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진혁

덤프버전 :

분류


}}} ||


오진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양궁협회 로고.svg 리커브 남자 국가대표팀
[ 펼치기 · 접기 ]
1975박경래
1976석동은
1979감경윤 · 강종구 · 이기식 · 이세일
1980감경윤 · 강종구 · 김홍복 · 이항용
1981박명국 · 박익수 · 엄선기 · 이항용 · 임인택 · 임채웅
1982김영운 · 박익수 · 이용호 · 이재형
1983 1기곽윤식 · 김병갑 · 김영운 · 엄선기 · 이용호 · 전인수
1983 2기김병갑 · 김영운 · 박익수 · 배진성 · 전인수 · 최원태
1983 3기구자청 · 김병갑 · 김영운 · 박익수 · 전인수
1984 1기구자청 · 김병갑 · 박익수 · 배진성
1984 2기구자청 · 전인수 · 최원태
1985 1기김병갑 · 문백운 · 박경상 · 안태성 · 유호상 · 이용호 · 이의명 · 이한섭 · 임동일 · 전인수 · 최원태 · 호진수
1985 2기강정식 · 곽윤식 · 구자청 · 김병갑 · 박경상 · 박채순 · 안태성 · 이문수 · 이의명 · 전인수 · 최원태 · 호진수
1985 3기강동원 · 구자청 · 김병갑 · 서만교 · 전인수 · 최원태 · 호진수
1985 4기구자청 · 서만교 · 전인수 · 호진수
1986 1기강동원 · 곽윤식 · 구자청 · 김동걸 · 박성수 · 배진성 · 서만교 · 임지원 · 전인수 · 조성민 · 최원태 · 호진수
1986 2기구자청 · 박경상 · 박성수 · 양승현 · 양창훈 · 전인수
1987 1기구자청 · 박경상 · 박성수 · 양승현 · 양창훈 · 임희식 · 전인수 · 호진수
1987/88구자청 · 길준석 · 김춘식 · 박성수 · 안태성 · 양승현 · 양창훈 · 윤형두 · 이경출 · 임채웅 · 전인수 · 호진수
1988 2기박성수 · 양창훈 · 이경출 · 이한섭 · 전인수 · 호진수
1988 3기박성수 · 이한섭 · 송칠석 · 전인수
1989김성남 · 박재표 · 양승현 · 양창훈 · 이정근 · 이흥섭 · 임채웅 · 전인수
1990 1기강태경 · 김경호 · 박성수 · 송칠석 · 양창훈 · 이정근 · 임희식 · 전인수
1990 2기강태경 · 김선빈 · 김준화 · 박성수 · 박재표 · 양창훈 · 이정근 · 호진수
1991김경호 · 박재표 · 심영성 · 양창훈 · 전인수 · 정재헌 · 한승훈 · 황진우
1992김경호 · 김보람 · 양창훈 · 이정근 · 임희식 · 정재헌 · 한승훈 · 황진우
1993김경호 · 김보람 · 김성남 · 김재락 · 박경모 · 양창훈 · 이경출 · 한승훈
1994김경호 · 김보람 · 박경모 · 심영성 · 양창훈 · 오교문 · 정재헌 · 한승훈
1995김보람 · 김선빈 · 김재락 · 양창훈 · 오교문 · 이경출 · 정재헌 · 한승훈
1996김경호 · 김민수 · 김보람 · 김선빈 · 김영수 · 박성수 · 오교문 · 이정근 · 임희식 · 장세희 · 장용호 · 정우성
1997김경호 · 김보람 · 김선빈 · 오교문 · 임희식 · 장용호 · 정우성 · 홍성칠
1998김경호 · 김보람 · 김선빈 · 장용호 · 오교문 · 이정근 · 임희식 · 한승훈
1999김보람 · 배재경 · 오진혁 · 장용호 · 정재헌 · 한승훈 · 홍성칠 · 황진우
2000김경호 · 김보람 · 김청태 · 오교문 · 이태영 · 장용호 · 전성환 · 정재헌
2001김원섭 · 박경모 · 연정기 · 이창환- · 김보람 · 김청태 · 장용호 · 정재헌-[자격박탈]
2002김경호 · 김석관 · 박경모 · 배재경 · 이동욱 · 이승용 · 임동현 · 최원종
2003김보람 · 박경모 · 박현수 · 이동욱 · 임동현 · 장용호 · 정재헌 · 최영광
2004구춘성 · 김보람 · 박경모 · 이동욱 · 이창환 · 임동현 · 장용호 · 한승훈
2005김보람 · 박경모 · 임동현 · 장용호 · 정재헌 · 최영수 · 최원종 · 한승훈
2006박경모 · 연정기 · 이상현 · 이창환 · 임동현 · 장용호 · 홍성칠 · 한승훈
2007김보람 · 김연철 · 박경모 · 이창환 · 이철수 · 임동현 · 임지완 · 오진혁
2008김명수 · 김보람 · 김재형 · 박경모 · 이승용 · 이창환 · 임동현 · 장용호
2009김성훈 · 김우진 · 오진혁 · 이승용 · 이창환 · 이호준 · 임동현 · 장채환
2010김우진 · 김보람 · 오진혁 · 이광성 · 이창환 · 임동현 · 정성원 · 진재왕
2011구동남 · 김우진 · 김주완 · 김성훈 · 오진혁 · 이창환 · 임동현 · 진재왕
2012김우진 · 김법민 · 김봉만 · 김석관 · 김성훈 · 김용호 · 박진억 · 성우경 · 이창환 · 임동현 · 오진혁 · 진재왕 · 한우탁
2013구본찬 · 김규찬 · 김석관 · 오진혁 · 이승윤 · 임동현 · 정성원 · 진재왕
2014구본찬 · 김우진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 정성원 · 한우탁
2015구본찬 · 김우진 · 오진혁 · 신재훈 · 이승신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2016구본찬 · 김우진 · 김종호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 정태영
2017김우진 · 김종호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 정태영 · 진재왕
2018김규찬 · 김우진 · 배재현 · 신재훈 · 오진혁 · 이우석 · 임동현 · 정태영
2019김우진 · 남유빈 · 배재현 · 오진혁 · 이승신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2020김우진 · 김필중 · 남유빈 · 오진혁 · 이우석 · 장채환 · 정태영 · 한종혁
2021김우진 · 김제덕 · 김필중 · 박주영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한우탁
2022김우진 · 김제덕 · 오진혁 · 이승신 · 이승윤 · 이우석 · 장채환 · 한우탁
2023김우진 · 김제덕 · 서민기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최두희 · 최재환
[자격박탈] 군입소 극기훈련 집단 거부



