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버거

덤프버전 :

}}}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사무엘 니콜라스윌리엄 버로우즈프랭클린 와튼앤서니 게일아치발드 헨더슨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존 해리스제이콥 제일린찰스 맥콜리찰스 헤이우드조지 앨리엇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제15대
윌리엄 비들조지 바넷존 레요인웬델 네빌벤 풀러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존 러셀 주니어토머스 홀컴알렉산더 반데그리프트클리프턴 케이츠르뮤엘 셰퍼드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제25대
랜돌프 페이트데이비드 쇼프월러스 그린레너드 채프먼로버트 쿠시만
제26대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루이스 윌슨로버트 배로폴 캘리알프레드 그레이칼 먼디
제31대제32대제33대제34대제35대
찰스 크룰럭제임스 존스마이클 헤이지제임스 콘웨이제임스 에이머스
제36대제37대제38대제39대
조지프 던퍼드로버트 넬러데이비드 버거에릭 스미스
※ 사령관 취임 당시 계급 일람
제1 ~ 2대 : 소령 / 제3 ~ 5대 : 중령 / 제6 ~ 9대 : 대령 / 제10 ~ 17대 : 소장 / 제18대 : 중장 / 제19대 ~ 현재 : 대장



제38대 미합중국 해병대사령관
데이비드 힐베리 버거
David Hilberry Berger
파일:Berger.jpg
출생1959년 12월 21일 (64세)
미국 델라웨어주 도버
국적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학력툴레인 대학교 (공학 / 학사)
존스 홉킨스 대학교 (공공정책학 / 석사)
존스 홉킨스 대학교 (군사학 / 석사)
복무미합중국 해병대
복무 기간1981년 ~ 2023년 7월 10일
최종 계급미국 해병대 대장 (General of The U.S. Marine Corps)
최종 보직해병대사령관
지휘해병대전투발전사령관
태평양해병대사령관
1해병원정군사령관
2해병사단 8해병연대장

1. 개요
2. 생애
3. 정책



1. 개요[편집]


미합중국 해병대 대장이며, 제38대 미합중국 해병대사령관이다. 2019년 6월 도널드 트럼프 미합중국 대통령에 의해 미 해병대 사령관으로 지명되었고, 6월 5일 미 상원에 의해 제38대 미 해병대 사령관으로 인준되어, 7월 11일 워싱턴 D.C. 미 해병대 본부에서 취임식을 했다.

2. 생애[편집]


1959년 12월 21일 미 델라웨어 주 도버에서 태어나 툴레인 대학교 해군 학군단 NROTC를 통해 1981년 미 해병대 보병 장교로 임관했다. 미 제1해병사단 7연대 3대대 1중대에서 소총소대장과 소총중대장을 역임했다. 걸프 전쟁 당시에는 미 제2해병사단 수색대대 작전장교를 역임했다. 이후 미 버지니아 주에서 미 해병대 학사장교 모병관을 거쳐, 미 해병대 훈련교육사령부(TECOM)의 공지전 학교인 제1전술무장 해병항공대대(MAWTS-1)에서 지상전투 교관으로 근무했고, 미 제3해병원정군 특수작전훈련단 교관과 미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본부(J-5)에서 근무했다. 이후 미 제2해병사단 8연대 3대대장을 역임했고, 대령으로 진급 후에는 이라크 전쟁에 파병되어 미 제2해병사단 8연대전투단장(RCT-8)으로 근무했다.

준장 진급 후에는 미 제2해병사단 부사단장(assistant division commander)을 지내던 중 코소보 평화유지군 참모장으로 파견되었다. 이후 미국으로 돌아와 미 해병대본부 작전참모부 계획정책참모처장과 작전처장을 지내다, 아프간 전쟁 당시에는 주아프간 미 제1해병사단 전방사령관을 지냈다. 이후 미 해병대 공지기동부대(MAGTF) 훈련사령관과 미 해병대 공지전 훈련소장을 역임한 후 중장으로 진급해 미 제1해병원정군(MEF-1) 사령관, 미 해병대 태평양사령관, 미 해병대 전투발전사령관을 역임한 후 대장으로 진급해 미 해병대사령관으로 지명되었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 국제관계학 대학원에서 국제공공정책 석사, 군사연구 석사 학위를 받았고, 미합중국 육군 보병장교 대위 지휘참모과정[1]과 미합중국 해병대 지휘참모대학, 미합중국 해병대 대위 지휘참모과정, 미합중국 육군 레인저 학교, 미합중국 육군 공수학교 강하조장 과정, 미합중국 해군 잠수학교, 미합중국 해병대 상륙수색학교를 수료했다.

