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몬마스터즈 블루 드래곤

덤프버전 :

서몬마스터즈 블루 드래곤(1기) (2007~2008)
BLUE DRAGON

블루 드래곤 천계의 7용(2기) (2008~2009)
BLUE DRAGON 天界の 七竜
파일:/pds/200901/13/02/c0011402_496c222e03678.jpg

1. 개요
1.1. 내용
2. 등장인물
2.1. 슈우 파티 (빛의 용사의 후예)
2.2. 그랑킹덤
2.3. 로젠 크로이츠
2.4. 기타 인물
2.5. 백의 여단
2.6. 상위 생명체
2.7. 그림자
3. 관련용어
4. 주제가
4.1. OP
4.2. ED
5. 회차 목록



1. 개요[편집]


토리야마 아키라가 원화를 맡은, 게임 블루 드래곤이 원작인 용덕양성 애니메이션이다. 게임이 원작이지만, 게임의 성우, 스토리, 설정이 다르다. 사실 게임이 기반인 오리지널 작품이다. 대표적으로 설정이 다른 것이 나이인데, 게임에서 슈와 클루크는 16세로 나오지만 애니에서 슈와 클루크는 10세다. 2008년 4월부터 2009년 3월까지 2기격인 천계의 7룡을 방영하였는데 1기 51화, 2기 51화이다. 다른 애니에서는 그림자를 적들이 사용해왔다는 것에 비해 이 작품에서는 그림자 능력자라는 사람들이 다른 그림자 능력자하고 싸운다는 내용이다.

참고로 다음화 예고가 하라는 예고는 안하고 본편만 상관없는 이상한 얘기를 하는데 참으로 아스트랄하다. 물론 마지막 화 예고만큼은 제대로 분위기잡아서 하지만 나머지 모든 예고들이 맛이 가있다. 근데 이렇게 맛이 갈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스탭진이 인조곤충 카부토보그 VXV의 스탭진과 거의 동일했다! 물론 본편까지 카부토보그처럼 정신 놓은 수준의 막장(...)이라는건 아니고 본편은 멀쩡하다.

한국에서는 대원방송 계열에서 2010년 경 방영. 1기 때의 연출은 김정령 PD. 더빙 퀄리티는 제법 좋은 편이여서 게스트[1]도 빵빵했고, 당시 전속이었던 대원 1기들도 연기를 잘 했다. 심지어 해설을 KBS 1기 성우오승룡이 맡았다. 1기 마지막화에서는 음향 사고인지 일본판 음성과 한국어판 음성이 겹쳐 들리는 사태가 일어났다. 2기에서는 연출이 곽영재 PD로 바뀌었는데[2], 새로 나온 캐릭터들을 모두 전부 전속들에게 떠넘겨서 1기보다 평가가 나쁘다. 심지어 해설도 원로 성우인 오승룡에서 자사 성우인 심정민에게 넘겼다. 실제로 이때 쓴 소리를 무척이나 들었다.[3] 그리고 1기까지는 4:3 SD로 방영됐지만 2기는 16:9 HD로 방송되었다.

북미 성우 감독은 메리 엘리자베스 맥글린이 맡았다.


1.1. 내용[편집]


그림자의 힘을 이용해 세계 지배를 꿈꾸는 그랜킹덤의 왕 네네와 그의 야망으로부터 세상을 구하기 위해 7명의 빛의 전사 후예를 찾아 나선 조라. 이 둘의 움직임으로 평화로운 타타 마을에 사는 슈우와 크룩도 휘말리게 된다.

이미 전사의 후예 중 하나가 된 지로를 따라 조라가 타타 마을에 도착하자 마침 네네의 군단이 공격해온다. 이들과 맞서 싸우던 중 슈우는 잠재되어있던 그림자 \"블루드래곤\"을 깨운다. 이제 슈우는 네네의 야망을 막기 위해 조라와 함께 전사의 후예들을 찾아 모험을 떠난다. - 1기 시놉시스


어둠을 봉인한지도 어느덧 2년이 흘렀다. 하지만 아직도 세상에는 전쟁의 불씨가 꺼지지 않고 있다. 세계 통치를 꿈꾸는 로기의 로젠 크로이츠와 이에 저항하는 세력간의 싸움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어둠과의 결전 이후 그림자의 힘을 잃은 슈우와 친구들은 각자 흩어져 지내고 있다. 슈우와 부케는 레골라스와 함께 레지스탕스 조직을 만들어 로기에 맞서 싸우고 있으며, 안드로포프와 재회한 크룩은 마을 어린이들을 돌보며 지낸다. 마루마로는 고향으로 돌아갔고, 지로는 여행을 하며 수행을 계속하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림자 능력사에 대해 알고 있는 의문의 소년, 노이가 슈유 앞에 나타나고, 그를 쫓아온 레드 드래곤이 공격을 해온다. 그러자 노이는 자신이 갖고 있는 그림자 부활 능력을 이용해 슈우의 그림자, 블루 드래곤을 부활시킨다.

그 후, 슈우에게 레드 드래곤을 그림자로 조종하는 상위생명체 미카엘이 찾아와, 슈우를 시험하듯 공격을 해온다. 한편, 로기에게도 상위생명체 로타레스가 찾아와 그의 그림자 오딘을 부활시키고, 수도를 파멸시킨다.

이렇게 자신들을 “상위생명체”라 소개하는 자들에 의한 사건들이 일어나기 시작하자 슈우는 불길한 예감에 휩싸인다. 결국 슈우는 친구들을 다시 모아야겠다고 결심하고 그들을 찾아 길을 떠난다. - 2기 시놉시스



2. 등장인물[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2.1. 슈우 파티 (빛의 용사의 후예)[편집]


1기는 슈우, 지로, 크룩, 마루마로, 부케, 조라. / 2기는 슈우, 부케, 마루마로, 노이.

