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의학연구소

덤프버전 :




국군의학연구소
國軍醫學硏究所
Armed Forces Medical Research Institute(AFMRI)
파일:attachment/medcmd.jpg
창설일1952년 8월 16일(육군중앙병리시험소)
1958년 4월 5일(육군중앙의무시험소)
1971년 7월 11일(국군중앙의무시험소)
2001년 10월 20일(국군의학연구소)
약칭의학연구소
소속대한민국 국군
상급부대국군의무사령부
종류연구소
역할의학 연구 업무
연구소장문운경
위치대전광역시 유성구 자운로 90
자운대

전화번호042-878-4805
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개발품
3. 출신인물
3.1. 연구소장
3.2. 병
4. 관련 문서

파일:국군의학연구소.jpg
국군의학연구소 전경



1. 개요[편집]


대한민국 국군 국군의무사령부 예하 국군의학연구소. 1952년 8월 16일에 창설하였으며, 자운대에 위치하고 있다.


2. 개발품[편집]


  • 연합뉴스에서 신속분자진단법을 적용해서 개발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진단키트는 기존의 검사법(PCR)보다 3시간을 단축시켰고 특허를 등록 후 민간업체에게 기술이전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3. 출신인물[편집]



3.1. 연구소장[편집]


역대 연구소장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전신000前 연구소장
전신장원용예) 대령前 연구소장[1]
1대장동덕前 연구소장
2대박규은2급 군무원前 연구소장
3대박규은2급 군무원前 연구소장
4대문운경現 연구소장


3.2. 병[편집]


병은 10명 내외로 있었으며 병의 역할은 동물진료 수술 보조병, FTA(신원확인병) , 박사 및 장교를 보조해주는 의무시험병, 인사관리병, 전산병, 운전병, 보급병 등이 있었고, 주로 의무병 특기를 가진자가 배치받았다.

하지만 2021년부로 군사과학기술병을 제외한 병사 편제가 없어짐에 따라 과학기술병 이외에 병사들은 여기로 배치받을 수 없다. 기존에 있던 병사들이 모두 전역하게 되면 대부분의 지원업무를 국방부 소속 군무원들이 담당할 계획이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9:31:42에 나무위키 국군의학연구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60년~1965년 5월 30일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