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레드불스

덤프버전 :





파일:뉴욕 레드불스 로고.svg
뉴욕 레드불스
New York Red Bulls
별칭Red Bulls (레드불스), Metros (메트로즈)
약칭RBNY
창단1994년 6월 15일(29주년)[1][2]
리그 참가1996년(28주년)
소속 리그메이저 리그 사커 (Major League Soccer)
소속 컨퍼런스동부 컨퍼런스 (Eastern Conference)
연고지뉴욕주 뉴욕[3]
홈구장자이언츠 스타디움 (Giants Stadium, 1996~2009)[4]
레드불 아레나 (Red Bulls Arena, 2010~)
소유주레드불 유한회사
감독공석
공식 웹사이트 및 SNS
[미국]
파일:뉴욕 레드불스 로고.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우승 / 플레이오프 기록
MLS컵
(0회)
-
컨퍼런스
(1회)
2008
서포터즈 실드
(3회)
2013, 2015, 2018
US 오픈컵
(0회)
-
MLS컵 플레이오프
(22회 / 최다)
1996, 1998, 2000, 2001,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팀 컬러 / 유니폼
[ 펼치기 / 접기 ]
팀 컬러
빨강색 네이비 금색 회색 흰색
클럽 기록
최다 출장루이스 로블레스, 206경기 (2012~2019)
최다 득점브래들리 라이트-필립스, 106골 (2013~2019)

2022 시즌 유니폼
HOMEAWAY메인 스폰서유니폼 메이커
파일:RBNY 2021 Home.jpg파일:RBNY 2022 Away.jpg파일:레드불 로고.svg파일:아디다스 로고.svg
1. 개요
2. 상세
3. 선수 명단
4. 성적
4.1. 2017 시즌
4.2. 2018 시즌
5. 홈구장
6. 기타
7. 같이보기



1. 개요[편집]


파일:뉴욕/뉴저지 메트로스타스 로고(1995~2002).svg파일:뉴욕/뉴저지 메트로스타스 로고(2003~2005).svg
(1995년~2002년) (2003년~2005년)
뉴욕/뉴저지 메트로스타스의 로고

뉴욕 레드불스 (New York Red Bulls)는 뉴저지 주 해리슨 (Harrison)에 연고지를 둔 축구 클럽이다. 1996년부터 1997년 동안 뉴욕/뉴저지 메트로스타즈 (New York/New Jersey MetroStars)로 불렸고, 1997년부터 2005년 동안 메트로스타즈 (MetroStars)로 불렸다. 2006년 오스트리아의 회사인 레드불이 클럽을 인수하면서 클럽 명칭이 레드불 뉴욕으로 개칭되었다.[5] 그러나 실제로 경기하는 구단 이름은 뉴욕 레드불스라는 호칭이 사용된다.


2. 상세[편집]


티에리 앙리 전과 후로 구분할 수 있는 구단이다. 레드불의 구단 인수 이후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서 FC 바르셀로나에서 활약하고 있는 티에리 앙리를 이적시켰고, 티에리 앙리는 레드불스의 공격을 이끄면서 화려한 공격력을 보여주던 구단으로 변모시켰다. 2014년에 티에리 앙리가 은퇴한 이후 팀의 포워드 자리는 잉글랜드 출신 브래들리 라이트 필립스 (Bradley Edward Wright-Phillips)[6]가 이어나가고 있다.

정규시즌에는 상당히 강한 면모를 보여주지만, 플레이오프인 MLS컵에서 계속 덜미를 잡히면서 우승과는 인연이 먼 팀이다. 2020시즌 기준으로도 서포터즈 실드는 3회나 차지했지만, 우승컵은 한 번도 들어올리지 못했다[7].

1995년 창단 이후 2013 시즌에 가장 좋은 성적인 17승 8무 9패 승점 59점을 기록, 정규 리그 1위를 차지하여 서포터스 실드를 차지했지만, 이후 돌입한 플레이오프에서는 휴스턴 다이나모에게 1차전에 2-2 무승부, 2차전에 1-2로 패하며 컨퍼런스 결승 진출에는 실패하였다.

새롭게 떠오른 지역 라이벌인 뉴욕 시티 FC와는 사이가 나빠지고 있다. 각 팀의 훌리건들이 길에서 충돌한 적이 있고, 뉴욕 시티가 뉴욕의 관중들을 끌어 모아 동원에 성공하는등, 레드불스 입장으로 배 아픈 일이 연이어 터지고 있기 때문에, 뉴욕시티가 창단한지 얼마 안된 상황에서, 벌써부터 사이가 안 좋다[8].

