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태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혁거세 후남해 후유리 후
알영부인운제부인이리생부인사요왕의 딸 김씨
탈해 후파사 비지마 후일성 후
아효부인사성부인애례부인지소례왕의 딸 박씨
아달라 후벌휴 후내해 후조분 후
내례부인석골정의 모후아루부인아이혜부인
조분 후미추 후흘해 후내물 후
운소부인광명부인석공한의 모후보반부인
실성 후눌지 후자비 후소지 후
아류부인차로부인
1}}} 복호의 딸 김씨
2}}} 미사흔의 딸 김씨
1}}} 습보의 딸 김씨
2}}} 선혜부인
3}}} 벽화부인
지증왕 후법흥왕 후진흥왕 후진지왕 후
연제부인보도부인지도부인
진평왕 후무열왕 후문무왕 후신문왕 후
문명왕후자의왕후
성덕왕 후효성왕 후경덕왕 후
1}}} 왕비 박씨
3}}} 정종의 딸 김씨
폐}}}사량부인
경수태후
혜공왕 후선덕왕 후원성왕 후소성왕 후
1}}} 신보왕후
2}}} 창창부인
구족부인숙정부인계화부인
애장왕 후헌덕왕 비흥덕왕 후희강왕 후
왕후 박씨귀승부인정목왕후문목왕후
민애왕 후신무왕 후문성왕 후헌안왕 후
윤용왕후정계부인
1}}} 소명왕후
문의왕후의 모후
경문왕 후헌강왕 비효공왕 후신덕왕 후
의명부인왕비 박씨의성왕후
경명왕 후경애왕 후경순왕 후
왕비 김씨왕비죽방부인





신라 진흥왕의 제1비
사도부인 | 思道夫人
출생
(음력)
530년대[1]
신라
사망
(음력)
614년(진평왕 36년)
신라 영흥사(永興寺)
재위기간신라 왕비
540년 7월 ~ ?
[ 펼치기 · 접기 ]
본관경주 박씨(慶州 朴氏)
사도(思道)
법명묘법(妙法)
부모부 - 박영실
부군진흥왕
자녀
슬하 3남 [ 펼치기 · 접기 ]
장남 - 동륜태자
차남 - 진지왕
3남 - 김구륜(金仇輪)
시호사도부인(思道夫人), 백융부인(白𪀚夫人)[1]
이칭사도태후(思道太后)
[1] 삼국유사가 인용한 이제가기(현재는 실전)에만 등장한다.

1. 개요
2. 창작물


1. 개요[편집]


신라 진흥왕의 왕비. 삼국유사 '제3권 흥법 제3'의 '원종흥법 염촉멸신'에서는 모량리(牟梁里) 각간 박영실의 딸로 식도부인(息道夫人/息途夫人) 혹은 색도부인(色刀夫人)이라고도 한다. 진흥왕과 결혼해 김동륜(진평왕의 부친)와 진지왕(김사륜), 김구륜(金仇輪)을 낳았다.

삼국유사 '왕력'에서는 진지왕의 어머니이자 진흥왕의 어머니도 될 수 있다고 나오는데, 일반적으로 후자는 오기로 본다.

진흥왕 사후 출가비구니가 되어 영흥사(永興寺)에서 지내다 사망했다. 몇 년에 태어났는지에 대한 기록은 없지만 손자인 진평왕이 즉위하고 36년이 지나서 사망했으므로 상당히 장수했던 것으로 보인다.

화랑세기 필사본에서는 옥진의 딸로 미실의 이모이며, 자신의 둘째 아들이기도 한 진지왕의 폐위를 주도했다고 나온다. 참고로 화랑세기의 영향으로 사도부인을 사도태후라고 부르는 사람이 많지만, 사실 정사에서 그녀는 태후라고 불린 적이 없어서 태후가 되었는지 아닌지를 알 수 없다. 이는 진흥왕 사후에 출가해서 절에 있었기 때문인 듯.


2. 창작물[편집]


대왕의 꿈에선 정재순이 연기했다.

선덕여왕에도 나올법 했는데 나오지 않았다. 이 드라마에서 채택한 화랑세기 기록대로 하자면 미실은 중간보스 느낌으로 사도태후는 진 최종보스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을텐데 아쉬운 부분. 다만 등장한다면 주인공인 덕만공주는 자기 증조할머니랑 권력 투쟁을 벌이는 셈이다.
[1] 손자인 진평왕의 탄생년도등을 볼 때 540년대에 태어났다는 것은 불가능 하다. 아무리 적어도 530년대 태어난 게 되는데 진흥왕보다 몇살이 더 많았을 수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6:11:47에 나무위키 사도태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