맷 올슨

덤프버전 :

분류




맷 올슨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20272c,#d3dade ||<-5><tablewidth=100%><bgcolor=#003831> '''{{{#EFB21E 1965년 ~ 현재}}}''' || ||<width=20%> {{{-1 1965}}}[br]릭 먼데이[br]{{{-2 외야수 / 전체 1번}}} ||<width=20%> {{{-1 1966}}}[br][[레지 잭슨]][br]{{{-2 외야수 / 전체 2번}}} ||<width=20%> {{{-1 1967}}}[br]브리엔 비커튼[br]{{{-2 투수 / 전체 7번}}} ||<width=20%> {{{-1 1968}}}[br]--피트 브로버그--[br]{{{-2 투수 / 전체 2번}}} ||<width=20%> {{{-1 1969}}}[br]돈 스탄하우스[br]{{{-2 투수 / 전체 9번}}} || || {{{-1 1970}}}[br][[댄 포드]][br]{{{-2 외야수 / 전체 18번}}} || {{{-1 1971}}}[br]윌리엄 대니얼스[br]{{{-2 투수 / 전체 17번}}} || {{{-1 1972}}}[br][[쳇 레몬]][br]{{{-2 유격수 / 전체 22번}}} || {{{-1 1973}}}[br]랜디 스카베리[br]{{{-2 투수 / 전체 23번}}} || {{{-1 1974}}}[br]--제리 존슨--[br]{{{-2 포수 / 전체 22번}}} || || {{{-1 1975}}}[br]브루스 로빈슨[br]{{{-2 포수 / 전체 21번}}} || {{{-1 1976}}}[br]--토마스 설리반--[br]{{{-2 투수 / 전체 24번}}} || {{{-1 1977}}}[br]크레이그 해리스[br]{{{-2 투수 / 전체 17번}}} || {{{-1 1978[*보상픽]}}}[br]팀 콘로이[br]{{{-2 투수 / 전체 20번}}} || {{{-1 1978}}}[br]마이크 모르간[br]{{{-2 투수 / 전체 4번}}} || || {{{-1 1979[*보상픽]}}}[br]--[[마이크 스텐하우스]]--[br]{{{-2 외야수 / 전체 26번}}} || {{{-1 1979}}}[br]--후안 버스타바드--[br]{{{-2 유격수 / 전체 5번}}} || {{{-1 1980}}}[br]마이크 킹[br]{{{-2 투수 / 전체 4번}}} || {{{-1 1981}}}[br]팀 피즈나스키[br]{{{-2 투수 / 전체 15번}}} || {{{-1 --1982--}}}[br]{{{-2 FA 조 루디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박탈}}} || || {{{-1 1983}}}[br]스탠 힐튼[br]{{{-2 투수 / 전체 5번}}} || {{{-1 1984}}}[br][[마크 맥과이어]][br]{{{-2 1루수 / 전체 10번}}} || {{{-1 1985}}}[br][[월트 와이스]][br]{{{-2 유격수 / 전체 11번}}} || {{{-1 1986}}}[br][[스캇 헤먼드]][br]{{{-2 포수 / 전체 12번}}} || {{{-1 1987}}}[br][[리 틴슬리]][br]{{{-2 외야수 / 전체 11번}}} || || {{{-1 1988}}}[br]스탠 로이어[br]{{{-2 포수 / 전체 16번}}} || {{{-1 --1989--}}}[br]{{{-2 FA [[마이크 무어]]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박탈}}} || {{{-1 1990[*보상픽]}}}[br]커크 드레센도퍼[br]{{{-2 투수 / 전체 36번}}} || {{{-1 1990[*보상픽]}}}[br]데이브 잔카나로[br]{{{-2 투수 / 전체 34번}}} || {{{-1 1990}}}[br]돈 피터스[br]{{{-2 투수 / 전체 26번}}} || || {{{-1 1990[*보상픽]}}}[br]토드 반 포펠[br]{{{-2 투수 / 전체 14번}}} || {{{-1 1991[*보상픽]}}}[br]마이크 로시터[br]{{{-2 투수 / 전체 38번}}} || {{{-1 1991}}}[br]브랜트 게이츠[br]{{{-2 유격수 / 전체 26번}}} || {{{-1 1992}}}[br]벤지 그릭스비[br]{{{-2 투수 / 전체 20번}}} || {{{-1 1993[*보상픽]}}}[br]윌리 아담스[br]{{{-2 투수 / 전체 36번}}} || || {{{-1 1993}}}[br]존 와스딘[br]{{{-2 투수 / 전체 25번}}} || {{{-1 1994}}}[br][[벤 그리브]][br]{{{-2 외야수 / 전체 2번}}} || {{{-1 1995}}}[br]아리엘 프리에토[br]{{{-2 투수 / 전체 5번}}} || {{{-1 1996}}}[br][[에릭 차베스]][br]{{{-2 3루수 / 전체 10번}}} || {{{-1 1997[*보상픽]}}}[br]대니 와그너[br]{{{-2 투수 / 전체 42번}}} || || {{{-1 1997[*보상픽]}}}[br]네이선 헤이네즈[br]{{{-2 외야수 / 전체 32번}}} || {{{-1 1997[*보상픽]}}}[br]에릭 듀보스[br]{{{-2 투수 / 전체 21번}}} || {{{-1 1997}}}[br]크리스 에노크스[br]{{{-2 투수 / 전체 11번}}} || {{{-1 1998}}}[br][[마크 멀더]][br]{{{-2 투수 / 전체 2번}}} || {{{-1 1999}}}[br][[배리 지토]][br]{{{-2 투수 / 전체 9번}}} || || {{{-1 --2000--}}}[br]{{{-2 FA 마이크 