3. 선수 명단[편집]



뉴욕 레드불스 2023 시즌 스쿼드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비고
3파일:이집트 국기.svgDF아므로 타레크Amro Tarek1992.05.17
4파일:콜롬비아 국기.svgDF안드레스 레예스Andrés Reyes1999.09.08
5파일:미국 국기.svgDF앤드류 거트먼Andrew Gutman1996.10.02[a]
6파일:미국 국기.svgDF카일 던컨Kyle Duncan1997.08.08
8파일:미국 국기.svgMF프랭키 아마야Frankie Amaya2000.09.26
9파일:브라질 국기.svgFW파비우Fábio Roberto Gomes Netto1997.05.25[c]
10파일:스웨덴 국기.svgMF에밀 포르스베리Emil Forsberg1991.10.23지정선수
13파일:브라질 국기.svgGK카를루스 코로넬Carlos Coronel1998.08.05[d]
15파일:미국 국기.svgDF션 닐리스Sean Nealis1997.01.13
16파일:잉글랜드 국기.svgMF드루 이어우드Dru Yearwood2000.02.17
17파일:미국 국기.svgFW캐머런 하퍼Cameron Harper2001.11.19
18파일:미국 국기.svgGK라이언 미라Ryan Meara1990.11.15
19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MF위켈만 카르모나Wikelman Carmona2003.02.24
21파일:미국 국기.svgMF오미르 페르난데스Omir Fernandez1999.02.08홈그로운
22파일:프랑스 국기.svgMF플로리앙 발로Florian Valot1993.02.13
23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MF크리스티안 카세레스Cristian Casseres2000.01.20
24파일:프랑스 국기.svgDF제이송 펜당Jason Pendant1997.02.07
37파일:미국 국기.svgMF케이든 클라크Caden Clark2003.05.27[d]
39파일:잉글랜드 국기.svgDF만델라 에그보Mandela Egbo1997.08.17
44파일:말리 국기.svgMF유바 디아라Youba Diarra1990.03.02[d]
47파일:미국 국기.svgDF존 톨킨John Tolkin2002.07.31홈그로운
74파일:미국 국기.svgFW톰 발로우Tom Barlow1995.07.08
77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FW다니엘 로이어Daniel Royer1990.05.22
88파일:미국 국기.svgGK루카 루이스Luca Lewis2001.02.22
91파일:미국 국기.svgMF벤토 에스트렐라Bento Estrela2006.02.10홈그로운
출처: 뉴욕 레드불스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1년 7월 6일



4. 성적[편집]


년도리그 순위플레이오프 성적대륙컵 성적컵대회 성적
뉴욕/뉴저지 메트로스타즈
19963위 (컨퍼런스), 7위 (리그)8강--
19975위 (컨퍼런스), 9위 (리그)--준결승
메트로스타즈
19983위 (컨퍼런스), 6위 (리그)8강-준결승
19996위 (컨퍼런스), 12위 (리그)--16강
20001위 (컨퍼런스), 3위 (리그)준결승-준결승
20012위 (컨퍼런스), 6위 (리그)8강-32강
20024위 (컨퍼런스), 9위 (리그)--8강
20033위 (컨퍼런스), 6위 (리그)8강-준우승
20043위 (컨퍼런스), 6위 (리그)8강-16강
20054위 (컨퍼런스), 6위 (리그)8강-16강
뉴욕 레드불스
20064위 (컨퍼런스), 8위 (리그)8강-8강
20073위 (컨퍼런스), 6위 (리그)8강--
20085위 (컨퍼런스), 8위 (리그)준우승-16강
20097위 (컨퍼런스), 15위 (리그)-조별라운드-
20101위 (컨퍼런스), 3위 (리그)8강-16강
20115위 (컨퍼런스), 10위 (리그)8강-8강
20123위 (컨퍼런스), 4위 (리그)8강-16강
2013파일:Supporters Shield ICON.png 서포터즈 실드8강-16강
20144위 (컨퍼런스), 8위 (리그)4강조별라운드4라운드
2015파일:Supporters Shield ICON.png 서포터즈 실드4강-8강
20161위 (컨퍼런스), 3위 (리그)8강8강16강
20176위 (컨퍼런스), 9위 (리그)컨퍼런스 준결승8강준우승
2018파일:Supporters Shield ICON.png 서포터즈 실드컨퍼런스 준우승준결승16강
20196위 (컨퍼런스), 12위 (리그)1라운드8강4라운드


4.1. 2017 시즌[편집]


정규리그에서 동부컨퍼런스 6위를 기록하며 간신히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넉아웃라운드에서 컨퍼런스3위 시카고 파이어 SC를 무려 4대0으로 대파하며 컨퍼런스 준결승진출에 성공했다. 컨퍼런스 준결승에서 정규리그 우승팀 토론토 FC를 상대하여 종합스코어 2-2로 선전했으나 원정골 다득점에서 뒤져 탈락했다.

US 오픈컵 결승에 진출했지만 스포팅 캔자스시티에 1-2로 패해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다.


