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버스 선운14 (r1판)

편집일시 :

>
광주광역시
{{{#fff,#1f2023
[[틀:광주광역시의 급행버스|

{{{#white 급행
ㆍ[[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
간선
]]ㆍ[[틀: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
>
지선
]]ㆍ[[틀: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112AB; font-size: 16px"
마을
]]


파일:현대교통 선운14번 5181호.jpg파일:현대교통 5075호.jpg
봉선37번 출신 NSAC 저상 차량.송정19번 출신 NEW BS106 차량. 현재는 예비차로 격하되었다.
현대교통 차량.
파일:선운14 2951호.jpg
삼아교통 일곡28번 출신 NSAC 차량. 삼아교통이 철수함으로써 현재는 운림50번에서 운행 중.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광주광역시 심볼.png 광주광역시 간선버스 선운14번
기점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룡동(송산유원지)종점광주광역시 서구 화정1동(화정무등파크)
종점행첫차05:40기점행첫차06:15
막차22:10막차22:55
평일배차15~22분주말배차25~30분
운송업체현대교통인가 대수7대(저상 4대)[1]
노선송산유원지 - 서봉마을 - 호남대학교 - 선운중학교 - 선운휴먼시아아파트 - 운수마을 - 광주무역회관 - 한국은행 - 한국국토정보공사 - ( ← 한국수자원공사 ←) - 대우디오빌[2] - 5.18기념공원 - 쌍촌현대아파트 - (→ 솔뫼타운 →) - 해태아파트 → 기아자동차광주종합버스터미널신세계백화점 → 화정무등파크(회차지점) → 해태아파트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현대교통이 배차 중인 간선버스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송산유원지 방향 라마다호텔 정류장[3]이 저상버스를 탄 장애인 승객이 이용하기에 부적합하다는 기사가 나오면서 정류장이 이전되었다. [4]

  • 2019년 7월 24일부터 삼아교통이 철수하고 현대교통 단독 운행으로 바뀌었다. 차량은 송정19번에서 2대를 추가로 가져와 운행한다.


4. 특징[편집]



  • 광산우산동행정복지센터 정류소는 정차하지 않으며, 광주무역회관 ~ 광주종합버스터미널송암68이 더 빠르게 간다. 이 노선은 상무지구, 쌍촌동, 화정동 쪽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이 광주무역회관 정류소 정차가 이 노선 입장으로는 매우 골치 아픈 곳인데 이 정류장을 정차하는 바람에 무진대로로 다이렉트로 갈 수 있는데도 이 정류장 하나 정차하기 위해 신호 대기 시간 때문에 시간이 더 걸려서 비 선호 노선이 되고, 급행 기능이라는 말은 유아무아 해졌다.

  • 평일에 비해 주말 배차간격이 다소 긴 편이다. 그래봤자 5~8분 정도지만... 익숙하다

  • 출퇴근 시간대에는 승객들을 꽤 많이 태우고 다니지만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이용률이 많이 저조하다.[5] 심지어 상무지구나 터미널에 갈 때는 오히려 일반도로만 경유하는 일곡38번이 더 빠르다는 말도 나올 정도로 배차가 잘 깨지는 일곡38번의 대체 노선 역할도 제대로 못 하고 있다. 무진대로를 타다가 중간에 광주무역회관을 잠시 정차하는데 시간을 까먹고, 상무지구를 뱅뱅 돈다는 등의 의견이 많다. 망했어요.[6][7]


5. 연계 철도역[편집]


없음.


[1] 공휴일에는 6대로 운행.[2] 이전에는 정류장 이름이 라마다 호텔이었다.[3] 현재 라마다 호텔 정류소의 이름은 대우디오빌이다. 버스 내 방송 또한 대우디오빌이라 뜬다.[4] 사실 이는 이 노선이 신설되기 전에는 송암73번밖에 이 정류장을 경유하지 않았고 73번은 지선으로써 저상버스가 투입되지 않아 그동안 문제가 되지 않았었다.[5] 저조할 정도가 아니라 사람이 아예 안 타서 가는 경우도 많다. 이 노선 타고있으면 버스 전세내서 타고 가는 기분이다. 빨리 홍보를 하거나 노선 개선을 하는게 답일 듯 하다. 충효188번의 경우는 석곡동 주민들을 위해서 신설되었지만 수요가 거의 없으므로 후보에서 완전히 실격이고, 60번의 경우는 급행 기능에 어긋났을지 언정 평일 배차 간격도 준수하고, 기존에 시내버스가 다니지 않았던 서강로(본촌교차로 ~ 예술고교차로 구간)를 운행하여 인근 아파트 주민들의 교통불편을 해소해 주었으며, 30번보다 훨씬 빠르게 양산동 - 유스퀘어를 연계함으로서 제 밥값은 톡톡히 하는 효자노선이다.[6] 이때문에 신설 초기에는 평일기준 12~15분으로 다녔는데, 15~20분으로 늘어났다.[7] 무역회관에서도 광주종합버스터미널을 가는 승객이 송암68번이 늦게 올 경우 대신 타는 대체 노선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