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셸 바취-해클리

덤프버전 :

바취-해클리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rowbgcolor=#ffce01><width=13.4%> O ||<-2><width=26.8%> OH ||<-2><width=26.8%> MB ||<width=13.4%> S ||<width=13.4%> L ||
||<-7><bgcolor=#fff,#191919> 2016 리우데자네이루 ||
|| 슬뢰체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width=13.4%> 주팅
파일:중국 국기.svg || 미하일로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width=13.4%> 라시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아킨라데우
파일:미국 국기.svg || 글래스
파일:미국 국기.svg || 린리
파일:중국 국기.svg ||
||<-7><bgcolor=#fff,#191919> 2020 도쿄 ||
|| 보스코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라슨
파일:미국 국기.svg || 바취-해클리
파일:미국 국기.svg || 가타즈
파일:브라질 국기.svg || 워싱턴
파일:미국 국기.svg || 폴터
파일:미국 국기.svg || 웡-오란테스
파일:미국 국기.svg ||
||<-7><bgcolor=#ffce01> MVP · 기록상 · 베스트팀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5844,#191919><rowcolor=#FFF> 2018년 ||<width=20%> 2019년 ||<width=20%> 2020년 ||<width=20%> 2021년 ||<width=20%> 2022년 ||
|| 미셸 바취-해클리
파일:미국 국기.svg || 안드레아 드류스
파일:미국 국기.svg || [a] || 미셸 바취-해클리
파일:미국 국기.svg || 파올라 에고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rowbgcolor=#ff5844,#191919><rowcolor=#FFF> 2023년 || || || || ||
||<height=60> 멜리사 바르가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 || || ||
||<-5><bgcolor=#ddd,#212121> 대회의 전신은 2017년 폐지한 월드그랑프리다. ||
||<-5>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대회 미개최 ||
||<-5><bgcolor=#fff,#191919> 메이저대회 MVP | 올림픽 · 세계선수권 · 월드컵 · 월드그랑프리 · 네이션스리그 · 그랜드챔피언스컵 · 클럽세계선수권 ||
||<-7><bgcolor=#2f37cf> MVP · 베스트팀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rowbgcolor=#2F37CF><width=13.5%> OP ||<-2><width=27%> OH ||<-2><width=27%> MB ||<width=13.5%> S ||<width=13.5%> L ||
||<-7><bgcolor=#990066> 2018 ||
||<height=40> 카이세타
파일:브라질 국기.svg ||<width=13.5%> 바취-해클리
파일:미국 국기.svg || 주팅
파일:중국 국기.svg ||<width=13.5%> 에르뎀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딕슨
파일:미국 국기.svg || 외즈바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핀루
파일:브라질 국기.svg ||
||<-7><bgcolor=#990066> 2019 ||
||<height=40> 카라쿠르트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width=13.5%> 가비
파일:브라질 국기.svg || 리우얀한
파일:중국 국기.svg ||<width=13.5%> 코레아
파일:브라질 국기.svg || 워싱턴
파일:미국 국기.svg || 마크리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 코트니
파일:미국 국기.svg ||
||<-7><bgcolor=#990066> 2021 ||
||<height=40> 카이세타
파일:브라질 국기.svg ||<width=13.5%> 바취-해클리
파일:미국 국기.svg || 가비
파일:브라질 국기.svg ||<width=13.5%> 에르뎀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가타즈
파일:브라질 국기.svg || 폴터
파일:미국 국기.svg || 웡-오란테스
파일:미국 국기.svg ||
||<-7><bgcolor=#990066> 2022 ||
||<height=40> 에고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width=13.5%> C.보세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가비
파일:브라질 국기.svg ||<width=13.5%> 카롤
파일:브라질 국기.svg || 스테바노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오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데 젠나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7><bgcolor=#990066> 2023 ||
||<height=40> 바르가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width=13.5%> 리잉잉
파일:중국 국기.svg || 루카시크
파일:폴란드 국기.svg ||<width=13.5%> 귀네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위안신웨
파일:중국 국기.svg || 다오린위
파일:중국 국기.svg || 기젬 외르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7><bgcolor=#ddd,#212121> 대회의 전신은 2017년 폐지한 월드그랑프리다. ||
||<-7><bgcolor=#2f37cf> MVP · 베스트팀 ||