4.2. 2018 시즌[편집]


파일:REDBULL NEWYORK 2018 SUPPORTERS SHIELD.png

정규리그에서 3년 만에 서포터스 실드를 차지하며 MLS컵 첫 우승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그러나 콘퍼런스 결승에서 애틀랜타 유나이티드 FC에 도합 1-3으로 패하며 또다시 우승에 실패했다. 특히 원정 경기였던 1차전 브래들리 라이트필립스의 동점골이 VAR 판정으로 무효된 것이 레드불스로써는 두고두고 아쉬운 상황이 되었다.

동서부를 통틀어서 플레이오프에 최다 출전한 팀이 되었지만 또다시 무관에 그치며 뉴잉글랜드에 이은 새로운 콩라인으로 떠올랐다[9].

그러나 3년 후, 더욱 더 치욕적인 경험을 해야 했다. 2021 시즌 컨퍼런스 준결승에서 필라델피아 유니언에 연장 후반 종료 직전 통한의 결승골을 얻어맞으며 좌절당하고 그렇게 올라간 필라델피아는 뉴욕 시티에게 패한 것도 모자라 그렇게 올라간 뉴욕 시티는 자신들 보다 먼저 MLS컵 우승까지 해버려 2배로 모욕을 당했다.

이듬해인 2022 시즌에서도 뉴욕 시티에 이은 컨퍼런스 4위로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뤄냈으나 1라운드에서 창단 첫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한 FC 신시내티에 패해 또한번 치욕을 당하고 만다. 반면, 자신들의 철천지 웬수인 뉴욕 시티는 역시 창단 첫 플레이오프 진출을 한 인터 마이애미를 맞이해 3-0으로 제압, 2라운드로 진출했다.

5. 홈구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레드불 아레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RedBullArenaMLS.png


6. 기타[편집]


과거 주니뉴 페르남부카누, 팀 하워드, 로타어 마테우스, 티에리 앙리, 팀 케이힐 등 유명 선수들이 이 팀에서 뛰었다.

영화배우 줄리아 스타일스가 이 팀의 팬이다.

한국과는 좋은 인연은 아닌데 2002 한일 월드컵 조별리그 한국전에서 선제골을 넣었던 미국 대표팀의 클린트 매티스가 이 팀의 전신이었던 뉴욕/뉴저지 메트로스타스 소속이었다.

앞서 언급한대로 리그 창설 원년팀들 가운데 뉴잉글랜드 레볼루션과 더불어 MLS 컵을 들어보지 못한 팀이다. 하다못해 라이벌 뉴욕 시티도 먼저 컵을 들어올리는 경사를 맞이했다.

7. 같이보기[편집]




파일:Red Bull GmbH logo.png
레드불 산하 스포츠단
[ 펼치기 · 접기 ]
축구파일:FC 레드불 잘츠부르크 로고.svg[1]파일:RB 라이프치히 로고.svg[2]파일:뉴욕 레드불스 로고.svg파일:RB 브라간치누 로고.svg[3]
아이스하키파일:1200px-EC_Red_Bull_Salzburg.svg.png파일:1200px-EHC_München_logo.svg.png
F1파일:Oracle Red Bull Racing Logo.png파일:logo_scuderiaalphatauri.png
[1] 위성구단으로 "FC 리퍼링"이 있다.[2] 명목상 최대 후원사[3] 위성구단으로 "레드불 브라질"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08:31:05에 나무위키 뉴욕 레드불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 원년 구단[3] 뉴욕 자이언츠뉴욕 제츠처럼 이름만 뉴욕이고 경기장은 뉴저지 해리슨에 있다.[4] NFL 뉴욕 자이언츠뉴욕 제츠와 공용[5] MLS 규정상 기업이름이 팀 이름에 붙을수가 없다. 그리고 1년전 레드불의 레드불 잘츠부르크 인수 사건 때문에 기존 메트로스타스 서포터들이나 다른팀 서포터, 심지어 본거지 유럽지역에서도 반대시위를 했지만 결국 레드불의 자본공세에 인수와 개칭이 허락되고 말았다.[6] 1990년대 아스날의 전설적인 공격수인 이안 라이트의 친아들이자 숀 라이트 필립스의 이복동생이다. 형 숀 역시 현재 뉴욕 레드불스 소속이었다가 2021년부터 LAFC 소속이다.[7] 이런 와중에 2021년 시즌, 뉴욕 시티가 이들보다 먼저 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리고 말았다.[8] 게다가 뉴욕 시티가 2021년 시즌 레드불스보다 먼저 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려 그야말로 자존심에 큰 상처를 받았다. 레드불스 역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이스턴 컨퍼런스 준결승전이었던 필라델피아 유니언 원정경기에서 연장 후반 종료직전 필라델피아의 야콥 글레스네스에 통한의 역전골을 얻어맞고 탈락해 그 쓰라림이 더하다.[9] 이 두 팀의 입장에선 진짜 치욕스러운 게 같은 컨퍼런스의 원년 동기인 DC 유나이티드LA 갤럭시에 이은 MLS컵 최다 우승팀이다. 게다가 뉴욕 시티는 창단 후 여섯번째 플레이오프 진출만에 리그 컵을 받아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