  • 슈우[4]
파일:8D1EACAF-40FE-4EC5-80B9-140113C6C60C.png

본작의 주인공. 성우는 게임판이 무려 이노우에 마리나/강수진!![5] 애니판은 네모토 케이코 / 이지현 / 유리 로웬탈.
그림자: 블루 드래곤

파트너 그림자는 블루드래곤. 원래 조라와 지로를 만나기 전까지는 클루크와 같이 평범한 아이였지만 그랑킹덤의 침략으로 인해 그림자를 각성하고 본인이 빛의 용사의 후예라는 것을 자각한다. 처음에는 그림자를 다루는 것 조차 미숙했었으나, 수많은 전투를 겪으면서 파티를 이끌어갈 정도로 성장했다.

  • 지로
성우는 게임판이 미야타 코우키/김영선, 애니판은 나미카와 다이스케[6] / 신용우 / 샘 리겔.
그림자: 미노타우르스

어렸을 때 그랑킹덤으로부터 부모와 여동생을 잃고 그 후 조라와 만나 네네에 대한 복수심에 대한 일념으로 살아왔다. 그 때문에 쉽게 타인을 믿지 못하고 동료라는 것 자체를 부담스러워 해서, 처음에는 슈우와 티격태격하는 관계였었다.
원작게임에서는 슈랑 크룩과 처음부터 소꿈친구.

  • 크룩[7]
파일:9A48F7E8-B11E-47FF-B687-29E076B627FC.png

성우는 게임판이 카와스미 아야코/이지영, 애니판은 하즈키 에리노 / 서유리 / 미셸 러프.
그림자: 피닉스

슈우의 소꿉친구다. 여자아이답지 않게 꽤 드센 모습을 보이지만 한편으로는 상냥하고 따스한 성격의 소유자로 기계를 조작하는 것을 좋아한다. 자신의 생김새가 아직 애 같다는 점을 신경쓰는 듯하다. 원래 그림자 능력자가 아닌 채로 여행을 떠났지만 여행 도중에 네네와의 전투에 의해 그림자 능력자가 된다. 그림자 능력자가 된 후로는 어떤 상황에서도 예리한 판단력을 발휘해 자신이 희생되는 한이 있어도 슈우 일행을 승리로 이끌었다.
소꿉친구 포지션 캐릭터들이 대부분 그렇듯 슈우를 내심 마음에 두고 있지만 그것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다가 애니판에서는 부케와 연적 관계가 되기까지 하였다.

결국 2기에서는 메인 히로인 자리를 부케에게 넘겨주게 되었으며, 같이 싸우자는 슈우의 부탁을 거절하고 안드로포프와 함께 생활하며 선생님 일을 하고 있다. 이후 사건들을 겪으면서 노이 덕분에 그림자가 부할하고 전쟁을 막자는 슈우 일행의 부탁을 수락한다.

개인 고물 바이크를 소유하고 있다.[8]

  • 마루마로
파일:361290.jpg
성우는 게임판이 코자쿠라 에츠코 / 류점희, 애니판은 우란 사키코 / 홍소영 / 로버트 마틴 클라인(Robert Martin Kiein)
그림자: 샤벨 타이거

데비족의 생존자들 중 하나다. 바보같은 행동을 보이기도 하지만 전적으로는 악동 캐릭터이다. 굉장히 밝히며(…) 그것 때문에 크룩에게 자주 얻어맞는다. 부케를 처음 만났을 때에 가슴 만지게 해주세요를 시전하였으나 그것도 클루크에게 얻어맞아서 실패하고 만다. 2기에서 슈우 일행과 재회하자 그때에도 어김없이 시전하였으나 부케는 간단히 회피하고 노이와 충돌하고 만다. 말끝마다 '마로'라는 말을 붙인다.

  • 부케
파일:F3CB524C-879D-415F-A07D-BD0705EBCB11.png
성우는 나카지마 사키 / 김민정 / 멜리사 판.
그림자: 히포포타마스
애니판 오리지널 캐릭터로, 4차원 속성을 갖고 있다. 라족의 후예라서 몸을 투명하게 만드는 능력을 갖고 있다.[9] 슈우를 좋아해서 일행이 무작정 떠난 후에도 끝까지 쫓아가서 9화를 기점으로 일행에 합류하는 데에 성공하였으며, 이후에도 계속 슈우와 같이 다니고 있다.

그 결과, 2기에서는 크룩를 제치고 메인 히로인 자리를 차지하는 데 성공한다.[10] 다만 크룩이 사는 곳으로 떠나려 할 때 어두운 낯빛은 감추지 못했다.

10대 초반이라는 설정에 맞지 않게 신체의 어딘가크고 아름답다. [11](…)[12] 아예 대놓고 슈우에게 애정표현을 하고 있으며 크룩과 연적 구도를 갖추고 있다. 2기로 넘어와서는 결국 진히로인이 되면서 슈우를 차지했다. 거기다 어째 슈우를 위해서라면 무슨 애정표현이든 다 할 기세다.[13]

  • 노이

상위 생명체이며 그림자를 부활시킬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소년이다. 거만한 말투로 아이 취급되는 것을 극단적으로 싫어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단 것을 좋아하는 등의 아이 같은 일면도 있다. 상위 생명체인 만큼 진정한 모습인 블랙 드래곤으로 변신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블루 드래곤과 합체하여 다른 상위 생명체에 대항 할 수있는 정도의 힘을 부여 할 수 있다.

  • 조라
파일:F8B3AEB2-0BC4-4397-984A-772B9DC2C89D.png
성우는 게임판이 쿠와시마 호우코 / 이용신, 애니판은 박로미 / 이명희 / 신디 로빈슨.
그림자: 킬러 배트

냉철한 성격의 여전사다. 슈우 일행 중에서 연장자인 만큼 필요할 때마다 세세히 도와주며 여러 일에 능하다. 7명의 빛의 전사를 찾아 여행을 하는데, 1기 후반에 들어서서 적으로 돌변해 여태까지 슈우 일행을 이용했음을 밝히고 결국 최종보스로서 슈우 일행과 대립하며, 본격적으로 어둠이 세계를 집어삼키기 위해 움직인다. 그리고 나서 마지막화에서 최후를 맞이한다.[14] 최후를 맞이한 뒤엔 2기에서 슈우의 환상속에 가끔씩 출연한다.


