낸시 케리건

덤프버전 :

낸시 케리건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역대
[ 펼치기 · 접기 ]
하계 올림픽
19081908 런던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엘사 렌슈미트19201920 안트베르펀파일:스웨덴 국기.svg 스비아 노렌
동계 올림픽
1회1924 샤모니파일:미국 국기.svg 비아트릭스 로프렌2회1928 생모리츠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프릿지 버거
3회1932 레이크플래시드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프릿지 버거4회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영국 국기.svg 세실리아 콜레지
5회1948 생모리츠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에바 파릭6회1952 오슬로파일:미국 국기.svg 텐리 올브라이트
7회1956 코르티나담페초파일:미국 국기.svg 캐럴 하이스8회1960 스쿼밸리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
9회1964 인스브루크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레진 하이저10회1968 그르노블파일:동독 국기.svg 가브리엘 세이페르트
11회1972 삿포로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렌 마그누센12회1976 인스브루크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디아네 드 리우
13회1980 레이크플래시드파일:미국 국기.svg 린다 프래티아니14회1984 사라예보파일:미국 국기.svg 로잘린 섬너스
15회1988 캘거리파일:캐나다 국기.svg 엘리자베스 맨리16회1992 알베르빌파일:일본 국기.svg 이토 미도리
17회1994 릴레함메르파일:미국 국기.svg 낸시 케리건18회1998 나가노파일:미국 국기.svg 미셸 콴
19회2002 솔트레이크시티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20회2006 토리노파일:미국 국기.svg 사샤 코헨
21회2010 밴쿠버파일:일본 국기.svg 아사다 마오22회2014 소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아
23회2018 평창파일:오륜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24회2022 베이징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5회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26회?파일:국기.svg ?
* 1912년 올림픽에는 종목으로 추가되어있지 않았고, 1916년 올림픽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
1940년과 1944년 올림픽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됨.
* 1994년 릴레함메르 올림픽부터 동하계 올림픽 개최 주기가 2년마다 번갈아 열림.

{{{-3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금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c0c0; font-size: 1em;"
은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d7f32; font-size: 1em;"
동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
역대
[ 펼치기 · 접기 ]
하계 올림픽
19081908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도르시 그린호프 스미스19201920 안트베르펀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테레사 웰드
동계 올림픽
1회1924 샤모니파일:영국 국기.svg 에델 무켈트2회1928 생모리츠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비아트릭스 로렌
3회1932 레이크플래시드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마리벨 빈슨4회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스웨덴 국기.svg 비비 안네 헐튼
5회1948 생모리츠파일:영국 국기.svg 지네트 알트웨그6회1952 오슬로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자케린 두 비에프
7회1956 코르티나담페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인그리드 웰든8회1960 스쿼밸리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바바라 롤스
9회1964 인스브루크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페트라 버카10회1968 그르노블파일:체코 국기.svg 한나 마스코바
11회1972 삿포로파일:미국 국기.svg 재닛 린12회1976 인스브루크파일:동독 국기.svg 크리스틴 에라스
13회1980 레이크플래시드파일:독일 국기.svg 다그마 럴츠14회1984 사라예보파일:소련 국기.svg 키라 이바노바
15회1988 캘거리파일:미국 국기.svg 데비 토머스16회1992 알베르빌파일:미국 국기.svg 낸시 케리건
17회1994 릴레함메르파일:중국 국기.svg 천루18회1998 나가노파일:중국 국기.svg 천루
19회2002 솔트레이크시티파일:미국 국기.svg 미셸 콴20회2006 토리노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
21회2010 밴쿠버파일:캐나다 국기.svg 조아니 로셰트22회2014 소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롤리나 코스트너
23회2018 평창파일:캐나다 국기.svg 케이틀린 오스먼드24회2022 베이징파일:일본 국기.svg 사카모토 카오리
25회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26회?파일:국기.svg ?
* 1912년 올림픽에는 종목으로 추가되어있지 않았고, 1916년 올림픽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
1940년과 1944년 올림픽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됨.
* 1994년 릴레함메르 올림픽부터 동하계 올림픽 개최 주기가 2년마다 번갈아 열림.

