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르겐 1세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타오-클라제티 공작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아쇼트 1세바그라트 1세(타오-클라제티)아다르나세 2세과람
타오 공작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다비트 1세구르겐 1세(타오)아다르나세 3세아쇼트 2세
타오 공작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구르겐 2세바그라트 1세아쇼트 3세아다르나세 4세
타오 공작
제9대제10대제11대-
바그라트 2세(타오)다비트 3세바그라트 3세-
클라제티 공작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숨바트 1세(클라제티)다비트 1세(클라제티)바그라트 1세(클라제티)숨바트 2세
클라제티 공작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다비트 2세(클라제티)바그라트 2세(클라제티)숨바트 3세바그라트 3세(클라제티)
이베리아 국왕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아다르나세다비트 2세숨바트 1세바그라트 2세
이베리아 국왕
제5대---
구르겐 1세---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바그라트 3세기오르기 1세바그라트 4세기오르기 2세
조지아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다비트 4세데메트리우스 1세다비트 5세데메트리우스 1세
조지아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기오르기 3세타마르기오르기 4세루수단
조지아 왕국
제13대제14대--
다비트 6세다비트 6세
다비트 7세
--
서부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다비트 6세콘스탄틴 1세(서부 조지아)미켈(서부 조지아)바그라트 1세(서부 조지아)
동부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다비트 7세데메트리우스 2세바흐탄그 2세다비트 8세
동부 조지아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기오르기 5세바흐탄그 3세다비트 8세기오르기 6세
동부 조지아 왕국
제9대---
기오르기 5세---
1차 통합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
기오르기 5세다비트 9세바그라트 5세-
1차 이메레티 왕국
초대제2대제3대-
알렉산드레 1세(이메레티)기오르기 1세(이메레티)콘스탄틴 2세(이메레티)-
2차 동부 조지아 왕국
초대2대--
바그라트 5세기오르기 7세--
2차 통합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기오르기 7세콘스탄틴 1세알렉산드레 1세바흐탄그 4세
2차 통합 조지아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기오르기 8세바그라트 6세알렉산드레 2세콘스탄틴 2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알렉산드레 2세바그라트 3세(이메레티)기오르기 2세(이메레티)레반(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로스톰(이메레티)바그라트 4세(이메레티)기오르기 3세(이메레티)알렉산드레 3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바그라트 5세(이메레티)바흐탄그 츠추나슈빌리아르칠리(이메레티)디미트리오스 구리엘리
2차 이메레티 왕국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기오르기 4세(이메레티)알렉산드레 4세기오르기 5세(이메레티)시몬(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마미아 구리엘리기오르기 6세(이메레티)기오르기 7세(이메레티)기오르기 8세(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알렉산드레 5세기오르기 9세(이메레티)마무카솔로몬 1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제25대제26대제27대-
테이무라즈(이메레티)다비트 2세(이메레티)솔로몬 2세-
카헤티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기오르기 8세알렉산드레 1세(카헤티)기오르기 2세(카헤티)레반(카헤티)
카헤티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알렉산드레 2세(카헤티)다비트 1세(카헤티)콘스탄틴 1세(카헤티)테이무라즈 1세
카헤티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아르칠리(이메레티)에레클레 1세다비트 2세(카헤티)콘스탄틴 2세(카헤티)
카헤티 왕국
제13대제14대--
테이무라즈 2세
타마르 2세
에레클레 2세--
카르틀리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콘스탄틴 2세다비트 10세기오르기 9세루아르사브 1세
카르틀리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시몬 1세다비트 11세기오르기 10세루아르사브 2세
카르틀리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바그라트 7세시몬 2세로스톰바흐탄그 5세
카르틀리 왕국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기오르기 11세에레클레 1세카이호스로(카르틀리)예세
카르틀리 왕국
제17대제18대--
바흐탄그 6세테이무라즈 2세
타마르 2세
--
카헤티와 카르틀리 연합 왕국
초대제2대--
에레클레 2세기오르기 12세--



이베리아 왕국 5대 군주
გურგენი | 구르겐 1세
제호한국어구르겐 1세
조지아어გურგენი
라틴어Gurgen II
생몰 년도미상 ~ 1008년
재위 기간994년 ~ 1008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이베리아 왕국 바그라티온 왕조 5대 군주.