2.2. 그랑킹덤[편집]


  • 네네
성우는 게임판이 와카모토 노리오[15] /이장원, 애니판은 사이토 시로 / 오승룡[16] / 데이비드 로지.
그림자:

세계정복을 노리는 그랑킹덤의 수괴다. 공중 요새를 거점으로 삼아 세계 각지의 중심지를 파괴하고 동시에 그림자의 연구하며 인공 그림자를 만들어내서 세계정복에 한 걸음 앞서 나간다. 초반에는 압도적인 힘을 과시하며 슈 일행을 가볍게 제압했지만, 파워업 한 슈의 분노의 일격에 직격으로 맞아 사망했다.

  • 데스로이
성우는 게임판이 우에다 유우지 / 김장[17], 애니판은 시라토리 테츠 / 임하진.
주인의 목소리를 흉내내는 네네의 애완 동물이지만, 실은 빛의 용사의 후예이자 네네의 본체로 파트너 그림자는 키메라이다. 그러나 자신은 그림자가 발동 할 수 없기 때문에 사람의 힘을 빌려 그림자를 발동시킨다.
원작 게임에서는 네네에게 기생하던 고대문명의 파괴병기이자 진최종보스

  • 자보
성우는 게임판이 겐다 텟쇼 / 박만영
네네의 심복 로봇이다. 1기에서는 지로의 마을을 파괴한 전적이 있는 만큼, 지로와 숙명적인 관계에 놓여 있었다. 지로와 싸우다가 결국 패퇴하며 그디로 리타리어되지만, 2기에서는 고장난 체로 백의 여단에 발견되어서 기억을 잃고 프리무라의 시종으로 움직인다.




2.3. 로젠 크로이츠[편집]


  • 로기

그림자: 발키리 → 오딘

로젠 크로이츠의 수장이다. 그랑킹덤 소속의 장군이었다.(제네럴 로기라고 불린 이유) 그러나 후반엔 그랑킹덤을 배신하고, 로젠 크로이츠라는 독립된 조직을 창설하여 후반엔 아군이 되어 슈우 일행을 도와준다.
2기에서는 그랑킹덤이 붕괴한 틈을 타, 이번엔 본인이 세계를 정복하기 위해 각지 군벌들을 제압해나가며 세력을 확장시켜나간다. 그러던 도중에 백의 여단의 등장으로 인해 전쟁에 돌입하며 전쟁을 막으려는 슈우 일행과 다시 한 번대립각을 세운다.

  • 르메르
성우는 미키 신이치로[18]

  • 길리엄
성우는 노계현.

  • 신시아
성우는 타카쿠치 유키코 / 김지영.

  • 세르게이 안드로포프

  • 슈나이더


2.4. 기타 인물[편집]


  • 레골라스

금색 아프로 헤어의 털복숭이 남자다. 외모나 행적이나 사탄과 매우 흡사한 이 작품의 미스터 사탄과도 같은 존재이다.(…) 1기에서는 슈우 파티에 임시적으로 동행했으나 별 도움 안 되었으며 2기에서는 로젠 크로이츠에 대항하는 레지스탕스의 대장이지만 그것도 자칭으로 역시 별 도움은 안 된다. 또 입 안에 삼킨 쪽찌를 직접 손으로 꺼내는 기행을 벌이기도 했다.(...)

  • 지브랄
성우는 게임판이 나미카와 다이스케 / 정재헌

  • 콘라드 / 콘래드

슈우가 존경하는 나이트 마스터다. 맨몸임에도 그림자 전사에 대항 할 수 있는 전투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검을 자유 자재로 조종하며 돌풍을 일으키는 능력을 가졌다. 이쯤되면 그림자가 없어도 될 듯하다.


2.5. 백의 여단[편집]


  • 닥터 타르코프스키

  • 버밀리온

  • 프리오스

  • 프리무라 / 프리뮬러


2.6. 상위 생명체[편집]


2기의 주 적대 세력. 어둠보다 먼저 존재한 생명체들이며, 인간들의 성격이나 특성을 저울질하여 인류를 멸종시킬지를 결정하다가 결국 인류를 멸종시키기로 결정한다. 이에 대해서 노이를 제외한 다른 상위 생명체들은 모두 동의를 했기에 슈우 파티와 노이를 적대하게 된다.
중간에 파기노가 사망, 미카엘도 자신의 신념을 보이다 블루드래곤을 다치게 했다는 이유로 루돌프에게 사망했으며 최후에는 수장인 루돌프마저 신을 자처하다가 슈와 블루드래곤에 의해 사망한다. 결국 노이를 포함한 나머지 3명은 인간의 가능성을 믿기로 결심해 슈에게 모든 것을 맡기고 우주로 돌아간다.

  • 루돌프
성우는 코야마 리키야 / 이동훈. 상위 생명체들의 수장이자 2기의 최종보스인 골드 드래곤. 각진 턱이 특징인 장신에다 거구의 남성으로 자신이 신세계를 만들려는 야욕을 품고 있다.

  • 미카엘 / 미카엘
성우는 토리우미 코스케 / 심규혁.
상위생명체측의 최고 간부이자 장신인 붉은 머리칼의 미청년 레드 드래곤으로 변신한다. 초~중반부 까지는 주인공 일행의 아치에너미 역할이었기 때문인지 슈의 그림자인 블루 드래곤과 대비되는 부분이 많다.[19]

  • 로타레스
성우는 토요구치 메구미 / 조경이.
장신에다 보이쉬+빼어난 미모를 가진 연보라색 숏컷의 여성 동양용처럼 몸이 기다란 화이트드래곤으로 변신한다.