{{{-3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금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c0c0; font-size: 1em;"
은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d7f32; font-size: 1em;"
동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
전미선수권
[ 펼치기 · 접기 ]
1회(1914년) ~ 50회(1963년)
[ 펼치기 · 접기 ]
1회1914 뉴헤이븐테레사 웰드2회1915취소WWI
3회1916취소WWI4회1917취소WWI
5회1918 뉴욕시로즈메리 베리스퍼드6회1919미개최
7회1920 뉴욕시테레사 웰드8회1921 필라델피아테레사 웰드
9회1922 보스턴테레사 웰드10회1923 뉴헤이븐테레사 웰드
11회1924 필라델피아테레사 웰드12회1925 뉴욕시비어트릭스 로크런
13회1926 보스턴비어트릭스 로크런14회1927 뉴욕시비어트릭스 로크런
15회1928 뉴헤이븐메리벨 빈슨16회1929 뉴욕시메리벨 빈슨
17회1930 프로비던스메리벨 빈슨18회1931 보스턴메리벨 빈슨
19회1932 뉴욕시메리벨 빈슨20회1933 뉴헤이븐메리벨 빈슨
21회1934 필라델피아수잰 데이비스22회1935 뉴헤이븐메리벨 빈슨
23회1936 뉴욕시메리벨 빈슨24회1937 시카고메리벨 빈슨
25회1938 필라델피아조앤 토저26회1939 세인트 폴조앤 토저
27회1940 클리블랜드조앤 토저28회1941 보스턴제인 본
29회1942 시카고제인 본30회1943 뉴욕시그레천 메릴
31회1944 미니애폴리스그레천 메릴32회1945 뉴욕시그레천 메릴
33회1946 시카고그레천 메릴34회1947 버클리그레천 메릴
35회1948 콜로라도 스프링스그레천 메릴36회1949 콜로라도 스프링스이본 C. 셔먼
37회1950 워싱턴 D.C.이본 C. 셔먼38회1951 시애틀소냐 크로퍼
39회1952 콜로라도 스프링스텐리 올브라이트40회1953 허시텐리 올브라이트
41회1954 로스앤젤레스텐리 올브라이트42회1955 콜로라도 스프링스텐리 올브라이트
43회1956 필라델피아텐리 올브라이트44회1957 버클리캐럴 하이스
45회1958 미니애폴리스캐럴 하이스46회1959 로체스터캐럴 하이스
47회1960 시애틀캐럴 하이스48회1961 콜로라도 스프링스로런스 오언
49회1962 보스턴바버라 롤스 퍼즐리50회1963 롱비치로레인 핸런
51회(1964년) ~ 100회(2013년)
[ 펼치기 · 접기 ]
51회1964 클리블랜드페기 플레밍52회1965 레이크플래시드페기 플레밍
53회1966 버클리페기 플레밍54회1967 오마하페기 플레밍
55회1968 필라델피아페기 플레밍56회1969 시애틀재닛 린
57회1970 털사재닛 린58회1971 버팔로재닛 린
59회1972 롱비치재닛 린60회1973 미니애폴리스재닛 린
61회1974 프로비던스도로시 해밀62회1975 오클랜드도로시 해밀
63회1976 콜로라도 스프링스도로시 해밀64회1977 하트퍼트린다 프래티아니
65회1978 포틀랜드린다 프래티아니66회1979 신시내티린다 프래티아니
67회1980 애틀랜타린다 프래티아니68회1981 샌디에이고일레인 자약
69회1982 인디애나폴리스로잘린 섬너스70회1983 피츠버그로잘린 섬너스
71회1984 솔트레이크시티로잘린 섬너스72회1985 캔자스시티티파니 친
73회1986 유니언데일데비 토머스74회1987 타코마질 트레나리
75회1988 덴버데비 토머스76회1989 볼티모어질 트레나리
77회1990 솔트레이크시티질 트레나리78회1991 미니애폴리스토냐 하딩
79회1992 올랜도크리스티 야마구치80회1993 피닉스낸시 케리건
81회1994 디트로이트-82회1995 프로비던스미셸 콴
83회1996 산호세타라 리핀스키84회1997 내슈빌미셸 콴
85회1998 필라델피아미셸 콴86회1999 솔트레이크시티미셸 콴
87회2000 클리블랜드미셸 콴88회2001 보스턴미셸 콴
89회2002 로스앤젤레스미셸 콴90회2003 댈러스미셸 콴
91회2004 애틀랜타미셸 콴92회2005 포틀랜드미셸 콴
93회2006 세인트루이스사샤 코헨94회2007 스포캔키미 마이즈너
95회2008 세인트 폴미라이 나가수96회2009 클리블랜드알리사 시즈니
97회2010 스포캔레이첼 플랫98회2011 그린스보로알리사 시즈니
99회2012 산호세애슐리 와그너100회2013 오마하애슐리 와그너
101회(2014년) ~
* 토냐 하딩 사건으로 인해 1994 전미선수권 챔피언 토냐 하닝의 타이틀을 박탈함.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3 : 남자 | 여자>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일본 국기.svg 전일본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낸시 케리건
Nancy Kerrigan
파일:낸시 케리건.jpg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은메달 획득 당시
본명낸시 앤 케리건 (Nancy Ann Kerrigan)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출생1969년 10월 13일 (54세)
매사추세츠 주 스톤햄
신체162cm
종목피겨 스케이팅
은퇴1994년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2.1. 1986-87 시즌
2.2. 1987-88 시즌
2.3. 1988-89 시즌
2.4. 1989-90 시즌
2.5. 1990-91 시즌
2.6. 1991-92 시즌
2.7. 1992-93 시즌
2.8. 1993-94 시즌
3. 커리어
4. 기타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미국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이다. 2004년 미국 피겨 스케이팅 명예의 전당에 헌정되었으며 토냐 하딩 사건의 피해자로 유명하다.