마그낸트[br]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박탈}}} || {{{-1 2001[*보상픽]}}}[br]존 레이네커[br]{{{-2 투수 / 전체 37번}}} || {{{-1 2001[*보상픽]}}}[br]제레미 본더맨[br]{{{-2 투수 / 전체 26번}}} || {{{-1 2001}}}[br][[바비 크로스비]][br]{{{-2 유격수 / 전체 25번}}} || {{{-1 2002[*보상픽]}}}[br][[마크 티엔]][br]{{{-2 3루수 / 전체 39번}}} || || {{{-1 2002[*보상픽]}}}[br]스티브 오벤체인[br]{{{-2 투수 / 전체 37번}}} || {{{-1 2002[*보상픽]}}}[br][[제레미 브라운]][br]{{{-2 포수 / 전체 35번}}} || {{{-1 2002[*보상픽]}}}[br][[벤 프리츠]][br]{{{-2 투수 / 전체 30번}}} || {{{-1 2002}}}[br]존 맥커디[br]{{{-2 유격수 / 전체 26번}}} || {{{-1 2002[*보상픽]}}}[br][[조 블랜튼]][br]{{{-2 투수 / 전체 24번}}} || || {{{-1 2002[*보상픽]}}}[br][[닉 스위셔]][br]{{{-2 1루수 / 전체 16번}}} || {{{-1 2003[*보상픽]}}}[br][[오마르 퀸타니야]][br]{{{-2 유격수 / 전체 33번}}} || {{{-1 2003[*보상픽]}}}[br]브라이언 스나이더[br]{{{-2 3루수 / 전체 26번}}} || {{{-1 2003}}}[br]브래드 설리반[br]{{{-2 투수 / 전체 25번}}} || {{{-1 2004[*보상픽]}}}[br][[휴스턴 스트리트]][br]{{{-2 투수 / 전체 40번}}} || || {{{-1 2004[*보상픽]}}}[br][[대니 풋남]][br]{{{-2 외야수 / 전체 36번}}} || {{{-1 2004}}}[br][[리치 로브넷]][br]{{{-2 외야수 / 전체 26번}}} || {{{-1 2004[*보상픽]}}}[br][[랜던 파웰]][br]{{{-2 포수 / 전체 24번}}} || {{{-1 2005[*보상픽]}}}[br][[트래비스 벅]][br]{{{-2 외야수 / 전체 36번}}} || {{{-1 2005}}}[br][[클리프 페닝턴]][br]{{{-2 유격수 / 전체 21번}}} || || {{{-1 --2006--}}}[br]{{{-2 FA 에스테반 로아이자[br]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박탈}}} || {{{-1 2007[*보상픽]}}}[br][[코리 브라운]][br]{{{-2 외야수 / 전체 59번}}} || {{{-1 2007[*보상픽]}}}[br][[션 두리틀]][br]{{{-2 1루수 / 전체 41번}}} || {{{-1 2007}}}[br][[제임스 시몬스]][br]{{{-2 투수 / 전체 26번}}} || {{{-1 2008}}}[br][[제마일 윅스]][br]{{{-2 2루수 / 전체 12번}}} || || {{{-1 2009}}}[br][[그랜트 그린(야구선수)|그랜트 그린]][br]{{{-2 유격수 / 전체 13번}}} || {{{-1 2010}}}[br][[마이클 초이스]][br]{{{-2 중견수 / 전체 10번}}} || {{{-1 2011}}}[br][[소니 그레이]][br]{{{-2 투수 / 전체 18번}}} || {{{-1 2012}}}[br][[맷 올슨]][br]{{{-2 1루수 / 전체 47번}}} || {{{-1 2012[*보상픽]}}}[br][[다니엘 로버트슨(1994)|다니엘 로버트슨]][br]{{{-2 유격수 / 전체 34번}}} || || {{{-1 2012}}}[br][[에디슨 러셀]][br]{{{-2 유격수 / 전체 11번}}} || {{{-1 2013}}}[br][[빌리 맥키니]][br]{{{-2 중견수 / 전체 24번}}} || {{{-1 2014}}}[br][[맷 채프먼]][br]{{{-2 3루수 / 전체 25번}}} || {{{-1 2015}}}[br][[리치 마틴]][br]{{{-2 유격수 / 전체 20번}}} || {{{-1 2016}}}[br][[달튼 제프리스]][br]{{{-2 투수 / 전체 37번}}} || || {{{-1 2016}}}[br][[A.J. 퍽]][br]{{{-2 투수 / 전체 6번}}} || {{{-1 2017}}}[br][[케빈 메렐]][br]{{{-2 유격수 / 전체 33번}}} || {{{-1 2017}}}[br][[오스틴 벡]][br]{{{-2 외야수 / 전체 6번}}} || {{{-1 2018}}}[br][[카일러 머리]][br]{{{-2 중견수 / 전체 9번}}} || {{{-1 2019}}}[br][[로건 데이비슨]][br]{{{-2 유격수 / 전체 29번}}} || || {{{-1 2020}}}[br][[타일러 소더스트롬]][br]{{{-2 포수 / 전체 26번}}} || {{{-1 2021}}}[br][[맥스 먼시(2002)|맥스 먼시]][br]{{{-2 유격수 / 전체 25번}}} || {{{-1 2022}}}[br][[대니얼 수삭]][br]{{{-2 포수 / 전체 19번}}} || {{{-1 2023}}}[br][[제이콥 윌슨(2002)|제이콥 윌슨]][br]{{{-2 유격수 / 전체 6번}}} || {{{-1 2023[*보상픽]}}}[br]마일스 네일러[br]{{{-2 3루수 / 전체 39번}}} || ||<-5>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엠블럼.svg|width=70]]]] || ||<-5> * {{{-2 --취소선-- 처리된 선수는 애슬레틱스 구단과 계약하지 않은 선수}}}[br]{{{-2 [각주]}}} ||