  • 파기노
성우는 타카기 와타루 / 김디도.
뚱뚱한 외모에 모호크 스타일이 특징인 청년 우파루파처럼 통통한 핑크 드래곤으로 변신한다

  • 힐데갈드 / 힐더가든
성우는 우치다 유야, 아사노 마스미 / 김성연.
양성구유로서 남성 여성으로 성을 바꾸는 게 가능한 청록색 장발의 미인. 쌍두룡인 그린 드래곤으로 변신한다. 드래곤 형태는 파기노, 미카엘과 마찬가지로 뚱뚱한 체형이지만 사족보행형이다. 쌍두룡의 모습은 진정한 모습이며 작중 후반부에 배신한 로테라스를 루돌프의 명령으로 처형하려고 할때 드러난다. 또한 팔과 다리, 목의 길이를 자유자재로 늘릴 수 있다.

  • 노이
위에 슈우 파티 항목을 참조하길 바란다.

  • 블루 드래곤
아래의 그림자 항목 참조


2.7. 그림자[편집]


7개의 그림자를 제외하면[20] 나머지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그림자다. 당연하지만 원조인 7개의 그림자가 훨씬 강하다.

대다수의 그림자들은 이종족 괴수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극히 드물게 인간형도 존재하는데 1기 18화에서 그랑 킹덤 탈영병 출신 남성의 그림자는 분홍색 헤어, 무희 의상의 미녀로 딱히 전투 능력은 없지만 아름다운 외모, 무희 의상의 신체 노출도[21]를 이용한 미인계를 활용하여 적을 속이고 처치하는 행위에 환멸감을 느껴 탈영하고 위장 신분으로 여관을 운영한 것.

  • 블루드래곤
성우는 타카츠카 마사야 / 최낙윤 / 렉스 랭.
본작의 주인공의 그림자다. 매우 난폭하고 호전적인 성격이라 첫등장시 인간의 통제를 받는 다른 그림자들과 달리 다리도 슈우를 끌고 날아다녔다. 나중에 슈우 일행과 오래 지내면서 자유를 포기할 정도로 인간에게 정을 느낀다. 처음 등장했을 때 조라가 뭔가 아는 듯한 묘사를 했으며, 태고엔 파괴신으로 악명 높던 그림자였던 것 같다. 2기에서 정체가 유일하게 행방불명이었던 마지막, 7번째의 상위생명체 하나였음이 밝혀진다.[22]

  • 샤벨 타이거
성우는 호리카와 진 / 서원석 / 닐 캐플런.
빠른 속도가 주특기인 그림자다.

  • 미노타우루스
성우는 오치아이 코지 / 박서진 / 커크 손턴.
공격력은 강하지만 필살기를 사용하는데 충전 시간이 오래 걸려서 상대에게 허를 찔릴 수 있다는 약점이 있다.

  • 히포포타마스
성우는 / 민응식 / 마이클 소리치(Michael Sorich).
주된 능력은 변신이며 이는 제대로 된 공격 능력이 아니다. 그림자 혼자 변신하는 게 아니라 부케와 같이 변신을 한다. 대신 다른 상황에선 여러모로 쓸모 있는 듯하다. 그림자들 중 유일하게 전투능력이 전무하지만 각성 이후엔 한번 공격 받은 적의 기술을 재현하는 카피 능력도 생겼다.
2기에서 진짜 능력이 노이에 의해 밝혀졌는데 다른 그림자와 합체를 하는 것이었다. 정확히 말하자면 부케와 히포포타마스가 전신 갑옷으로 변해 다른 그림자에 입혀지는데 그렇게 되면 그림자는 RPG게임에서 강한 아이템을 착용한 듯이 강해지는 효과가 생긴다. 참고로 이는 노이도 가능하다. 부케가 주로 합체를 하는 대상은 블루 드래곤과 샤벨 타이거다. 처음 합체를 한 것은 블루 드래곤이었으며 이 때 블루드래곤은 서양식 판금 갑옷을 입은 듯한 모습에 다리가 생겼고 킥을 날릴 수 있었다. 어느 순간부터 블루드래곤이 노이와 합체하기만 해서인지 샤벨 타이거와 합체를 하는데 이 때 샤벨 타이거의 모습은 판금 갑옷이 아닌 가죽 옷을 입은 듯한 모습이었다.

  • 피닉스
성우는 이재현. 크룩의 그림자이며 붉은 새의 모습을 하고 있다. 주된 능력은 방어이며 둥근 돔 같은 것을 씌워 아군을 보호할 수 있다. 하지만 공격 능력이 아니기 때문에 딜러가 필요하다. 1기 25화에서 첫 공격 기술인 이터널 플레임을 선보였지만 미미하였다.

  • 키메라
성우는 ? / 캐런 스트래스먼.
이름은 키메라인데 생긴 것은 영락없이 붉은 드래곤.

  • 발키리
성우는 키노시타 사야카 / 김성연 / 캐런 스트래스먼.
첫등장 시 로기의 그림자인 것처럼 나오지만 사실 네네가 로기에게 하사한 인조 그림자로 후반부에 발키리의 힘만으로는 한계가 오자 발키리는 이를 로기가 아닌 자신의 패배라 정정하며 스스로를 소멸시키고 로기의 원래 그림자인 오딘을 부른다.

  • 오딘
성우는 로기와 동일한 이토 켄타로
로기의 그림자다.

  • 킬러 배트
성우는 리처드 엡카
다른 그림자들은 말을 하지만 킬러 배트만 유독 말하는 건 물론, 목소리조차 나오지 않았다. 양 손을 검으로 바꿀 수 있으며 광선도 발사할 수 있다. 후반부에는 조라와 같이 최종보스가 된다. 정확히는 킬러 배트야말로 조라의 그림자로 위장하여 선대 그림자 용사들이 건 자신의 봉인을 풀려고 한 흑막 즉 어둠 그 자체다.

  • 이자벨

  • 알브헤임


3. 관련용어[편집]


  • 그림자

  • 어둠
1기의 최종 보스들 중 하나. 과거 7인의 빛의 용사들에 의해 봉인당했다.

  • 그림자 능력자

  • 빛의 전사
과거 어둠을 봉인시킨 그림자 능력자들을 일컫는 용어.