2. 선수 경력[편집]


케리건은 강한 점프 선수로서의 초기 인상을 남겼지만, 컴펄서리에서는 비교적 약했다. 1989-90 시즌 이후 컴펄서리가 폐지될 때까지 그녀는 계속해서 컴펄서리에 의해 제지되었다.

2.1. 1986-87 시즌[편집]


1986 NHK 트로피에서 5위를 했다. 1987 전미 주니어선수권에서 4위에 오르면서 자국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2.2. 1987-88 시즌[편집]


시니어 내셔널에 데뷔했으며 1988 전미선수권에서 12위를 기록했다.

2.3. 1988-89 시즌[편집]


1988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5위, 1989 전미선수권에서 5위를 기록했다. 1989 동계 유니버시아드에서 동메달을 땄다.

2.4. 1989-90 시즌[편집]


1989 친선경기에서 5위, 1989 트로피 랄리크에서 3위를 기록했다. 1990 전미선수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2.5. 1990-91 시즌[편집]


1990 트로피 랄리크에서 3위, 1990 나치온스 컵에서 1위를 기록했다.
파일:1991 전미선수권 여자 싱글 포디움.jpg파일:1991 세계선수권 여자싱글 포디움.jpg
1991 전미선수권1991 세계선수권
1991 전미선수권에서 3위를 차지하면서 내셔널에서의 상승세가 계속되었다. 따라서 1991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얻었으며, 이 대회에서 동메달을 땄다. 이 대회에서 동료인 크리스티 야마구치토냐 하딩이 각각 금, 은메달을 따내면서 세계선수권에서 단일 국가로는 처음으로 여자 싱글 시상대를 스윕했다.

2.6. 1991-92 시즌[편집]


1991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2위를 기록했다.
1992 전미선수권에서 2위를 차지하며 올림픽 대표로 선발되었다.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서 동메달을 땄고 1992 세계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땄다.

2.7. 1992-93 시즌[편집]


파일:1993 전미선수권 여자싱글 포디움.jpg
1993 전미선수권
크리스티 야마구치가 은퇴한 상황에서, 케리건은 1993 전미선수권에서 비록 실수가 있었지만 우승을 차지했다. 1993 세계선수권에선 쇼트에서 1위에 올랐으나, 프리에서는 거의 모든 점프에서 손을 짚거나 넘어지는 실수가 나왔고 결국 최종 5위로 추락했다.

2.8. 1993-94 시즌[편집]


올림픽 선발전을 겸한 전미선수권을 앞둔 1994년 1월 6일, 케리건은 피겨계를 넘어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한 범죄의 희생양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토냐 하딩 사건 문서 참조.

결국 케리건이 전미선수권을 기권한 가운데, 토냐 하딩이 우승을 차지했고 미셸 콴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우여곡절 끝에 케리건은 올림픽 대표 2자리 중 한 자리에 들어가게 되었고, 미셸 콴은 대체 선수로 대표팀과 동행하게 되었다. 케리건은 부상에서 빨리 회복하여 집중 훈련을 재개했다.

습격이 있은 지 7주 후,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이 열렸고 케리건은 쇼트와 프리에서 모두 훌륭한 연기를 선보였다. 그녀는 쇼트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프리에서 옥사나 바이울에게 역전당하였고 결국 금메달을 옥사나 바이울에게 아슬아슬하게 내주었다.[2] 케리건은 2위를 차지한 것에 대해 불만과 실망감을 드러내는 것으로 보였다.[3] CBS에서 이것에 대해 방송하였는데, 이게 습격 사건 피해자라는 이미지를 보호해온 케리건에 대한 동정심과 여론을 악화시켰다. 후에 올림픽 폐막식에 불참했고, 미국으로 떠났다.[4]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는데, 월트 디즈니 월드 퍼레이드에서 케리건이 미키 마우스와 함께 관람객들에게 웃는 얼굴로 손을 흔들며 케리건이 미키 마우스에게 중얼거리는 말이 그대로 녹음되었는데, "It’s so corny.", "so dumb… I hate it.", "This is the most corny thing I’ve ever done."[5]세계선수권도 불참하였으며 이 시즌을 끝으로 은퇴했다.