오진혁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올림픽
[ 펼치기 · 접기 ]
23회1984 로스앤젤레스파일:미국 국기.svg 대럴 페이스24회1988 서울파일:미국 국기.svg 제이 바르스
25회1992 바르셀로나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바스티앵 플뤼트26회1996 애틀란타파일:미국 국기.svg 저스틴 휴이시
27회2000 시드니파일:호주 국기.svg 사이먼 페어웨더28회2004 아테네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르코 갈리아초
29회2008 베이징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빅토르 루반30회2012 런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진혁
31회2016 리우데자네이루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본찬32회2020 도쿄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메테 가조즈



>
아시안 게임
[ 펼치기 · 접기 ]
8회1978 방콕파일:일본 국기.svg 시마무라 이치로9회1982 뉴델리파일:일본 국기.svg 야마모토 히로시
10회1986 서울파일:일본 국기.svg 타카요시 마츠시타11회1990 베이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양창훈
12회1994 히로시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경모13회1998 방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승훈
14회2002 부산파일:일본 국기.svg 야마모토 히로시15회2006 도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동현
16회2010 광저우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우진17회2014 인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진혁
18회2018 자카르타-팔렘방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우진19회2022 항저우파일:몽골 국기.svg 바타르쿠야긴 오트곤볼드



오진혁
吳眞爀|Oh Jinhyek
파일:W640H480_오진혁 상반신 수정본.jpg
출생1981년 8월 15일 (42세)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연무중앙초등학교 (졸업)
연무중학교 (졸업)
충남체육고등학교 (졸업)
한일장신대학교 (운동처방재활학 / 학사)
종목양궁
세계 랭킹16위[1]
소속선수국군체육부대 (2000~2002)
현대제철 (2002~2006)
농수산홈쇼핑 (2007~2011)
현대제철 (2012~ )
코치현대제철 (2020~ / 플레잉 코치)
신체182cm, 98kg
종교불교[2]
가족어머니[3]
배우자 엄민경(1986년생, 2014년 2월 결혼)
아들 오유찬(2017년생)
딸 오서아(2018년생)
손아래동서 구본찬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3. 지도자 경력
4. 수상 기록
5. 연도별 성적
6. 방송 출연
7. 여담
8. 역대 프로필 사진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양궁 선수. 2012 런던 올림픽 개인전 및 2020 도쿄 올림픽 단체전 금메달리스트다.