  • 상위생명체


4. 주제가[편집]



4.1. OP[편집]


FRIEND
블루 드래곤 (1화~26화)
작사타치바나 케이타(橘 慶太)
작곡T2ya
편곡Koma2 Kaz
아티스트타치바나 케이타
콘티유키히로 마츠시타(ユキヒロマツシタ)
연출
작화오오츠카 켄
오구리 히로코(小栗寛子)
오다 마유미(小田真弓)
츠지 미야코
키시 요시유키(岸 義之)
무라나카 히로미(村中博美)
야마모토 나오코(山本直子)
후루세 노보루(古瀬 登)
이즈미 키누코(和泉絹子)
카토 미키(加藤美紀)
이노세 후지오(猪瀬富士夫)
ムネニキボウヲ
블루 드래곤 (27화~51화)
작사하루카(遼花)
작곡하루카/미조구치 카즈히코(溝口和彦)
편곡미조구치 카즈히코
아티스트하루카
콘티유키히로 마츠시타
연출
작화호리우치 히로유키(堀内博之)
키시 요시유키
네리키 마시히로(練木正宏)
에구치 히사시
마츠타케 토쿠유키
사다카타 키쿠코(貞方希久子)
엔도 유이치(遠藤裕一)
츠지 미야코

무토 노부히로(武藤信宏)
잇시 카츠토시(一志勝利)
카토 미키
니시하라 리나코(西原理奈子)
정영훈(チョンヨンフン)
타나카 히데토(田中秀人)
무라카미 토모코(村上朋子)

光の指す方へ
천계의 7용 (1화~26화)
작사chihiRo
작곡kubota
편곡JiLL-Decoy association
아티스트JiLL-Decoy association
콘티유키히로 마츠시타
연출
작화카토 타이치(加藤太智)
사노 타카오(佐野隆雄)
마츠타케 토쿠유키
코타케 아유무(小竹 歩)
사다카타 키쿠코
타나카 히로토
青い未来
천계의 7용 (27화~51화)
작사아키모토 야스시
작곡스즈키 다이스케(鈴木大輔)
편곡노나카“마사”유이치(野中“まさ”雄一)
아티스트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
콘티유키히로 마츠시타
연출
작화오노다 타카유키(小野田貴之)
이시카와 준(石川 準)

츠지 미야코
나구모 아야(南雲 紋)
니시하라 리나코
하시모토 토시코(橋本季子)
요시다 마유(吉田真夕)
사쿠라모토 아이카(櫻本愛佳)
노다 메구미(野田めぐみ)
혼다 에미(本多恵美)
쿠보 타다시(久保 正)
우츠노 나오미(宇津野奈緒美)
스즈키 토시하루(鈴木俊玄)
스즈카 요코(鈴鹿陽子)

4.2. ED[편집]


Fly So High
블루 드래곤 (1화~16화)
작사TIGER
작곡FLYING GRIND
편곡
아티스트야마다 유
콘티유키히로 마츠시타(ユキヒロマツシタ)
연출
작화후루세 노보루(古瀬 登)
무라나카 히로미(村中博美)
야마모토 나오코(山本直子)
사이토 카즈야(斎藤和也)

Kokoro
블루 드래곤 (17화~26화)
작사SPIN
작곡혼마 아키미츠(本間昭光)
편곡나카무라 타이와(中村太和)
아티스트SS501
콘티유키히로 마츠시타
연출
작화카토 타이치(加藤太智)
무라나카 히로미
오구리 히로코(小栗寛子)
이노세 후지오(猪瀬富士夫)
오오츠카 켄

Hana
블루 드래곤 (27화~38화)
작사미츠오카 마사미(光岡昌美)
작곡타나카 나오(田中 直)
편곡
아티스트미츠오카 마사미
콘티유키히로 마츠시타
연출
작화쿠보 츠구유키

セピア
블루 드래곤 (39화~51화)
작사요시다 야스히데(吉田安英)
작곡Kiichi
편곡시미즈 노부유키(清水信之)
아티스트D-51
콘티유키히로 마츠시타
연출
작화사다카타 키쿠코(貞方希久子)

천계의 7용 (1화~14화)
작사chihiRo
작곡Jin Nakamura
편곡Jin Nakamura
JiLL-Decoy association
아티스트JiLL-Decoy association
콘티유키히로 마츠시타
연출
작화쿠보타 치카시

Sunnyday
천계의 7용 (15화~26화)
작사Lead
작곡모토야마 세이지(本山清治)
편곡
아티스트Lead
콘티유키히로 마츠시타
연출
작화츠지 미야코

イ〜じゃナイ!?
천계의 7용 (27화~39화)
작사Shoko
작곡후지사와 요시아키(藤澤慶昌)
편곡
아티스트시모카와 미쿠니
콘티유키히로 마츠시타
연출
작화쿠보 츠구유키
키노시타 히로타카(木下裕孝)
마츠타케 토쿠유키

蕾 〜tsubomi〜
천계의 7용 (40화~51화)
작사시모카와 미쿠니
작곡ats-
편곡마츠가시타 히로유키(松ヶ下宏之)
아티스트시모카와 미쿠니
콘티유키히로 마츠시타
연출
작화니시하라 리나코(西原理奈子)
마츠모토 요시나가(松本吉永)