2. 생애[편집]


이베리아 왕국 바그라티온 왕조 4대 군주 바그라트 2세의 아들이다. 그는 압하지야 왕 기오르기 2세의 딸 구란두크트(Gurandukht)와 결혼하여 바그라트 3세를 낳았다. 그는 어린 아들을 상류 타오 공작 다비트 3세의 양자로 보냈는데, 허울뿐인 이베리아 왕위를 물려주는 것보다는 조지아에서 가장 강력한 권세를 구가하는 다비트 3세의 후계자가 되는 편이 아들에게 더 나은 선택이라고 여겼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975년, 아직 10대 소년이었던 바그라트 3세는 다비트 3세에 의해 카르틀리 통치자로 임명되었고, 그가 섭정을 맡았다. 978년 게오르기 2세가 후계자를 두지 못한 채 사망하자, 다비트 3세는 압하지야 대신들에게 압력을 행사하여 바그라트 3세가 압하지야 왕에 선임되게 했다. 그는 카르틀리에서 아들과 함께 공동 통치를 하면서 아들이 압하지야 내 반대 세력에 맞서 승리하도록 도왔다.

990년, 바그라트 3세는 자신에게 복종하길 거부하는 라티 공작을 징벌하고자 군대를 소집했다. 그는 휘하 병력을 소집하여 아들과 합세하고자 사브세티로 이동했다. 그런데 다비트 3세는 그와 바그라트 3세가 자신을 치려고 하는 줄로 오해하고 기병대를 이끌고 구르겐을 습격했다. 구르겐은 갑작스러운 습격에 별 대응도 못하고 한 요새로 대피했고, 그의 아버지 바그라트 2세는 다비트 3세를 두둔했다. 이에 바그라트 3세가 단독으로 다비트 3세를 찾아가 억울함을 호소했고, 다비트 3세는 자기가 오해했다는 걸 깨닫고 구르겐-바그라트 3세와 화해했다.

994년 바그라트 2세가 사망한 뒤 이베리아의 왕으로 즉위했다. 1001년 다비트 3세가 귀족들에게 독살당하자, 그는 아들이 다비트 3세의 영지를 확보하는 걸 도와줬다. 이보다 전, 다비트 3세는 바르다스 포카스의 반란을 도와줬다가 포카스가 바실리오스 2세 황제에게 패사하자 황제의 분노를 피하기 위해 "제가 죽으면 모든 영지를 제국에 헌납하겠습니다."라고 약속했다. 바실리오스 2세는 이를 상기시키며 다비트 3세의 영지를 제국에 귀속시키라고 명령했다. 그러자 바그라트 3세는 자신은 그런 일이 있었다는 걸 전혀 몰랐으며 정당한 후계자인 자신이 아무것도 받지 못하는 건 억울하다며 거부했고, 그는 아들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당시 불가리아 제1제국사무일과 국가의 운명을 건 전쟁을 치르고 있던 황제는 조지아인들과 마찰을 벌이는 건 무익하다고 보고, 바그라트 3세가 다비트 3세의 영지를 그대로 가지는 걸 인정했다. 바그라트 3세는 동로마 제국으로부터 쿠로팔레스 칭호를 받았고, 그는 마기스테르의 칭호를 받았다. 쿠로팔레스가 마기스테르보다 더 높은 칭호였는데, 이는 그가 아들에게 질투심을 느끼고 자중지란을 일으키도록 유도하려는 황제의 술책이었다. 그러나 구르겐이 아들이 자기보다 높은 직위를 가지는 걸 깨끗하게 인정해버리면서 무산되었다.

1008년 사망하면서 이베리아 왕위와 영지를 아들에게 물려줬다. 이리하여 압하지야와 타오 등 조지아 대부분을 확보하게 된 바그라트 3세는 조지아 왕국의 건국을 선포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4:00:46에 나무위키 구르겐 1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