2. 선수 경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오진혁/선수 경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지도자 경력[편집]


현대제철에서 플레잉 코치직을 겸하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4. 수상 기록[편집]


올림픽
금메달2012 런던개인전
금메달2020 도쿄단체전
동메달2012 런던단체전
세계선수권
금메달2009 울산단체전
금메달2011 토리노단체전
금메달2013 벨렉혼성 단체전
금메달2015 코펜하겐단체전
금메달2021 양크턴단체전
은메달2011 토리노개인전
은메달2013 벨렉개인전
동메달2017 멕시코시티단체전
월드컵 파이널
금메달2013 파리개인전
아시안게임
금메달2010 광저우단체전
금메달2014 인천개인전
금메달2022 항저우단체전
은메달2018 자카르타·팔렘방단체전
동메달2014 인천단체전
아시아선수권
금메달2019 방콕단체전
동메달2007 시안단체전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1998 순네단체전
금메달1998 순네개인전


5. 연도별 성적[편집]


  • 실외 기록
연도평균 점수승률(%)타이브레이커최고 기록연말 랭킹
승률(%)
19999.00010.00-000-
20039.00010.00-00057
20079.292166.67-665001188
2009[4]9.3312475.00-3105
20109.427
5
3
2
70.00
71.43
-6782116
20119.3112
3
5
2
70.59
60.00
-6702223
20129.509281.821
0
150.00
0.00
6901022
2013-20
3
3
0
86.96
100.00
10100.00-8111
20149.3711
6
366.67010.006864102
20158.596460.00010.0069112013
20179.326460.00-68201212
20189.406366.67010.0068311114
20199.316460.00020.0067220016
20219.292340.00010.0068330039
20229.328372.731150.0067820124
15시즌9.24113
62
48
31
70.19
66.67
3
2
827.28
20.00
6912910111

  • 실내 기록
연도평균 점수승률(%)타이브레이커최고기록
승률(%)
20159.894180.00-594010
20169.761150.00-584000
20179.878188.8920100.00591110
20189.877187.50-594100
20199.835271.4310100.00590001
2020-020
20219.97-110
7시즌9.8525680.6530100.00594351

  • 오진혁의 기록은 을 토대로 작성하되 결과란에만 기록되고 통계란에 누락된 기록은 취소선 처리해 같이 기록했다.


6. 방송 출연[편집]




7. 여담[편집]


  • 2012 런던 올림픽 이후 기보배와 연애를 했지만 결별했다. 2014년에 해설자 활동을 하던 기보배가 결별 사실을 밝혔다. 본인은 2014년 2월 5살 연하의 일반인과 결혼했다.

  • 2012년 트위터에서 김준현을 닮은 외모로 화제가 되었다. 실제로 올림픽이 끝나고 귀국 환영회 자리에서 둘이 만난 적도 있다. 올림픽 때 활을 당기려고 준비하는 동작이 찍힌 사진이 김준현과 거의 비슷하게 나왔다. 당시 네가지 코너를 하던 김기열이 이걸로 놀렸고[5], 그래서 김준현이 직접 만나게 되었다. 9년 뒤인 2021년에는 나이가 들면서 고창석과 닮은 모습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때문에 NH콕뱅크 광고에서 같이 출연했다.

  • 구본찬이 오진혁의 처제인 엄다윤과 결혼함으로써 서로 동서지간이 되었다. 게다가 오진혁이 2020 도쿄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함으로써, 개인전 금메달을 포함한 2관왕에 등극하여 동서 구본찬에 이어 신궁 라인에 입성했다.