5.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방영일
블루 드래곤
1화影、発動
그림자,발동
야마토야 아카츠키유키히로 마츠시타
(ユキヒロマツシタ)
니노미야 츠네오日: 2007.04.07.
韓:
2화蒼き力
파란 힘
콘 치아키오오타케 노리코
(大竹紀子)
日: 2007.04.14.
韓:
3화シュウとジーロ
슈와 지로
마츠모토 마사유키
(松本マサユキ)
김상엽日: 2007.04.21.
韓:
4화切り札はパンツ
사토 미츠토시
(サトウ光敏)
쿠보 츠구유키日: 2007.04.28.
韓:
5화ゼネラル・ロギ
유키히로 마츠시타시미즈 아키라
(清水 明)
미나미 신이치로日: 2007.05.05.
韓:
6화ふわふわのむぎゅ
콘 치아키아사미 마츠오
(浅見松雄)
사이죠 타카시
(西城隆詞)
日: 2007.05.12.
韓:
7화貴婦人のわな
사토 미츠토시호리우치 나오키
(堀内直樹)
안도 미키히코
(安藤幹彦)
日: 2007.05.19.
韓:
8화ナイトマスター
이시히라 신지츠치야 히로유키
(土屋浩幸)
츠지 미야코日: 2007.05.26.
韓:
9화プロポーズ大作戦
마츠모토 마사유키김상엽日: 2007.06.02.
韓:
10화ロギ、襲来
아리토미 코지
(有冨興二)
시미즈 아키라오오타케 노리코日: 2007.06.09.
韓:
11화包囲網を突破せよ
고다 하야토
(剛田隼人)
미나미 신이치로日: 2007.06.16.
韓:
12화ドラグノフ特攻
치바 카츠히코
(千葉克彦)
아베 마사시
(阿部雅司)
아사미 마츠오오노다 타카유키
(小野田貴之)
日: 2007.06.23.
韓:
13화潜入
시모야마 켄토사토 미츠토시오다 마유미
(小田真弓)
日: 2007.06.30.
韓:
14화 クルックの想い
스미사와 카츠유키
(隅沢克之)
하라다 히로시야마토 나오미치
(ヤマトナオミチ)
츠지 미야코日: 2007.07.07.
韓:
15화希望への指針
야마토야 아카츠키마츠모토 마사유키니시무라 히로아키
(西村博昭)
서금숙
백승찬
日: 2007.07.14.
韓:
16화はじまりの書
아키츠 미나미
(秋津 南)
호리우치 나오키
(堀内直樹)
스가와라 히로키
(菅原浩喜)
日: 2007.07.21.
韓:
17화ホメロンは死んだ
치바 카츠히코유키히로 마츠시타츠치야 히로유키오오타케 노리코日: 2007.07.28.
韓:
18화愛しの影
우라사와 요시오하라다 히로시시미즈 아키라오노다 타카유키日: 2007.08.04.
韓:
19화遺跡のなぞ
야마토야 아카츠키고다 하야토미나미 신이치로日: 2007.08.11.
韓:
20화囚われのナイト
시모야마 켄토사토 미츠토시오오타케 노리코
니노미야 츠네오
안도 미키히코
오구리 히로코
(小栗寛子)
日: 2007.08.18.
韓:
21화追跡・情報師
야마토야 아카츠키마츠모토 마사유키
이와나가 아키라
니시무라 히로아키백승찬
서금숙
日: 2007.08.25.
韓:
22화きえきえのいや〜ん
우라사와 요시오코바야시 타카시
(小林孝志)
호리우치 나오키스가와라 히로키日: 2007.09.01.
韓:
23화蒼穹へ
치바 카츠히코유키히로 마츠시타시미즈 아키라츠지 미야코日: 2007.09.08.
韓:
24화悪魔の追撃
하라다 히로시고다 하야토오노다 타카유키日: 2007.09.15.
韓:
25화VS独立遊撃隊
야마토야 아카츠키츠치야 히로유키미나미 신이치로日: 2007.09.22.
韓:
26화恐乱のシンシア
아베 마사시사토 미츠토시오오타케 노리코日: 2007.09.29.
韓:
27화ロギの船へ
시모야마 켄토아키츠 미나미호리우치 나오키스가와라 히로키日: 2007.10.06.
韓:
28화こそこそのどきゅん
유키히로 마츠시타오다 마유미日: 2007.10.13.
韓:
29화エクストラセブン
야마토야 아카츠키이와나가 아키라니시무라 히로아키백승찬日: 2007.10.20.
韓:
30화闇のドラゴン
치바 카츠히코아베 마사시
유키히로 마츠시타
시미즈 아키라츠지 미야코日: 2007.10.27.
韓:
31화強き者
시모야마 켄토하라다 히로시고다 하야토오노다 타카유키日: 2007.11.03.
韓:
32화影使いの弟子
우라사와 요시오사토 미츠토시쿠보 츠구유키日: 2007.11.10.
韓:
33화パンツ天国
아키츠 미나미호리우치 나오키스가와라 히로키日: 2007.11.17.
韓:
34화ギリアム再び
야마토야 아카츠키스마 마사토
(須間雅人)
츠치야 히로유키오오타케 노리코日: 2007.11.24.
韓:
35화 光るカバ
치바 카츠히코이와나가 아키라니시무라 히로아키백승찬日: 2007.12.01.
韓:
36화ひそひそのどっかん
우라사와 요시오하라다 히로시시미즈 아키라나카지마 요시코
(中島美子)
타니구치 모리야스
日: 2007.12.08.
韓:
37화決戦・空中要塞
야마토야 아카츠키아베 마사시고다 하야토오노다 타카유키日: 2007.12.15.
韓:
38화最後の戦い
유키히로 마츠시타츠지 미야코日: 2007.12.22.
韓:
39화凱旋
시모야마 켄토아키츠 미나미호리우치 나오키스가와라 히로키日: 2008.01.05.
韓:
40화ローゼンクロイツ
치바 카츠히코하라다 히로시사토 미츠토시쿠보 츠구유키日: 2008.01.12.
韓:
41화籠の中の小鳥
야마토야 아카츠키이와나가 아키라니시무라 히로아키백승찬日: 2008.01.19.
韓:
42화覚醒
우라사와 요시오스마 마사토시미즈 아키라오오타케 노리코日: 2008.01.26.
韓:
43화七人の光の戦士
일곱 명의 빛의 전사
