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성트랙터종합공장

덤프버전 : r20190312

1. 개요
2. 역사
3. 규모와 위상
4. 기타



1. 개요[편집]


이 기업은 간단한 농기계를 생산하는 평양 농기구 제작소를 출발하여 기양 기계 공장으로 개칭을 하였고 1959년 일부 기계 설비의 재배치와증설을 기하고 명칭을 기양 트랙터 공장으로 바꾸었다.

1963-64년간에 건평 3만㎡의 대형 가공 조립 직장을 건설하였으며, 1971년 부터 대대적인 확장 공사를 추진하여 1973년 7월 연산 2만 대(15마력급) 수준의 생산 시설을 확보하고 공장 이름을 금성 트랙터 공장으로 개칭하였다.

생산 직장을 보면 이러하다. 주강 직장과 주물 직장, 단조 직장, 열처리 직장, 제관 직장, 가공 직장, 기관 직장, 조립 직장, 변속기 직장, 차체 직장, 제단 직장, 치차 직장, 형타 직장, 모형 직장, 공구 직장, 공작 기계 직장, 자동화 직장, 공무 직장, 건설 직장, 설계 연구소가 있다.

1973년 수천 대의 가공 설비와 조립 설비외에 89개의 흐름선 라인 중 북한은 16개는 자동 가공 흐름선으로 구성이 되어 있고 57개는 반자동 가공 흐름선으로 되어 있고 16개는 자동 조립 흐름선으로 되어 있음을 알수 있다.

생산 공정에는 가공 삭도로 구성이 되어 있어 승리 자동차 연합 기업소 보다 훨씬 최신예가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 역사[편집]



  • 1953년, 평양농기계제작소로 완공을 하여 시작을 하였다.
  • 1958년, 15마력 트랙터인 구소련제 트랙터를 모방 생산하여 천리마호로 자체적으로 1대를 만들게 되어 대성공을 거두게 됨
  • 1959년, 기양트랙터공장으로 다시 개칭
  • 1963년, 건평 3만m2 의 넓이로 대형 가공 조립 직장을 건설 하였다.
  • 1973년, 수천 대의 가공, 조립 설비와 16개의 가공 자동 흐름선과 16개의 자동 조립 흐름선을 갖추게 되었다.
  • 1988년, 1,2호 자동 주물 조형선을 설치를 하게 되었음
  • 1990년, 3호 자동 주물 조형선을 설치를 하였음
  • 1992년, 4호 자동 주물 조형선을 설치 하였음
  • 1996년, 7호 자동 주강, 주물 조형선을 설치를 하여 자체적으로 프레스로 제관을 하게 되었음
  • 2008년, 함가공 유연 생산 체계를 갖추어 엔진이나 부품들을 로봇을 통하여 가공할 수있도록 희천공작기계종합공장에서 공급을 함
  • 2009년, 주물 조형 흐름선을 컴퓨터 조종 체계를 갖추어 통합 생산 체계로 주물을 생산 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함
  • 2009년, 자동화를 더욱 업그레이드를 하여 70년대의 생산 체계로 유지하기 위하여 더욱 힘을 쓰게 되었음


3. 규모와 위상[편집]


금성 트랙터 종합 공장의 건평은 14.2만㎡ 종업원은 1만 명에 달하게 되었으며 연간 3만 대를 조립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되었다.

금성 트랙터 종합 공장은 남포시에 가장 유명한 공장 중에 하나이며 특히 남포시에서 생산한 트랙터는 전부 농업 기계화에 힘을 쓰고 있는 트랙터 중에 하나이다.

특히 금성 트랙터 종합 공장은 승리 자동차 연합 기업소와 더불어 자동화에 힘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4. 기타[편집]


1973년부터 자동 혹은 반자동 가공 라인을 가동하였고 애초부터 공작 기계를 애초부터 1970년대부터 가동을 하였고 CNC 공작기계를 부리기 이전에도 공작 기계 새끼치기 운동이 벌어져 많은 가공 라인을 금성 트랙터 종합 공장에 배치 하기에 이르렀고 더군다나 금성 트랙터 종합 공장은 승리 자동차 연합 기업소와 같이 공작기계 새끼치기 운동이 일어났던 곳중에 하나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