맷 올슨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1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212023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8년 ~ 2019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1루수 부문 골드 글러브
에릭 호스머
(캔자스시티 로열스)
맷 올슨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에반 화이트
(시애틀 매리너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1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폴 골드슈미트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맷 올슨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24년 수상자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홈런왕
카일 슈와버
(필라델피아 필리스)
맷 올슨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24년 수상자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타점왕
피트 알론소
(뉴욕 메츠)
맷 올슨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24년 수상자

파일:MLB 로고.svg 2018년 ~ 2020년 메이저 리그 1루수 부문 필딩 바이블 상
폴 골드슈미트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맷 올슨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폴 골드슈미트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13번
드류 포머란츠
(2014~2015)
맷 올슨
(2016)
브루스 맥스웰
(2017~2018)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26번
대니 발렌시아
(2015~2016)
맷 올슨
(2017)
맷 채프먼
(2017~2021)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28번
에릭 소가드
(2012~2015)
맷 올슨
(2017~2021)
빌리 맥키니
(2022)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28번
케빈 세이처
(2016~2021)
맷 올슨
(2022~)
현역

파일:ATL.MattOlson.jpg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No.28
맷 올슨
Matt Olson
본명매튜 켄트 올슨
Matthew Kent Olson
출생1994년 3월 29일 (30세)
조지아 주 애틀랜타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학력파크뷰 고등학교
신체196cm / 102kg
포지션1루수, 우익수[1]
투타우투좌타
프로입단2012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47번, OAK)
소속팀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16~2021)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22~)
계약2022 - 2029 / $168,000,000[option]
연봉2024 / $22,000,000
등장곡Sum 2 Prove - Lil Baby
에이전트Jet Sports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3. 플레이 스타일
4. 수상 내역
5. 여담



1. 개요[편집]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소속 1루수.

2. 선수 경력[편집]




3. 플레이 스타일[편집]


타율은 낮지만 한 시즌 당 30홈런 이상을 기대할 수 있고, 괜찮은 선구안을 보유하고 있는 전형적인 OPS형 히터이다. 또 내야수들이 던지는 송구를 긴 리치를 이용해 죄다 받아내는 1루 수비도 일품이다. 송구 능력도 좋아 1루수쪽 병살 타구가 나왔을 때 2루에 정확한 송구를 뿌리며 안정적인 병살을 유도해내지만 큰 체구에 비례해 약간 떨어지는 민첩성 때문에 강습 타구나 땅볼 타구를 잘 처리하지 못하는 실수들이 종종 나오기도 한다. 주력은 그렇게 느리지 않으며, 가속이 붙으면 조금 더 빨라져 영리한 주루센스를 활용해 한 베이스를 더 이동하는 상황을 가끔씩 볼 수 있다.