시모야마 켄토이시히라 신지고다 하야토오노다 타카유키日: 2008.02.02.
韓:
44화真実
진실
치바 카츠히코하라다 히로시츠치야 히로유키나카지마 요시코
타니구치 모리야스
日: 2008.02.09.
韓:
45화ぷるぷるのぽよん
야마토야 아카츠키아키츠 미나미호리우치 나오키스가와라 히로키日: 2008.02.16.
韓:
46화不協和音
불협화음
치바 카츠히코아베 마사시사토 미츠토시츠지 미야코日: 2008.02.23.
韓:
47화闇の中へ
어둠 속으로
우라사와 요시오하라다 히로시니시무라 히로아키백승찬日: 2008.03.01.
韓:
48화二つの誓い
두 개의 맹세
시모야마 켄토이시히라 신지시미즈 아키라쿠보 츠구유키日: 2008.03.08.
韓:
49화ゾラ
조라
야마토야 아카츠키아키츠 미나미고다 하야토오다 마유미日: 2008.03.15.
韓:
50화
유대
나이토 메이고
(内藤明吾)
츠치야 히로유키나카지마 요시코
타니구치 모리야스
日: 2008.03.22.
韓:
51화シュウ
유키히로 마츠시타사토 미츠토시오오타케 노리코日: 2008.03.29.
韓:
블루 드래곤 천계의 7용
1화紅き竜
야마토야 아카츠키유키히로 마츠시타츠지 미야코日: 2008.04.05.
韓:
2화ノイ
이시히라 신지시미즈 아키라야마모토 사와코
(山本佐和子)
日: 2008.04.12.
韓:
3화漢の勝負
아키츠 미나미호리우치 나오키스가와라 히로키
카와구치 히로아키
(川口弘明)
日: 2008.04.19.
韓:
4화欲望の鱗
치바 카츠히코하라다 히로시야마토 나오미치쿠보 츠구유키日: 2008.04.26.
韓:
5화朽ちたピラミッド
우라사와 요시오히라이 요시미치
(平井義通)
백승찬日: 2008.05.03.
韓:
6화それぞれの道
야마토야 아카츠키사토 미츠토시타니구치 모리야스
나카지마 요시코
日: 2008.05.10.
韓:
7화初恋
우라사와 요시오하라다 히로시고다 하야토오다 마유미
니노미야 츠네오
日: 2008.05.17.
韓:
8화彼女の選択
치바 카츠히코사토 타쿠야츠치야 히로유키츠지 미야코日: 2008.05.24.
韓:
9화愛のダンス
시모야마 켄토아키츠 미나미호리우치 나오키스가와라 히로키
카와구치 히로아키
日: 2008.05.31.
韓:
10화どきどきのぽわん
야마토야 아카츠키이시히라 신지시미즈 아키라타니구치 모리야스
스기토 사유리
(杉藤さゆり)
日: 2008.06.07.
韓:
11화ミヒャエル
치바 카츠히코히라이 요시미치백승찬日: 2008.06.14.
韓:
12화ノイの決断
유키히로 마츠시타야마토 나오미치코다 마사유키
쿠보 츠구유키
日: 2008.06.21.
韓:
13화白の旅団
야마토야 아카츠키사토 미츠토시츠지 미야코日: 2008.06.28.
韓:
14화導きの少女
하라다 히로시고다 하야토안도 미키히코
코스게 히로시
(小菅 洋)
日: 2008.07.05.
韓:
15화へろへろのばたん
우라사와 요시오아키츠 미나미호리우치 나오키스가와라 히로키日: 2008.07.12.
韓:
16화突入ニルヴァーナ
야마토야 아카츠키하라다 히로시츠치야 히로유키카도 토모아키
(門 智昭)
日: 2008.07.19.
韓:
17화ちゅるちゅるのあはん
우라사와 요시오아키츠 미나미히라이 요시미치백승찬日: 2008.07.26.
韓:
18화竜の街
치바 카츠히코유키히로 마츠시타시미즈 아키라오다 마유미日: 2008.08.02.
韓:
19화地下に眠りしもの
이시히라 신지고다 하야토오노다 타카유키日: 2008.08.09.
韓:
20화ロッタとノイ
야마토야 아카츠키사토 미츠토시코다 마사유키
쿠보 츠구유키
日: 2008.08.16.
韓:
21화新たなる竜
유키히로 마츠시타츠치야 히로유키츠지 미야코日: 2008.08.23.
韓:
22화ヒポポタマン
치바 카츠히코아키츠 미나미호리우치 나오키스가와라 히로키日: 2008.08.30.
韓:
23화マダムのささやき
우라사와 요시오하라다 히로시사사키 신야
(佐々木真哉)
백승찬日: 2008.09.06.
韓:
24화死者の帰還
야마토야 아카츠키이시히라 신지시미즈 아키라카도 토모아키日: 2008.09.13.
韓:
25화とどかぬ声
시모야마 켄토하라다 히로시고다 하야토오노다 타카유키日: 2008.09.20.
韓:
26화彼女の望み
치바 카츠히코사토 미츠토시코다 마사유키日: 2008.09.27.
韓:
27화開戦
야마토야 아카츠키이와나가 아키라츠치야 히로유키츠지 미야코日: 2008.10.04.
韓:
28화スレイプニル飛翔
아키츠 미나미호리우치 나오키카와구치 히로아키日: 2008.10.11.
韓:
29화神託の力
유키히로 마츠시타카도 토모아키日: 2008.10.18.
韓:
30화分かたれた世界
아카사카 산쥬로
(赤坂三十郎)
사사키 신야백승찬
서금숙
日: 2008.10.25.
韓:
31화騎士と少女
하라다 히로시시미즈 아키라오다 마유미
카네코 마코토
(金子 誠)
日: 2008.11.01.
韓:
32화美食の街
우라사와 요시오아카사카 산쥬로고다 하야토오노다 타카유키日: 2008.11.08.
韓:
33화マチルダ出撃
시모야마 켄토사토 미츠토시코다 마사유키日: 2008.11.15.
韓:
34화偽りの笑顔
우라사와 요시오하라다 히로시호리우치 나오키카와구치 히로아키日: 2008.11.22.
韓:
35화最後の試練
야마토야 아카츠키유키히로 마츠시타츠지 미야코日: 2008.11.29.
韓:
36화決断の刻
이시히라 신지츠치야 히로유키카도 토모아키日: 2008.12.06.
韓:
37화ヴァーミリアン
