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의 신

덤프버전 :

소설의 신 (2020)
小説の神様 君としか描けない物語 [1]
Our Story
파일:소설의 신 한국포스터.jpg
장르
드라마
감독
쿠보 시게아키
원작
제작
시미즈 요이치
출연
촬영
아시자카 테루쿠니
조명
히라노 카츠토시
편집
와다 츠요시
음악
나카노 유타
주제곡
음향
사이토 마사토시
미술
마츠즈카 타카시
조감독
쿠보 토모히로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 크레데우스, 영화 '소설의 신' 제작위원회
수입사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HIGH BROW CINEM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디어캐슬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0년 10월 2일
상영 시간
106분
월드 박스오피스
대한민국 총 관객 수
상영 등급

1. 개요
2. 원작
3. 예고편
4. 시놉시스
5. 등장인물
6. 줄거리
7. 삽입곡
8. 무대탐방
9. 평가
10. 흥행
11. 기타



1. 개요[편집]


일본의 2020년 드라마 영화. 힐링물이다. 감독은 쿠보 시게아키이고, 사토 타이키, 하시모토 칸나 등이 출연하였다.


2. 원작[편집]


이 영화의 원작은 아이자와 사코의 2016년의 동명의 소설 '소설의 신'(小説の神様)과 2018년에 후속 2부작으로 속간된 '소설의 신 너를 읽는 이야기'(小説の神様 あなたを読む物語)로 연작된 소설이다. 코단샤에서 출판하였다. 2019년에 이 작품은 만화화되어 '소설의 신 우리들의 이야기 소설의 신 앤솔로지'(小説の神様 わたしたちの物語 小説の神様アンソロジ)라는 제목으로 2020년까지 역시 코단샤에서 연재되었고, 일본에서 2020년 10월에 이 작품(일본어명:小説の神様 君としか描けない物語)으로 영화화되었다. 한국에서는 2021년 1월에 '소설의 신'이라는 제목으로 상권이, 2021년 7월에 '소설의 신 너를 읽는 이야기(하)'라는 제목으로 영상출판미디어에서 출판되었다. 옮긴이는 이지연이다.


3. 예고편[편집]


예고편


4. 시놉시스[편집]


중학교 때 작가로 데뷔했지만 작품이 좋지 않게 평가되면서

자신감을 잃은 고교생 소설가 이치야(사토 타이키)는

같은 반이면서 이미 유명한 히트 소설 작가인 시이나(하시모토 칸나)를 알게 된다.

어느 날 출판사 편집자는 두 사람이 협업하여 소설을 쓰면 베스트셀러가 될 것이라고 제안하고,

둘은 함께 글 쓰는 작업을 시작한다.

생각도 글 쓰는 방식도 전혀 다른 둘은 처음에는 트러블만 겪지만

점점 함께 창작을 하면서 서로를 이해하게 되고

이치야는 시이나의 비밀을 알게 되는데…

출처: 네이버 영화



5. 등장인물[편집]


  • 사토 타이키 - 치타니 이치야 역
  • 하시모토 칸나 - 쿄유루기 시이나 역
  • 사토 류지 - 쿠노리 마사키 역
  • 시바타 쿄카 - 나루세 아키노 역
  • 야마모토 미라이 - 코우노(편집자) 역
  • 사카구치 료타로 - 노나카(편집자) 역
  • 카타오카 아이노스케 - 치타니 쇼우야 역(이치야의 아버지) 역
  • 와쿠이 에미 - 치타니 유리코 역(이치야의 어머니) 역
  • 리코 - 치타니 히나코 역


6. 줄거리[편집]




7. 삽입곡[편집]


  • 주제가(엔딩곡)
'Call Me Sick' - 레이(伶)

  • 삽입곡


8. 무대탐방[편집]


이 작품의 주요 촬영지는 도치기현 아시카가시이다.

도치기 현립 아시카가 미나미 고등학교
배경이 된 고등학교이다.

장소도치기현 아시카가시 시모시부타리초 980


아시카가시역(도부 철도)
치타니 이치야가 비맞은 쿄유루기 시이나를 우산들고 마중나가는 역이다.

장소도치기현 아시카가시 다나카초


9. 평가[편집]










[[IMDb|

파일:IMDb 로고.svg
]]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IMDb|

파일:IMDb 로고.svg
]]
(IMDb Top 250 등의 리스트명 순위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순위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기자·평론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전문가평점 / 10
관람객
{{{#!wiki style="display:inline-block"관람객 평점 / 10
네티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네티즌 평점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기자·평론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전문가평점 / 10
관람객
{{{#!wiki style="display:inline-block"관람객 평점 / 10
네티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네티즌 평점 / 10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영화코드"
평점 관람객 평점 / 10
















10.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최초개봉일)$(세계누적)(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미정미개봉미정
중국미정미개봉미정


10.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명-명미집계-원-원
1주차20XX-XX-XX. 1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2일차(목)-명-위-원
20XX-XX-XX. 3일차(금)-명-위-원
20XX-XX-XX. 4일차(토)-명-위-원
20XX-XX-XX. 5일차(일)-명-위-원
20XX-XX-XX. 6일차(월)-명-위-원
20XX-XX-XX. 7일차(화)-명-위-원
2주차20XX-XX-XX. 8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9일차(목)-명-위-원
20XX-XX-XX. 10일차(금)-명-위-원
20XX-XX-XX. 11일차(토)-명-위-원
20XX-XX-XX. 12일차(일)-명-위-원
20XX-XX-XX. 13일차(월)-명-위-원
20XX-XX-XX. 14일차(화)-명-위-원
3주차20XX-XX-XX. 15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16일차(목)-명-위-원
20XX-XX-XX. 17일차(금)-명-위-원
20XX-XX-XX. 18일차(토)-명-위-원
20XX-XX-XX. 19일차(일)-명-위-원
20XX-XX-XX. 20일차(월)-명-위-원
20XX-XX-XX. 21일차(화)-명-위-원
4주차20XX-XX-XX. 22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23일차(목)-명-위-원
20XX-XX-XX. 24일차(금)-명-위-원
20XX-XX-XX. 25일차(토)-명-위-원
20XX-XX-XX. 26일차(일)-명-위-원
20XX-XX-XX. 27일차(월)-명-위-원
20XX-XX-XX. 28일차(화)-명-위-원
합계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2]


10.2. 일본[편집]




10.3. 기타 국가[편집]




11. 기타[편집]


  • 이 영화는 총 5개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1] '소설의 신: 오직 너와 함께 그릴 수 있는 이야기' 라는 뜻이다.[2] ~ 20XX/XX/XX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