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KvN7OavAXOM)] 리듬게임 [[VOEZ]]의 수록곡. 작곡가는 한국인인 [[LhoU]]로, [[Highlander]] 이후 두 번째로 제공한 곡이다. 사운드클라우드에 원곡이 올라와 있다.[[https://soundcloud.com/lhoustudio/popotnik|#]] 이름이 상당히 복잡한데 'popotnik'은 슬로베니아어로 "'''여행자'''"를 의미한다. 작곡가 본인이 말한바로 '포포트니크'라고 읽으면 된다. 부제에 붙은 Ljubljana는 [[슬로베니아]]의 수도인 [[류블랴나]]를 의미한다. 사운드클라우드에 올라온 원곡명은 "popotnik ~ 류블랴나의 여행자"인데 인게임 일러스트에는 일본어로 적혀 있다. 작곡가의 원래 의도는 한국어 부제이나 인게임 일러스트에서는 일본어로 바뀌었으며, 인게임 이름은 [[双龍飛閃-Dual Dragoon-]]을 제외한 Rayark 게임 수록곡 특성상 영어로 다시 바뀌어 수록되었다. 사실 이 곡은 상당히 오래전에 완성되었으며 수록 시점으로부터 3년 반 전쯤, 2013년 여름에 작곡되었다.[* 사운드클라우드에는 2년 전에 올라왔으나 설명란에 2013.06이라 적혀 있다.] 본디 [[오투잼]] 작곡가 공모전에 투고했으나 [[https://www.facebook.com/O2Jam/posts/679445975404519|입상으로 끝난 채 수록이 좌절된 곡이었다.]][* 같은 대회에서 TOP 20까지 올라갔다가 떨어진 곡이 바로 [[NeLiME]]의 [[CODE NAME : ZERO]]이며, [[FUSE(Rayark)]]의 작곡가 Titancube, [[EZ2AC 시리즈]]에 참여한 [[Roy Mikelate]], [[Kari]], [[RMHN]], [[SANY-ON]], [[Aniart]]의 작곡가 KB 역시 참가했었다.--떨어지고 네임드가 되었다-- --[[와신상담]]?-- 또한 준우승을 한 DOH는 이후 Chelp 명의로 역시 EZ2AC에 [[Flicker(EZ2AC)|Flicker]]를 투고하게 된다.] 이후 Rayark Artist Collaboration 공모전에 투고, 수록되었다. 작곡가가 밝히기를, 정성이 많이 들어가 묻어두기에는 아까운 곡이었는데 3년 만에 빛을 봐 감격스럽다고. [[https://twitter.com/LhoU_Lamhfhada/status/814836227484487682|트윗]] 이 곡은 [[EZ2AC]]의 수록곡인 '''[[Stranger]]'''의 [[정신적 후속작|정신적 후속곡]]이기도 하다. BPM이 130으로 같으며, 흥겨운 민속음악적 분위기 역시 비슷하다. 사운드클라우드에 표기된 장르는 Ethnic/Fusion인데, Stranger와의 관계를 보면 정확히는 전작과 같은 Ethnic House일 듯하다. == [[VOEZ]] == * [[VOEZ/수록곡]] === 채보 === |||||||| '''popotnik ~ The Traveller of Ljubljana''' ||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Popotnik.png|width=300]] || ||<#eee> 작곡 |||||| [[LhoU]] || ||<#eee> BPM ||||||<:> 130 || ||<#eee> ||<#6ce> Easy ||<#f9a> Hard ||<#fe7> Special || ||<#eee> 레벨 ||<:> 3 ||<:> 12 ||<:> 15 || ||<#eee> 노트 수 ||<:> 308 ||<:> 529 ||<:> 670 || 2016년 12월 30일 수록되었다. 인게임 일러스트가 불꽃놀이가 벌어지는 광경인데, 곡이 수록된 시점과 31일 시간 한정으로 풀렸음을 보아 '''새해 기념 수록곡'''의 위치를 가진 듯하다. ==== Easy ==== ==== Hard ==== ==== Special ==== [youtube(qK_MsM8dbxQ)] 채보 영상 Special 채보는 작곡가의 전작 [[Highlander]]에서 잠깐 등장했던 움직이는 라인들을 적극 이용한 패턴이다. 움직이는 라인들에서 떨어지는 폭타를 처리하고 중간중간 스와이프가 견제를 하는 정도인데, 문제라면 [[Stranger|정신적 전작]]이 떠오르는 롱잡과 엇박이다. 다행히 심각한 엇박은 아니라 AP에 문제가 될 정도는 아니다. 최후반에 돌입하면 [[White Dwarf Stars]]의 중반 슬라이드, [[Spring(Rayark)|Spring]]의 후반 단타 트릴+슬라이드 패턴처럼 넓은 붉은 인식 범위에 패턴이 나오는데 덕분에 렉이 걸리기가 매우 쉽다. 인식범위가 크니 정확히 치는 대신 근방을 대충 긁어도 처리되지만, 이때 렉이 걸리면 패턴이 후살로 돌변한다. 마지막에 떨어지는 넓은 트릴이 AP나 스코어링에 까다롭다. 폭타 위주이고 밀도도 낮은 편이라 실제 난이도는 15레벨 최하위~하위 정도로 여겨진다. 다만 최후반에서 렉이 걸리는 기종이라면 난이도가 상당히 높아질 수 있다. AP까지는 OK가 뜨기 쉬운 최후반을 제외하면 큰 문제는 없으나, 그 이상의 스코어링을 노린다면 롱잡과 엇박 때문에 체감 난이도가 높아진다. === 기타 === == [[KALPA]] == [[분류:VOEZ의 수록곡]][[분류:KALPA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