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현(1963)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現 SSG 랜더스 소속 내야수에 대한 내용은 김성현(1987) 문서
김성현(1987)번 문단을
김성현(1987)# 부분을
, 前 야구선수이자 승부조작범에 대한 내용은 김성현(1989) 문서
김성현(1989)번 문단을
#s-번 문단을
김성현(1989)#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김성현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45번
결번김성현
(1985~1988)
전봉석
(1990~1991)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3번
박정환
(1987~1988)
김성현
(1989~1996)
황두성
(1997)
{{{#000000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23번}}}
길홍규
(1994~1996)
김성현
(1997~1998)
결번
SK 와이번스 등번호 75번
팀 창단김성현
(2000)
백기성
(2001)
{{{#ffffff [[롯데 자이언츠|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82번}}}
가득염
(2011~2012)
김성현
(2014)
윤영진
(2015)


파일:external/file.giantsclub.com/86510_m.png
김성현
金成炫 | Kim Sung-Hyun
출생1963년 8월 21일 (60세)
정부 직할 부산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대연초 - 부산중 - 부산고 - 연세대[1]
포지션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1986년 1차 지명 (롯데)
소속팀롯데 자이언츠 (1986~1988)
삼성 라이온즈 (1989~1996)
쌍방울 레이더스 (1997~1998)
지도자SK 와이번스 배터리코치 (2000)
롯데 자이언츠 2군 배터리코치 (2003~2005)
개성고등학교 야구부 배터리코치 (2008~2013)
롯데 자이언츠 육성군 배터리코치 (2014)
인창고등학교 야구부 배터리코치 (2015~2016)
부산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7~2020)

1. 개요
2. 선수 경력
3. 지도자 경력
4. 연도별 성적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롯데 자이언츠 - 삼성 라이온즈 -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활동했던 포수. 등번호는 23번.(삼성) 직전까지의 부산고등학교 야구부의 감독이다. 그의 후임으로 현재는 롯데 자이언츠 후배였던 박계원 감독


2. 선수 경력[편집]


부산고등학교 -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1986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했으나, 최동원 - 김시진 등을 포함한 선수회 관련 보복성 트레이드의 일부로 1988 시즌 후 삼성으로 이적해 이만수의 백업 포수로 출전했다.

포수로서는 타격 능력이 그럭저럭 좋았지만, 홈런왕이자 당대 최강의 장타자였던 이만수에 비할 바는 못되었다. 여기에 1990~1991년의 2년 동안은 만성 간염으로 경기에 나오지 못했다.

그러던 1993년 이만수의 노쇠화를 계기로 주전 포수로 100경기에 출장하며 타율 2할 7푼에 11홈런을 기록해 선수 시절 최고의 해를 보냈다. 이에 앞서 1989년 5개의 3루타로 그 해 포수 부문 최다 기록을 세웠는데, 1993년 OB 박현영이 기록하여 동률이 됐다.[2]

전성기에는 2할 7푼 전후의 타율에 5~10개 정도의 홈런을 기록하는 선수였으나 수비적인 면에서는 평범한 편이었고, 수비적인 포수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1993년에 트레이드로 영입한 박선일에게 밀리기도 했다. 즉, 두 포수는 스타일이 정반대였다.

1996 시즌 종료 후 쌍방울 레이더스로 트레이드되었고, 1998년을 끝으로 은퇴하였다.


3. 지도자 경력[편집]


1999 시즌 후 쌍방울의 코치로 선임되었으나, 구단이 해체되어 쌍방울이 SK로 인계하여 SK 와이번스 코치가 되었으며. 이후 한동안 프로 무대를 떠나 인창고와 부산 개성고에서 배터리코치로 활동하였다가 2013 시즌 종료 후 롯데 자이언츠 3군 배터리코치로 임명되었다.

2014 시즌 후 다시 인창고 코치로 돌아갔다. 2017년부터는 모교인 부산고의 감독을 맡게 됐다. 2020년 시즌 중반 김대익 코치에 지휘봉을 넘겨주었다. 현재 부산고 감독은 박계원.


4. 연도별 성적[편집]


역대 기록
연도소속팀출장 경기수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4사구장타율출루율
1986롯데3947.19191114708.319.309
19871군 기록 없음
19881532.21970001515.219.324
연도소속팀출장 경기수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4사구장타율출루율
1989삼성4880.31325452211379.563.382
19901군 기록 없음
1991
199256152.270413232616311.375.304
1993100296.2708081114527020.416.316
1994101250.2766910153026219.384.321
199599227.2736211173622219.423.328
199645107.17819502511015.280.276
연도소속팀출장 경기수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4사구장타율출루율
1997쌍방울65163.245406132318020.350.324
199854136.21329101811112.243.277
KBO 통산
(10시즌)
6221490.25638149123519915616138.375.315


5. 관련 문서[편집]



[1] 1982학번[2] 이들 두 사람은 이후 1998년 쌍방울에서 한솥밥을 먹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09:52:09에 나무위키 김성현(196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