2023년 7월 10일 해병대사령관 퇴임식을 가지며, 42년간의 군복무를 마쳤다. 공화당과 민주당 간의 여성 군인 임신중절 지원 법안에 대한 갈등 격화로 버거의 후임으로 지명된 에릭 스미스 부사령관에 대한 하원 군사위원회에서 인사청문회도 열리지 못해 버거의 퇴임 이후 후임 사령관이 바로 임명되지 못함에 따라 무려 164년[2]에 해병대사령관이 공석으로 남겨졌다.

3. 정책[편집]


2020년 3월, 향후 10년간 추진될 미 해병대의 대규모 조직 및 전력 재편 계획을 발표했다. 이름하여 '전력 설계 2030'(Force Design 2030).

이 계획은 그동안 세계대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의 큰 전면전을 거치며 해병대가 너무 중장비에 치중해 해군 소속 육군 같은 존재가 되어 해병대만의 역할을 잃어버렸다는 비판적 관점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무거운 전차/야포, 적의 레이더에 쉽게 피탐될 대형 상륙함정/헬기 전력은 과감히 축소한다는 내용을 포함한다. 특히 기갑 전력은 10년 내에 완전히 없애고 육군에 전부 이관, 정 필요할 경우 육군의 전차 전력을 파견받거나 배속받아 활용할 것이라고 밝혀 화제가 되었다.

대신 경량화와 기동성에 중점을 두고 적의 레이더에 잘 피탐되지 않을 무인공격기들과 소형 고속상륙정, 기동성이 좋은 경량화된 다연장로켓, 미사일 등을 사용하고, 말단 보병제대 화력과 정보력을 크게 강화하여 중대급 전투단이 중심이 되어 적의 소부대와 조우하면 강화된 소부대 화력으로 제압, 강력한 적 전력을 발견하면 타군의 중무장 병기를 유도하여 격파하는 식으로 적을 제압하면서 여러 섬들 사이를 이동한다. 그리고 차례차례 섬의 접수가 완료되면 수송기로 실어나른 신형 대함미사일 포대를 박아놓아 방어선을 구축하고 또 다른 섬으로 이동하는 방식을 채택해 공격적 기동수비대로서 육해공군과는 차별화하여 운용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 12월까지 해병대의 모든 전차는 육군으로 이관되었다.# 기갑 병과 인원들도 본인 의사에 따라 전역과 육군으로의 전군 중 하나를 택하도록 하여 인사 조치했고, 서류상 기갑 특기도 해병대에서 삭제됐다.

이러한 구상은 다분히 상륙 후 내륙 전투보다는, 남중국해 등 소형 도서지역, 연안 지역에 대한 신속 투입 임무에 초점을 둔 것이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개편 때문에 유사시 적지에 함께 돌입할 자국 및 동맹국의 타군들이 이들을 화력지원하고 뒤처리하는 등 부담이 늘어나게 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여기에는 한반도 유사시 북한에 상륙해야 할 때 연합작전을 수행할 대한민국 해병대도 포함된다. 미일이 참가하는 해상훈련 중에 육상자위대 수륙기동단의 비중이 점점 늘어가는 것을 볼 때 이는 거의 확실해진 상황이다.

앞서 수많은 이들이 회의론을 표했지만, 이미 전차대 전량이 육군으로 이관된 것을 본다면 데이비드 사령관의 개혁안에 대한 평가가 군 내외에서 긍정적일 가능성이 크고, 바이든 행정부 쪽에서도 진행 중이라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무엇보다 단 한명의 군인 사망자 뉴스에도 민감한 미국 정치계를 고려했을 때 중국 해군의 태평양 진출을 견제하는 동시에 인력 피해도 줄일 수 있는 교리는 정치계의 니즈를 확실하게 충족시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03:55:04에 나무위키 데이비드 버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구.고등군사반[2] 1859년 아치볼드 헨더슨 사령관이 재임 도중 갑자기 사망해 공석이 된 사례가 마지막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