexta]] *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 * [[Carry Me Away]] * [[Far Away(BEMANI 시리즈)|Far Away]] *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 * [[Revolution]] *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 * [[Foolish Again]] ==== [[beatmania IIDX]] ==== * [[beatmania IIDX 23 copula]] * [[Inner Spirit]] * [[beatmania IIDX 24 SINOBUZ]] * [[Amazing Mirage]] * [[〆]] * [[beatmania IIDX 25 CANNON BALLERS]] * [[Nothing but Theory]] * [[LIGHTS ft. EVO+]] * [[Slipstream]] * [[beatmania IIDX 26 Rootage]] * [[Cranberry City ft. Luschel]] * [[& Intelligence]] * [[beatmania IIDX 27 HEROIC VERSE]] * [[Primitive Vibes]] * [[Double Dribble]] * [[beatmania IIDX 28 BISTROVER]] * [[Ocean Blue feat. Luschel]] * [[Rosa azuL]] * [[beatmania IIDX 29 CastHour]] * [[ハイテックトキオ]] ([[후지모리 소타]]와의 합작) * [[Flying Castle]] * [[beatmania IIDX 30 RESIDENT]] * [[Swing My Wonderland]] * [[beatmania IIDX 31 EPOLIS]] * [[Submerge Serenade]] ==== [[팝픈뮤직]] ==== * [[팝픈뮤직 토끼와 고양이와 소년의 꿈]] * [[Over Da Moon]] * [[팝픈뮤직 peace]] * [[Crumble Soul]] ==== [[MÚSECA]] ==== * [[MÚSECA 1+1/2]] * [[Debug Dance]] ==== [[유비트 시리즈]] ==== * [[유비트 클랜]] * [[Roll the Dice]] * [[유비트 페스토]] * [[Welcome to the Mosh Pit]] * [[Our Love]] ==== [[DANCERUSH]] 시리즈 ==== * [[DANCERUSH STARDOM]] * [[7 to Smoke]] * [[glacia]] (STARDOM Remix) * [[Kill The Beat]] * [[GHOST MODE]] ==== [[노스텔지어 시리즈]] ==== * [[노스텔지어 Op.2]] * [[Voyager]] * [[Volcanos]] ==== [[DanceDanceRevolution]] ==== * [[DDR A20]] * [[Glitch Angel]] === [[maimai 시리즈]] === * [[maimai PiNK PLUS]] * Hyper Active (HiTECH NINJA 명의) * [[maimai DX]] * Technicians High (HiTECH NINJA 명의) * [[maimai DX SPLASH PLUS]] * [[BREaK! BREaK! BREaK!]] (HiTECH NINJA vs [[Cranky]] 명의, HiT! HiT! HiT!의 후속곡, KoP 2020 결승 최초공개곡) * [[maimai DX UNiVERSE]] * 前衛的Landscape (HiTECH NINJA 명의, 보컬 RANASOL.) === [[온게키]] === * [[온게키]] * Dolphika (HiTECH NINJA 명의) * [[온게키 R.E.D.|R.E.D.]] * Daydreama (HiTECH NINJA 명의) === [[CHUNITHM]] === * AMAZON PLUS * [[電光石火]] (HiTECH NINJA 명의) === [[Arcaea]] === * [[Modelista]] (HiTECH NINJA 명의) * [[Lightning Screw]] (HiTECH NINJA 명의) * [[Medusa]] (HiTECH NINJA 명의) * [[Free Myself]] (feat. mami) === [[Rayark]] === ==== [[Cytus II]] ==== * [[PrayStation (HiTECH NINJA Remix)]] (HiTECH NINJA 명의) * [[Online(Rayark)|Online]] (HiTECH NINJA 명의) * [[Blah!!]] (HiTECH NINJA 명의) ==== [[VOEZ]] ==== * [[PrayStation (HiTECH NINJA Remix)]] (HiTECH NINJA 명의) === [[polytone]] === * [[Reflex(polytone)|Reflex]] (HiTECH NINJA 명의) === [[OverRapid]] === * [[Rizing Destruction]] [[분류:리듬 게임 작곡가]][[분류:동인 음악 작곡가]][[분류:2013년 데뷔]][[분류:MEGAREX/아티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