3. 커리어[편집]


올림픽
은메달1994 릴레함메르여자 싱글
동메달1992 알베르빌여자 싱글
세계선수권
은메달1992 오클랜드여자 싱글
동메달1991 뮌헨여자 싱글
유니버시아드
동메달1989 소피아여자 싱글

국제대회
대회84–8585–8686–8787–8888–8989–9090–9191–9292–9393–94
올림픽3rd2nd
세계선수권3rd2nd5thWD
피뤠텡1st
나치온스 컵1st
트로피 랄리크3rd3rd
친선경기5th
유니버시아드3rd
스케이트 아메리카5th2nd
노버랫 트로피1st
NHK 트로피5th
국내대회
전미선수권9th N11th J4th J12th5th4th3rd2nd1stWD
미국 올림픽 페스티벌3rd1st
J=주니어, N=노비스, WD=기권

4. 기타[편집]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사라 케리건은 이 사람의 이름에 유래되었다. 이는 디자인 구상 당시 전반적인 캐릭터의 모델인 레드얼럿 시리즈의 타냐토냐 하딩과 이름이 비슷한 타냐를 빗대서 낸시 케리건의 이름을 따왔다.
  •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토냐 하딩은 기술성, 이 선수는 예술성이 뛰어난 것으로 소개하였는데, 낸시 케리건 선수도 예술성보다는 기술성이 뛰어난 선수였다. 트리플-트리플 콤비네이션 점프를 했었고, 점프의 안정적인 성공률[6]이 좋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하딩보다 우위를 점하기 쉬웠다. 반면 토냐 하딩은 트리플 악셀, 트리플 콤비의 기술 난이도는 높았지만, 점프의 안정성이 낮았다.
  • 토냐 하딩 사건의 피해자인 것과 별개로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땐 다소 프로답지 못한 모습을 보여줬다. 메달 시상식이 우크라이나 국기와 국가를 준비하던 당시, 천루에게 옥사나 바이울에 대한 불만을 쏟는 모습이, 미국 방송 카메라에 잡혔다. 경기가 끝나고 폐막식 대신 디즈니 퍼레이드에 참가하여 언급한 불만에 대한 변명을 했지만, 이 때부터 자국 여론은 좋지 못했고 이미지가 추락했다. 반대로 옥사나 바이울은 미국 아이스 쇼에 초청을 받으며 미국 언론에서 "은반의 요정"으로 각광받았다.
다만 낸시 캐리건이 해당 발언으로 인해 지나치게 비난을 받는다는 의견 역시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당시 현장에 있던 관계자로부터 "옥사나 바이울이 우느라 메이크업이 지워져서 다시 손 봐야 하기 때문에 시상식이 지연되고 있다"고 잘못 전달받은 상황이라, 보통의 선수 입장에서는 충분히 짜증스러운 상황인 것은 분명했다. 왜냐하면 포디움에 오른 선수들은 스케이트화를 계속 신은 채로 대기해야 하는데, 연기가 끝난 후에도 스케이트를 계속 신고 있다보면 딱딱한 스케이트화로 인해 발목과 다리가 상당히 아프기 때문이다.즉 낸시의 언행이 잘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그렇다고 하여 그녀가 이렇게 큰 비난을 받는 것도 다소 가혹하다는 의견이다. 특히나 아주 사소한 차이로 평생의 꿈인 금메달을 놓친 캐리건의 입장에서 기분이 좋았을리가 없었을 것이다.

  • 하지만, 낸시 케리건의 여론을 정말 악화시킨 것은 옥사나 바이울에 대해 불만을 토로한 것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케리건은 토냐 하딩 사건의 피해자라는 인식과, 사실상 그녀의 마지막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간발의 차이로 놓쳤다는 여론이 강했기 때문이다.[7]하지만, 케리건이 폐막식에 불참하고, 미국으로 떠난 뒤, 케리건이 디즈니 퍼레이드에서 웃는 얼굴로 그녀 옆에 있던 미키 마우스에게 짜증과 불평을 한 것이 그대로 녹음되어 방송되며 여론이 극도로 나빠졌다.# 바이울에 대해 불만을 표출한 것은 실망감에 이해할 수 있다는 반응이 많았으나, 무려 200만 달러 스폰서인 디즈니의 행사에서 미키 마우스에게[8] 짜증을 낸 것은 변명할 수 없었다. 게다가, 그 직후 디즈니가 NBC의 아침 토크쇼에 케리건이 출연하도록 주선했는데[9] 어떤 이유에선지 낸시 캐리건이 제시간에 오지 않아, NBC의 아침 토크쇼에서는 텅 빈 의자가 생방송으로 그대로 송출되었고, 방송이 끝나기 직전에야 케리건이 나타났다.