파일:Sultanlar_Ligi_logo.png
터키 리그 역대 베스트팀
[ 펼치기 · 접기 ]
#000,#fff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rowbgcolor=#e60881><width=13.4%> {{{#fff {{{-3 '''OPP'''}}}}}} ||<-2><width=26.8%> {{{#fff {{{-3 '''OS'''}}}}}} ||<-2><width=26.8%> {{{#fff {{{-3 '''MB'''}}}}}} ||<width=13.4%> {{{#fff {{{-3 '''S'''}}}}}} ||<width=13.4%> {{{#fff {{{-3 '''L'''}}}}}} || ||<-7><bgcolor=#253b84> {{{#fff {{{-2 2015-2016}}}}}} || || [[로네크 슬뢰체스|{{{-1 슬뢰체스}}}]]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width=13.4%> [[김연경|{{{-1 김연경}}}]]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 [[조던 라슨|{{{-1 라슨}}}]] [br] [[엑자시바시 비트라|{{{-4 엑자시바시}}}]] || {{{-1 [[에다 에르뎀|에르뎀]]}}}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width=13.4%> {{{-1 [[밀레나 라시치|라시치]]}}} [br] {{{-4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 [[나즈 아이데미르|{{{-1 아이데미르}}}]]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1 외르게}}}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7><bgcolor=#253b84> {{{#fff {{{-2 2016-2017}}}}}} || || {{{-1 [[티아나 보스코비치|보스코비치]]}}}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주팅|{{{-1 주팅}}}]]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1 예르코프}}} [br] {{{-4 차낙칼레}}} || {{{-1 [[에다 에르뎀|에르뎀]]}}}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 {{{-1 [[밀레나 라시치|라시치]]}}} [br] {{{-4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 [[나즈 아이데미르|{{{-1 아이데미르}}}]]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1 귀넬리길}}} [br] [[갈라타사라이(여자 배구)|{{{-4 갈라타사라이}}}]] || ||<-7><bgcolor=#253b84> {{{#fff {{{-2 2017-2018}}}}}} || || {{{-1 [[티아나 보스코비치|보스코비치]]}}}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1 부이스}}} [br] {{{-4 뉠리페르}}} || {{{-1 쿨랜}}} [br] {{{-4 베이릭뒤쥐}}} || {{{-1 귀벨리}}} [br] [[엑자시바시 비트라|{{{-4 엑자시바시}}}]] || {{{-1 다 실바}}} [br] {{{-4 뉠리페르}}} || [[에즈기 딜릭|{{{-1 딜릭}}}]] [br] [[엑자시바시 비트라|{{{-4 엑자시바시}}}]] || {{{-1 에렌}}} [br] {{{-4 베식타슈}}} || ||<-7><bgcolor=#253b84> {{{#fff {{{-2 2018-2019}}}}}} || || [[멜리사 바르가스|{{{-1 바르가스}}}]]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 [[주팅|{{{-1 주팅}}}]]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1 브리시오}}}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 {{{-1 [[에다 에르뎀|에르뎀]]}}}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 {{{-1 칼라취}}} [br] [[갈라타사라이(여자 배구)|{{{-4 갈라타사라이}}}]] || {{{-1 코쵸을루}}} [br] {{{-4 할크방크}}} || {{{-1 아쿄즈}}} [br] [[엑자시바시 비트라|{{{-4 엑자시바시}}}]] || ||<-7><bgcolor=#253b84> {{{#fff {{{-2 2020-2021}}}}}} || || [[멜리사 바르가스|{{{-1 바르가스}}}]]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2> [[미셸 바취-해클리|{{{-1 바치-해클리}}}]]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2> {{{-1 [[에다 에르뎀|에르뎀]]}}}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 {{{-1 [[마야 오그네노비치|오그네노비치]]}}}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1 아이카취}}}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7><bgcolor=#253b84> {{{#fff {{{-2 2021-2022}}}}}} || || [[이사벨 하크|{{{-1 하크}}}]]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2> [[가브리엘라 기마랑이스|{{{-1 가비}}}]]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2> {{{-1 [[에다 에르뎀|에르뎀]]}}}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 {{{-1 [[잔수 외즈바이|외즈바이]]}}}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1 외르게}}}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 ||<-7><bgcolor=#e60881> {{{-2 [[틀:터키 여자 배구 리그 MVP|{{{#fff MVP}}}]] {{{#fff ·}}} [[틀:터키 여자 배구 리그 기록상|{{{#fff 기록상}}}]] {{{#fff ·}}} [[틀:터키 여자 배구 리그 베스트팀|{{{#fff 베스트팀}}}]]}}} ||



