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소개 == [[독일어]]나 [[스웨덴어]], [[터키어]],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헝가리어]] 등 많은 언어에서 이 부호는 전설모음화된 모음을 표시할 때 쓰인다. 부호의 기원이 독일어이고 다른 언어에서도 독일어 표기 방식을 차용한 것이기에 독일어뿐만 아니라 해당 부호를 쓰는 다른 언어에서도 독일어에서의 명칭을 따 '움라우트'라 부른다. 원래 a나 o, u 등에 작게 e를 붙인 것을 간략화한 것이다. 이 영향으로 [[독일어]]에서는 종종 움라우트 대신 e를 쓰기도 한다(예: [[에리히 레더|Raeder]], [[요한 볼프강 폰 괴테|Goethe]] 등). 때문에 독일어 움라우트의 대체 표기는 '''모음 + e'''다. 그러나 여기에도 예외는 있어서 모음 + e가 왔다고 해서 무조건 움라우트가 붙은 모음으로 읽히는 것은 아니다. 강변의 땅을 뜻하는 Aue의 발음은 Aü와 동일하지 않고 u와 e를 따로 읽는다. Aü를 Aue로 바꿔 쓴 것이 아니라 원래 Aue니 당연하다. 움라우트를 사용하는 많은 언어가 전부는 아니지만 [[모음조화]] 현상을 가지고 있다. [[표준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인 [[한어병음]]에도 이런 용도로 ü가 사용된다. 특별히 전설모음화 현상을 반영한 것은 아니고, 그냥 독일어 ü 발음과 중국어 ㄩ 발음이 같아서일 쓴 것이다. 성조 부호까지 붙이면 ǖ, ǘ, ǚ, ǜ가 된다. 한어병음을 단순화해서 적을 때 성조 부호로 쓰인 diacritic들을 삭제하는데, ü는 u에서 파생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대로 쓴다.[* 단 비공식 표기에서는 그냥 u로 적거나, yu로 대체해서 적는 경우도 있다. [[중국]] [[여권]]에서 인명 표기 시 ü가 들어갈 자리에 yu를 적는다. 그리고 [[IME]]로 한어병음을 입력할 때는 한어병음에서 안 쓰이는 v로 대체해서 쓴다. ex)nv→女] 그러나 [[성모]](聲母)가 j, q, x이거나, 성모가 없어서 앞에 y를 덧붙이는 경우 표기의 편의를 위해 u로 표기하니 발음할 때 주의해야 한다. 표준중국어의 다른 로마자 표기법인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도 ü가 쓰이는데 한어병음과 달리 u로 생략하여 적는 규칙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는 간략화한 표기에서 보조 부호를 전부 삭제하기 때문에 이런 경우는 ü가 u로 쓰이는 걸 볼 수 있다. [[크툴루 신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영창]] 중 "Iä!"로 표기되는 것이 있다. ~~래!~~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의 원작에는 명시되어 있지만, 후대에는 ~~키보드로 치기 번거로워서 그런지~~ 보통 생략된다. 메탈 움라우트라고 해서 영미권의 메탈 밴드들이 단지 독일스러운 느낌을 내기 위해 그룹 이름에 움라우트를 넣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모터헤드]](Motörhead), [[머틀리 크루]](Mötley Crüe) 등이 있다. 이 때는 발음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분류:언어]][[분류:문장 부호]][[분류:표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