  • 은퇴 이후 아이스 쇼 무대에 오르고 주니어 시절의 김연아의 경기를 해설하는 등 선수 및 해설가로서는 성공적이고 모범적인 삶을 살았으나, 아픈 가정사를 가졌다. 용접공인 아버지가 집을 저당잡힐 정도로 딸의 스케이팅에 지원을 해줬으나 2010년, 여러 면에서 문제가 많았던 오빠와의 큰 다툼으로 인한 충격으로 심장 마비로 사망하였다. 낸시의 어머니도 당시 그 자리에 있었으나 시력이 실명에 가까운 상태[10]라 무슨 일이 일어나는 중인지 정확히 알 수 없었음에도 법정에 서서 증언을 하는 등 가혹한 일을 겪어야 했다.

5. 관련 문서[편집]


[1] 당시 프리 스케이팅에서 트리플 토룹+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 점프를 성공했다. 첫번째 트리플 토룹은 회전수가 부족했지만, 당시에는 개별 요소에 점수를 주지 않았던 구채점제였고 무엇보다 3회전+3회전 컴비네이션은 일부 최상위권 선수들도 시도조차 못하는 최고난도 점프였다.[2] 프로토콜 결과, 기술점수에서는 낸시는 5.7점을 3개, 5.8점은 6개를 받았다. 반면 바이울은 5.5점 1개, 5.6점 1개, 5.7점 1개, 5.8점 5개, 5.9점을 1개 받았다. 예술점수에서는 낸시는 5.9점을 6개 받아 미국 관중들은 거의 낸시의 금메달을 예상하고 있었다.[1] 그런데 당시 동독 출신 독일 심판이었던 얀 호프만이 바이울에게 예술점수 0.1점을 더 주어서 바이울 역시 낸시처럼 5.9점을 6개를 받게 되었을 뿐더러, 그로 인해 낸시와 바이울의 점수를 1위로 채점한 심판의 수가 동점이 되어버렸다. 하지만, 당시에는 예술점수로 순위에 우위를 두었던 채점제였기 때문에 예술점수를 조금 더 높게 받은 바이울이 금, 낸시가 은메달이 되었다. CBS TV는 이 논란을 냉전시대 동서 분단으로 묘사함으로써 격앙된 평가를 했으며, 그로 인해 얀 호프만은 북미에서 까일대로 까였다. 위에서 얘기했듯이 같은 유럽, 그것도 같은 공산권 출신 선수에게 점수를 더 주었다고 까였다.[3] 올림픽 관계자들이 우크라이나 국가와 국기를 20분 넘게 찾느라 시상식이 지연됐었는데 옥사나 바이울이 울어서 화장이 지워져 다시 고치느라 시상식이 지연됐다고 누군가 케리건에게 잘못 알렸다. 실망한 기색이 역력한 케리건은 함께 대기하던 천루에게 “Oh, Come on. So She's going to get out here and cry again. What's the difference?” 라고 불만을 터뜨리는 것이 카메라에 잡혔다.[4] 당시 그녀의 소속사는 이것이 노르웨이 보안 팀이 그녀에게 살해 위협 때문에 떠나라고 충고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지만, 이것은 나중에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대신 그녀는 2백만 달러의 스폰서인 월트 디즈니 월드에서 예정된 홍보 행사에 참가하기 위해 노르웨이를 일찍 떠났다.[5] "진짜 진부해.", "완전 바보같아… 진짜 싫다.", "내가 했던 것 중 가장 진부한 일이야." 라는 의미인데, 당시 언론에서 "Icy Nancy" 라고 대놓고 부를 정도로 평판이 추락했다.[6] 전문 용어로는 Consistency(컨시)라고 한다.[7] 당시 낸시 케리건의 나이가 24살이었는데, 30여년이 지난 지금도 여자 피겨 스케이터로서는 많은 나이다.[8] 당연하지만, 인형탈을 쓴 직원이었다.[9] 여론을 악화시키는 논란에 대해 해명을 하라는 의미일 가능성이 높았다.[10] 이 때문에 케리건은 시각 장애인 단체의 대변인을 맡기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9 03:54:09에 나무위키 낸시 케리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