오오하타 코이치고다 하야토오노다 타카유키日: 2008.12.13.
韓:
38화美しき世界
우라사와 요시오이시히라 신지사사키 신야서금숙
백승찬
日: 2008.12.20.
韓:
39화よみがえる力
카와바타 신야
(川端信也)
오오하타 코이치시미즈 아키라니노미야 츠네오
카도 토모아키
日: 2008.12.27.
韓:
40화失われた神殿
시모야마 켄토하라다 히로시사토 미츠토시코다 마사유키日: 2009.01.10.
韓:
41화花園
우라사와 요시오아카사카 산쥬로호리우치 나오키카와구치 히로아키日: 2009.01.17.
韓:
42화モグモグのバフ〜ン
야마토야 아카츠키하라다 히로시츠치야 히로유키안도 미키히코
하칸다 마사토시
(波間田正俊)
日: 2009.01.24.
韓:
43화ズメイ攻防
카와바타 신야유키히로 마츠시타츠지 미야코日: 2009.01.31.
韓:
44화空へ
이시히라 신지고다 하야토오노다 타카유키日: 2009.02.07.
韓:
45화上位生命体
야마토야 아카츠키오오하타 코이치시미즈 아키라카도 토모아키
카네코 마코토
日: 2009.02.14.
韓:
46화天界の城
나카무라 켄이치로
(中村謙一郎)
사사키 신야서금숙
백승찬
日: 2009.02.21.
韓:
47화ロッタ
우라사와 요시오하라다 히로시호리우치 나오키카와구치 히로아키日: 2009.02.28.
韓:
48화最後の決戦
야마토야 아카츠키사토 미츠토시코다 마사유키日: 2009.03.07.
韓:
49화カイザースヴェルト
오오하타 코이치츠치야 히로유키오다 마유미日: 2009.03.14.
韓:
50화記憶
아카사카 산쥬로고다 하야토츠지 미야코日: 2009.03.21.
韓:
51화青い空
유키히로 마츠시타하칸다 마사토시日: 2009.03.28.
韓: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1:52:30에 나무위키 서몬마스터즈 블루 드래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김지영, 노계현, 민응식, 변현우, 신용우, 오병조, 오승룡, 유강진, 윤세웅, 이원상, 홍범기, 홍소영이 게스트로 출연했다. 참고로 굵은 글씨는 2기 때도 출연한 성우.[2] 2기 방영일은 2012년[3] 2기에선 네네 역할이 원로 성우 오승룡으로 유지됐다.[4] 타 드래곤 애니주인공과는 이름만 같은 뿐, 전혀 관련이 없다.[5] 우연의 일치로 강수진 성우는 원화가의 대표작인 SBS 드래곤볼Z에서 손오공 역으로 짧고 굵은 열연을 선보였다.[6] 게임판에선 지브랄 국왕을 맡았다.[7] 본래 게임에서의 영어스펠링 대로라면 클루크지만, 일본 음성으로는 크루크라 말하고 이걸 역자가 크룩이라 착각한 듯하다.[8] 파일:크룩바이크.jpg[9]신체만 투명하게 할 수 있는 듯 하다. 옷은? 말이 필요한가?[10] 파일:FzVnV2CXgAAlltj.jpg히로인 포지션에 따라 옷 색상도 바뀌는데, 1기에선 메인 히로인의 크룩은 분홍색에 서브 히로인이었던 부케는 파랑+흰색이었는데, 2기에선 둘 위치가 바뀌면서 부케는 분홍, 크룩은 파랑+흰색으로 바뀌었다. 위 이미지는 애니 방영전의 초안인데, 애니와는 다르게 크룩은 파랑+검정, 부케는 분홍이 아니라 빨강 조합이었다.[11] 동일 작가의 타작품 히로인과 여러모로 많이 닮았다.[12] 파일:8C5CD798-B4FB-4372-92A6-B32684BD2EC8.png크룩도 어느 정도 굴곡이 있긴 하지만 부케는 답이 없다(…).[13] 슴가를 만지려다 실패한 마루마로에게 "내 슴가는 슈우 전용이거든?"이라느니, 피라미드를 저지한 때에는 스위트룸에서 슈우와 어른의 시간을 가져도 되냐느니… 이건 뭐…[14] 조라는 고고학자인 아버지와 함께 유적을 탐험하다가 유적에서 조난을 당하게 되었고 어둠 속에서 홀로 오랫동안 있었다. 그 때문에 어둠을 친구처럼 받아들였고 어둠과 친해지게 되면서 슈우 일행과 적으로 돌변하게 되었다.[15] 원화가의 작품인 드래곤볼시리즈에서 셀로 유명하시다.[16] 무려 1934년생으로 더빙판 성우진 중 최고참이다. 1954년 데뷔로 성우로 같이 참여한 후배들의 부모님이 태어나셨을 즈음에 성우일을 시작한 셈이다. 심지어 오승룡 성우의 성우 경력은 당시 참여한 대원 성우들 나이의 곱하기 2를 해야 맞먹을 정도. 또한 그 동안 대원에서 더빙에 참여한 아니 여지껏 일본 애니메이션에 출현한 원로 성우중 최고령이자 최고참이다. 이는 역대 가장 많은 성우진을 동원한 몬스터도 못 이룬 것이다. 2022년 2월 21일 만성심부전으로 별세. [17] 우에다 유우지와 김장 둘다 기수신세기 조이드에서 형제관계인 인물을 연기했다. 우에다는 형인 칼을, 김장은 동생인 토마를 담당.[18] 이후 드래곤볼시리즈에서 자마스를 연기하게 된다.[19] 인간형에 근육질인 블루드래곤과 다르게 미카엘의 원래 모습인 레드드래곤은 일반적인 괴수형에 복부 비만 체형을 띄고있다. 눈동자 색 역시 블루 드래곤이 붉은색. 미카엘은 푸른색이다.[20] 블루드래곤, 미노타우로스, 사벨타이거, 피닉스, 히포포타머스, 키메라, 오딘[21] 어깨, 쇄골은 물론 가슴골과 배꼽에 왼쪽 골반 라인까지 드러난 파격적인 노출도를 자랑한다.[22] 때문에 노이는 블루 드래곤이야말로 상위생명체의 진정한 리더였을 것이라 내심 생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