마이너에서는 우익수로도 많이 출장하였고(1294이닝), 메이저에서도 데뷔 시즌에는 우익수로 자주 출장하였다. 그러나 1루수로 자리를 잡은 이후로는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면 거의 외야로 나오지 않는다.

또 상당한 금강불괴이다. 2013년 이후 마이너 - 메이저를 통틀어 단 한 시즌도 빠지지 않고[2] 매년 100경기를 넘게 출장하였으며, 2018년, 2020년, 2022년에는 메이저 무대에서 전 경기 출장을 달성하기도 했다.

홈런타자치고는 근육질이 아닌 슬림한 몸매를 보유하고 있다. 키는 196으로 매우 크지만 근육이 많지 않아 표준체중 정도인 103kg.[3] 엉덩이도 평평한 편이며 타고난 힘, 소위 말하는 로우파워가 부족한 선수. 그런데도 홈런타자로 활약할 수 있는 이유는 타격폼에 있다. 옛날 닛폰햄과 요미우리의 강타자 오가사와라 미치히로와 거의 같은 타격폼을 보유하고 있으며, 배트를 길게 잡고 강렬한 풀스윙으로 원심력을 보태 넘겨버리는 스윙을 구사한다. 힘보다는 기술로 넘기는 능력이 뛰어난 선수.

큰 경기에 강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내셔널리그 동부지구 우승이 걸린 2022년 메츠와의 마지막 홈 3연전에서 시리즈 내내 홈런을 때려내며 팀의 지구 우승을 이끌었고, 비록 탈락했지만 필라델피아를 상대한 디비전 시리즈에서도 다른 타자들이 부진할 때 혼자 좋은 활약을 보였다.

무엇보다 워크에식과 인성이 뛰어난 선수로 애틀랜타 이적 후 첫 시즌에는 적응 문제로 인해 장점으로 평가받았던 수비에서의 불안함과 타격 사이클이 심한 시즌을 보내며 전체적으로 아쉬웠으나, 2년차부터는 오클랜드 시절부터 약점이 존재했던 자신의 타격폼을 철저히 보완해 엄청난 장타력과 클러치 능력으로 팀의 중심을 이끌고 있으며 리그 최고의 홈런 타자로 올라섰을 뿐 아니라, 클럽하우스 분위기에도 좋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4. 수상 내역[편집]


수상 내역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2회 (2021, 2023)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1루수 골드 글러브 2회 (2018, 2019)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1루수 실버 슬러거 (2023)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홈런 1위 (2023)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타점 1위 (2023)


5. 여담[편집]


  • 2020 시즌 종료 후 처음으로 강아지를 키우기 시작했다. 강아지를 키운 뒤로 아빠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 모교인 파크뷰 고등학교의 영구결번이 되었다. 참고로 이 고등학교의 네 번째 빅리거이다. 올슨에 앞서 제프 프랭쿠어(ATL, NYM 외 6개팀, 2007년 골드 글러브 수상자), 제프 케핀저(TB, HOU 외 5개팀), 그리고 클린트 샘몬스(ATL)가 이 학교 출신으로 빅리그 무대를 밟았다.

파일:올슨채프먼.jpg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에서 뛸 때 동료 맷 채프먼과 유독 친했다. 나이도 한 살 차이밖에 나지 않고 입단과 데뷔 시기도 비슷해 두터운 친분을 가지고 있다. 두 선수 모두 오클랜드를 한 번도 벗어나지 않은 프랜차이즈 1라운더 내야수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둘이 묶어서 불리는 별명은 맷 듀오.


  • 모자를 쓰면 꽤 훈훈하게 생겼으나 유감스럽게도 탈모가 꽤 진행되어 나이에 비해 머리숱이 부족한 편이다.

[1] 데뷔 초반에는 우익수로도 출장하였으나 1루수로 자리잡은 이후에는 나오지 않는다.[option] club option $20,000,000 for 2030[2] 코로나19로 인해 단축시즌으로 치러진 2020 시즌 제외.[3] 지안카를로 스탠튼과 거의 같은 키인데 스탠튼은 10kg가량 더 나가며, 5센티 정도 더 큰 저지는 무려 25kg가 더 무겁다. 확실히 올슨은 소위 말하는 패션근육형 체형으로 홈런타자치고는 근육이 많지 않은 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12:28:57에 나무위키 맷 올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