파일:바취해클리.jpg
바키프방크 SK No. 14
미셸 바취-해클리
Michelle Bartsch-Hackley
출생1990년 2월 12일 (34세)
미국 캔자스 시티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포지션아웃사이드 히터 (레프트)
신체조건신장 190cm, 체중 78kg
점프 높이스파이크 305cm, 블로킹 296cm
국가대표미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2015~)
소속팀일리노이 대학교 (미국, 2008~2011)
야네라스 데 토아 바하 (푸에르토리코, 2011~2013)
로테 라벤 (독일, 2013~2014)
드레스덴 SC (독일, 2014~2016)
네루다 볼자노 (이탈리아, 2016~2017)
부스토 아르시치오 (이탈리아, 2017~2018)
이고르 고르곤졸라 노바라 (이탈리아, 2018~2019)
베이징 BAIC 모터 (중국, 2019~2020)
바키프방크 SK (터키, 2020~)
SNS

1. 개요
2. 상세
3. 플레이 스타일
4. 선수 경력
5. 여담



1. 개요[편집]


미국 출신의 배구 선수

2. 상세[편집]


미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선수이며 포지션은 레프트다.

3. 플레이 스타일[편집]


공수를 겸장한 레프트 포지션이지만 공격쪽이 더 강한 선수이다. 공격도 좋지만 수비능력도 좋으며 수비시 무조건 공을 끝까지 쫓아가는 열정과 노력을 보여주는 선수이다. 이런 좋은 수비집중력으로 동료들에게 집중과 열정의 에너지를 불어넣어주는 감초같은 역할을 하는 선수다.
다만 30살 이후쯤부터 급격히 달라진 모습을 보이며 현재 2021-2022시즌 바키프방크에서 공격과 수비 둘다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여러 빅매치에서 공성이 20프로도 안 되었으며 여기에 덤으로 수비까지 잘 안되어 진정 도쿄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맞는지 의심되는 모습들을 보여주었다.[1][2] 30살이 넘은 경험 많은 선수에게서 보여서는 안되는 잔실수들도 많이 보이며 이런 부진한 모습을 본인도 인식했는지 바키프방크와 재계약이 안되면 은퇴하겠다고 말했다. [3]
특이하게 공을 어쩔 수 없이 상대코트에 넘겨야하는 3단연결을 빈공간을 공략하는 것이 아닌 무리하게 강타로 넘기는 습관이있다.

4. 선수 경력[편집]



5. 여담[편집]


  • 몸에 열이 많은지 조금만 경기를 뛰어도 얼굴이 새빨갛게 변한다.
  • 2021년 미국의 국적과 터키 최고팀의 바키프방크에 소속된 덕에 메달을 휩쓸며 본인의 기량 이상의 성적을 거두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0:04:27에 나무위키 미셸 바취-해클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효는 한자릿수를 꾸준하게 기록하고 있다.[2] 배구가 팀플레이라는 사실을 한 번 더 깨닫게 된다.[3] 2020-2021 시즌쯤에 이미 은퇴하겠다고 했으나 바키프방크의 감독 구이데띠가 해클리의 은퇴를 말리며 재계약했다. 하지만 2021-2022시즌의 폼을 보면 구이데띠가 더이상 붙잡지 않고 놓아줄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