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3단어 주소체계로, 지구를 3m×3m로 나누고 각각의 지역에 3단어로 된 키워드를 붙인 시스템이다. 현재의 번지 위주의 주소 체계와 위도, 경도를 숫자로 표시하는 좌표 체계를 보완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 상세 == 영국 음악 공연 업계의 크리스 셸드릭(Chris Sheldrick)이 수학자 친구의 도움을 받아서, 지구 표면을 3m×3m 크기의 정사각형[* 정확히는 3m×3m 정사각형을 지구 위에 [[정사영]]한 곡면] 57조 개로 쪼개고, 각각의 정사각형에 3개의 단어로 조합된 이름을 붙여 위치를 표현했다고 한다. 누구나 아는 단어 4만 개를 3개씩 짝 지으면 64조 개의 조합이 만들어지므로 전 세계 어느 곳이든 단어 3개의 조합으로 충분히 이름 붙일 수 있다고 한다. 당연히 수평 시스템이니 건물의 층수 관계는 표현이 안 되고, 넓은 면적의 장소에서 작은 지역을 나타낼 때 유용하다. [[https://www.bbc.com/korean/news-49330976?ocid=socialflow_facebook&fbclid=IwAR1GpNqAiKAFSi-7yCrgp5Q80mDzVKCmugQSekVIRePQId4lS3iSC1OOMdc|세 단어 주소(What3words): 지도의 혁명, 3개의 단어로 목숨을 구하다]] 한국에서는 [[카카오맵]]과 손잡고 한국어 단어를 붙여 서비스되고 있다.[[https://kakaomap.tistory.com/238|#]] 카카오맵에서 아무 곳이나 꾹 누르고 W3W 아이콘을 누르면 세 단어의 주소가 뜬다. 검색창에 ///와 함께 그 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장소로 이동한다. what3words에서 주소는 ///와 단어 3개로 표현된다. 예를 들면, 서울역 3번출구 근처의 주소 중 하나는 ///칭찬.마음속.토끼이고, 부산역 역전치안센터 근처 주소는 ///인상.국사.만남인 식이다. 하지만 이 체계에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주소를 표현하는 낱말이 비슷한 경우가 많으며, 특히 영어가 아닌 다른 유럽 언어에서는 단어의 굴절만 바뀌었는데 장소가 팍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서로 다른 언어간에는 호환되지 않는다. 가령 ///인상.국사.만남과 ///impression.history.meeting이 가리키는 곳 사이에는 전혀 관계가 없다. 또한 알고리즘과 언어별 단어 목록이 공개되어 있지 않아서 공짜로 자유롭게 쓰기 어렵다는 등의 비판이 있다.[[https://shkspr.mobi/blog/2019/03/why-bother-with-what-three-words/|Why bother with What Three Words?]] 공짜로 쓸 수 있는 코드는 [[구글 지도]]에서 쓰는 [[https://en.wikipedia.org/wiki/Open_Location_Code|플러스 코드]] 등이 있다. 또한 지구는 [[구(도형)|구]]에 가까운 [[타원면]]인데다, 지구의 둘레도 3으로 나누어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3m×3m 정사각형으로 표현이 불가능한 부분이 필연적으로 생긴다.[* 이는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가 증명한 [[https://en.wikipedia.org/wiki/Theorema_Egregium|가우스의 위대한 정리]]를 통해 알 수 있는 부분이다.] 거의 대부분 언어에서 육지만 주소를 지원하고, 바다도 지원하는 언어는 영국식 영어와 한국어뿐이다. TVING의 단독 오리지널 프로그램인 [[여고추리반]] 2화에서 what3words가 활용되었다. 몽골 우체국에서는 what3words를 주소 보조 용도로 도입한 적이 있다. [[분류: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