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외버스 1312

덤프버전 :

경기도>
시외버스 노선
{{{#fff,#1f2023
[[틀:경기도의 공항버스|>

{{{#fff 공항
ㆍ[[틀:경기도의 시외버스|
시외
]]ㆍ[[틀:경기 프리미엄버스|
>
프리미엄
]]ㆍ[[틀:경기순환버스|

경기순환
]]ㆍ[[틀:경기도의 일반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14px"
좌석
]]


파일:1312_6551.png
파일:용남1312_UNVEX.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요금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시외버스 131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시외 1312번 노선도.svg
기점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동서울터미널)종점충청남도 아산시 모종동(아산시외버스터미널)
종점행첫차06:00기점행첫차06:00
막차21:45막차21:20
운수사명용남고속버스라인배차간격20~40분
(1일 17회)
노선동서울터미널 - 잠실역 - 가락시장역 - 장지역 - 송파IC - 가천대역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판교JC - 경부고속도로 - 천안IC - (→ 천안TG →) - 천안종합버스터미널 - 봉강교(서부휴게소) - 아산시외버스터미널


2. 개요[편집]


용남고속버스라인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


3. 역사[편집]


  • 1309번에서 분리신설되었다. 당시에는 1309번처럼 번호가 없었다.

  • 2012년 GBIS에 등록되어 번호를 부여받았으나 실시간 위치는 조회할 수 없었다.



  • 2020년 11월 13일부터 우등버스가 투입된다.

  • 주말, 휴가철, 추석설연휴 명절등 자리 매진이 많이 되는 노선 1순위다.[1] 일부사람들은 터미널에서 자리 매진때문에 따지는 식으로 항의나기도 한다. 이런 경우 수도권 전철을 이용하거나 서울남부, 성남, 용인 노선 등을 타고 환승해야 한다.

  • 2022년 10월 1일부터 28인승 우등차량이 철수하고 45인승 차량이 투입된다. 사유는 좌석부족으로 인한 민원이 많이 들어왔다고 한다.[2]

4. 특징[편집]


  • 번호가 붙어있지만 BIS에서 조회할 수 없었다가 2019년부터 조회가 가능하게 되었다.



  • 잠실역~장지역은 시외버스 티머니로 예약 가능하며, 교통카드 승차가 가능하다.[3][4]

  • 천안종합버스터미널부터 아산시외버스터미널부터는 900번보다 소요시간이 적어서 '천안~아산' 구간의 수요도 일부 있다.[5]


4.1. 요금[편집]


동서울
1,600잠실
1,6001,600가락시장
1,6001,6001,600장지
1,6001,6001,6001,600가천대
7,2006,7006,3006,1005,800천안
8,6008,2007,7007,5007,2001,600봉강교
9,6009,1008,7008,5008,1002,3001,600아산


5.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13:25:27에 나무위키 시외버스 131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부 시간대 우등차량이 투입 이후 더 심해졌다. 한때 우등차량 투입이전에는 명절연휴기간 한정으로 선착순 승차로 조정되어 미리 예매 발권을 막아뒀기라도 하지만, 현재는 그런거 없이 좌석제이다.[2] 이유는 토,일, 공휴일 어쨋거나 천안 경유로 인해 승객이 많이 탑승하기 때문 대신 천안발 차량이 우등으로 일부 변경되었다.[3] 가천대는 예매불가, 교통카드 승차(우등차량은 장지역에서 만차로 자리가 없을 경우 무정차 통과하니 주의할 것) 봉강교(서부휴게소)는 교통카드 승차불가, 버스타고로 예약 가능[4] 잠실역, 가락시장, 장지역은 우선순위로 어플 예매 승객에게 승차를 먼저 받고, 남는 자리에 따라 교통카드 승차 가능 승객을 받는다.[5] 천안-아산 구간은 막차시간 이외에 상시배차여서 언제 차가 들어올지 정확히 알기 어렵다. 그리고 시외버스라서 운임도 비싸다. 요금을 조금이나마 절약하려면 천안역에서 전철을 타는 방법이 있다. 다만 도보거리가 긴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