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짜기 옵서예

덤프버전 :


파일:뮤지컬 해븐 로고.png 제작

[ 펼치기 · 접기 ]
파일:해븐 김종욱.png파일:해븐 쉬매.png파일:해븐 쓸.png파일:해븐 필맨.png
2006200620072007
파일:해븐 스위니.png파일:달컴 씨왓.png파일:해븐 싸.png파일:해븐 어쌔신.png
2007200820092009
파일:엠피앤 넥.png파일:달컴 번점.png파일:해븐 살짜기.png
201120122013
※문서 등록된 공연만 기재함. (지방 공연 제외)



파일:CJ 뮤지컬 로고 화이트.png 제작

[ 펼치기 · 접기 ]
파일:씨뮤 김종욱 찾기.png
파일:씨뮤 브로드웨이 42번가.png
파일:씨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png
파일:씨뮤 풍월주.png
2006200920102012
파일:씨뮤 라카지.png
파일:씨뮤 살짜기 옵서예.png
파일:씨뮤 총각네 야채가게.png
파일:씨뮤 스칼렛 핌퍼넬.png
20122013
파일:하스뮤 뮤지컬 로고.png
파일:씨뮤 킹키부츠1.png
파일:씨뮤 보디가드.png
파일:씨뮤 시라노.png
2013201420162017
파일:씨뮤 서편제.png
파일:씨뮤 햄릿 얼라이브.png
파일:씨뮤 광화문 연가.png
파일:씨뮤 시티 오브 엔젤.png
20172019
파일:씨뮤 빅피쉬.png
파일:씨뮤 어쩌면 해피엔딩.png
파일:씨뮤 비틀쥬스.png
파일:씨뮤 물랑루즈.png
2019202020212022
※문서 등록된 공연만 기재함. (내한 공연 제외)



1. 개요[편집]


예그린 악단에서 1966년에 초연한 대한민국 최초의 창작 뮤지컬.

고전소설 〈배비장전〉을 당시 작가 김영수가 각색해 대본을 만들고 작곡가 최창권이 작곡을 했다. 연출은 김영수 작가의 연극 <혈맥>을 연출한 임영웅씨가 맡았다.[1] 토월극장 개관 리메이크는 김민정, 구스타보 자작이 연출을 맡았다.

1대 애랑은 패티김, 2대 애랑은 김상희, 3대 애랑은 김하정, 4대, 5대, 6대 등을 거쳐서 그 뒤를 이어서 2013년 공연 때 애랑 역은 김선영(뮤지컬 배우) 배우가 맡았었다.


1.1. 주제가[편집]


작사자: 고 박용구
많은 아티스트들이 이 주제가를 불렀는데, 아티스트는 다음과 같다.
  • 패티김
  • 이성애
  • Flower singers[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5:16:26에 나무위키 살짜기 옵서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러나 주제가 〈살짜기 옵서예〉는 당시 예그린 악단의 사무처장 박용구가 가사를 썼다.[2] 7인조 여성 중창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