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버스 봉선37 (r3판)

편집일시 :

>
광주광역시
{{{#fff,#1f2023
[[틀:광주광역시의 급행버스|

{{{#white 급행
ㆍ[[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
간선
]]ㆍ[[틀: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
>
지선
]]ㆍ[[틀: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112AB; font-size: 16px"
마을
]]


파일:봉선37(1).jpg파일:bBT9QGr.jpg
남구문화예술회관이 기점이던 시절(2011년 9월)의 모습. 이 차량은 22년식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로 대차되어 송정19번으로 넘어갔다.현대교통 차량. 이 차량은 선운14번에서 운행 중이다.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기타 사건사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광주광역시 심볼.png 광주광역시 간선버스 봉선37번
기점광주광역시 광산구 박호동(송산유원지)종점[승차] 광주광역시 동구 월남동(주남마을)
[하차] 광주광역시 동구 월남동(월남공영차고지)
종점행첫차05:40기점행첫차05:40
막차22:20막차22:20
배차간격9~14분배차간격13~16분
운수사명동화운수, 현대교통인가대수23대(저상버스 9대)[1]
노선송산유원지 - 호남대학교광산캠퍼스 - 보문고등학교 - 광주인력개발원 - 우산시영2단지 - 광산중 - 월곡시장 - 대반초교 - 풍영정천1교 - (→ 목련마을8단지 →/← 목련마을6단지 ←) - 목련마을 - 공구의거리 - 신세계백화점 - 서구청 - 양동시장역 - 수창초교후문 - 동부소방서 - 전남여고 - 전남대병원/남광주시장 - 남광주역 - 학림교 - 방림삼거리 - 라인효친 - 모아2차아파트 - 봉선삼익아파트 - 남구문화예술회관 - 용산지구모아엘가에듀파크 - 지원2동행정복지센터 - (← 주남 ←) - 월남공영차고지

중간 출발 정류장
양방향신세계백화점


2. 개요[편집]


노선망 효율(배차간격, 노선길이, 환승편의, 평균 운행시간, 승하차인원 등) 종합평가 공동 1위의 개념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777번, 일명 7땡이 전신이다. 지산유원지와 호남대 광산캠퍼스를 연결하던 구 21번 버스의 좌석버스 버전이었으며, 21번과 달리 무등산장까지 올라갔다. 이후 2001년에 도시형으로 형간전환(型間轉換)되었고, 광송간 도로 대신 하남로 경유로(송정주공 - 월곡시장 - 신가동 - 광천사거리 - 월산4동 - 충파) 바뀌었다. 2004년에는 임동오거리 경유로 바뀌었다.

  • 2006년 개편 때 현재 노선으로 변경되었고, 번호도 봉선37번으로 바뀌었다. 특히 구 222번의 방림동 골목길 투어를 충실히(?) 계승하고 있다. 본래는 현대교통이 단독 배차했다.

  • 봉선동 쪽 민원으로 인해 '남구문화예술회관 - 월남공영차고지' 구간이 연장되었다. 이 때부터 동화운수가 공동배차에 참여했다.

  • 2017년 2월 25일 개편에서 예고된 '남구문화예술회관 - 용산지구' 연결도로가 생기면서, 2019년 7월 1일부로 연결도로를 경유하며 4개 정류장이 신설되었다.[2] 관련 공지사항 동시에 용산지구로 단축될 계획이었지만, 연료충전/월남동 주민 편의를 위해 무산되었다.

  • 아직 연결도로가 임시개통된 상태라 도로 폭이 협소해 운행 속도가 낮으며, 대형차들이 교행할 때 사고 우려가 있어 월남동행만 기존처럼 용산IC 방향으로 우회한다. [3]

4. 특징[편집]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이용객 수(순수 이용객, 환승 이용객, 광역환승 이용객) 8위다.

  • 동쪽 끝에서 서쪽 끝까지 운행하는 노선이기 때문에 송정19번 못지 않게 운행 거리가 길지만, 인가대수가 많다.

  • 많은 차량으로 98번과 함께 하남로를 책임지고 있으며, 출퇴근 시간대에는 미어터진다.

  • 선운101번이 신설되기 전에 선운지구 경유로 변경하는 것을 검토했으나, 광산구 중심지(송정리 일대)를 지나가지 않기 때문에 기각된 것으로 보인다.


  • 단속카메라 장착차량 3대(5016호, 5017호, 5106호)가 운행 중이다.

  • 본래 저상버스현대교통에서만 8대를 투입하다 최근 동화운수에도 지원15번에서 운행하던 저상버스가 투입되었으나 (2708호, 2720호), 2018년 10월 1일부로 차번 맞추기의 영향인지 2708호는 25번으로, 2720호는 15번으로 이동했다. 그 반대급부로 15번에 있던 2718호와 25번에 있던 2751호가 이 노선으로 왔다.


4.1. 기타 사건사고[편집]


  • 2019년 1월 9일 비탈길에 있던 화물차가 고정되지 않은 채로 미끄러져 내려와 5005호 저상버스에 충돌하여 화물차 운전자가 숨졌고 일부 버스 승객들이 타박상을 입었다. 2달 반이 넘는 기간 동안 5173호[4] 예비차가 운행하다가 2019년 3월 말부터 다시 정상 운행을 시작했다.


5. 연계 철도역[편집]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녹동역, 남광주역, 문화전당역,[5] 양동시장역, 돌고개역, 농성역
  • 일반철도: 극락강역(무궁화호, 누리로)

[1] 동화운수 7대, 현대교통 16대.[2] 용산지구대성베르힐, 용산모아엘가에듀파크, 용산초교, 지원2동행정복지센터. 또한 지원화훼단지(송산유원지 방향 일방 운행)에도 정차하며, 더이상 2순환로를 경유하지 않는다.[3] 이 구간을 통과하는 다른 3개 노선도 동일하다.[4] 현재는 뉴슈퍼에어로시티 F/L 유로6로 대차되어 일곡38번에서 운행중이다[5] 동구청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