  • 2020 도쿄 올림픽 남자 단체전 경기를 하는 내내 23살 연하김제덕"오진혁 파이팅!"이라고 반말로 응원하여[6] 지상파 중계진[7]과 국민들을 놀라게 했다. 하지만 매우 친한 사이이고 응원이 큰 도움이 됐는지 크게 개의치 않는 모습을 보였다.[8]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한 직후 인터뷰에 따르면 큰형인 오진혁이 먼저 모두 그냥 형이라고 불러달라고 했고 동생들이 스스럼없이 그렇게 해줘서 젊어진 기분이라고 고맙다는 말을 하였다.[9]


  • 2020 도쿄 올림픽 단체전에서 인도와 붙었을 때, 김제덕이 오진혁 텐!!!이라고 외치니 오진혁은 나 아직 안쐈어. 아직ㅎㅎ라고 말했고 진짜로 10점을 쐈다.


  • 유튜브 MBC스포츠탐험대 남벌 시리즈 양궁 1편에 출연하였는데, 김나진 아나운서가 소개할때 불혹의 나이, 흔들리지 않는 나이라고 말했는데 오진혁은 흔들리고, 겁도 많고, 마음도 약해졌고, 잠자리도 무서워 한다고 한다.

  • 좋아하는 가수는 서문탁, 이승철, 이영현, 제시라고 한다. 그 중 이영현은 유희열의 스케치북에서 만남이 성사되었다. 또한 김기하의 나만의 방식을 열창하였다.

  • 배드민턴 선수 김동문과 공통점이 있는데, 둘 다 금메달 2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10]

  • 오랜 기간 대표팀에서 활약하였던 내력으로 인해 재능파로 인식되지만 실은 대기만성형 선수이다. 1998년 순네 주니어 세계선수권 이후 2007 시안 아시아 선수권 동메달 획득까지 긴 기간 동안 메이저 성인 국제대회 메달이 없었다. [11]첫 올림픽 금메달이 그가 31세이던 런던올림픽이니 오랜 기간의 노력을 확인할 수 있다. 선수 본인도 늦게 찾아온 전성기를 오래 누리고 싶은 마음인지 치명적인 부상과 불혹을 넘긴 40대의 나이가 무색하게 선발전을 뚫고 2022년에도 국가대표에 승선, 한국 나이 42세에 4년 만에 개인전 메달을 획득하고, 다음 해에도 선발전을 통과하여 항저우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23년 8월 4일 IOC 선수 위원 후보 신청을 했다. # 그러나 면접 당일인 8월 10일에 파리 월드컵 참가를 이유로 불참했다.

  • 여배우 송지효와 생년월일이 같다.


8. 역대 프로필 사진[편집]


국가대표
파일:오진혁 도쿄.jpg
파일:오진혁 항저우.jpg
2020 도쿄 올림픽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9. 둘러보기[편집]






World Archery
리커브 남자 세계 랭킹 1위
파일:미국 국기.svg 브래디 엘리슨>
(2011.8.10 - 2013.4.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진혁
(2013.4.3 - 2014.6.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윤
(2014.6.16 - 2015.3.2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1:08:02에 나무위키 오진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3년 12월 기준[2] 출처 1, 출처 2[3] 아버지는 2021년 2월에 돌아가셨다.[4] 2009 시즌 모든 경력이 기록되지 않았다.[5] 그런데 코너에서 둘이 닮았다는 이야기를 하며 오진혁 사진을 가지고 오자 김준현이 "잘했어!"라면서 꽤 좋아했던 걸 보면 놀려대긴 했는데 김준현의 입장에서도 그리 기분이 나쁘진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6] 오진혁이 2012 런던 올림픽 남자 개인전에서 금메달을 땄을 당시 김제덕은 9살이었다.[7] 올림픽 양궁 경기를 중계하는 해설위원(KBS: 기보배, MBC: 장혜진, SBS: 박경모 - 박성현 부부) 이들도 놀란 것을 감안하면 김제덕의 퍼포먼스가 양궁계에서 전례가 없던 일인 것은 확실하다.[8] 실제로도 다른 종목에서도 팀 경기에서는 반말로 말을 최소화하는 일이 자주 있다. 이 때문에 다른 종목에서도 극단적인 경우에는 경기 도중의 소통에는 영어만 쓰게 하는 감독들도 드문드문 있다.[9] 중간 나이인 김우진은 형이라고 불러도 확실히 존댓말로 오진혁을 대해주는 것에 반해, 거의 아들 뻘인 김제덕은 "형 좋아!!" "형 편하게, 끝까지~" 하는 등 선배보다는 오히려 삼촌을 대하듯이 자연스럽게 말하는 장면이 자주 포착됐다.[10] 공교롭게도 그의 동료 임동현도 오진혁과 김동문과 마찬가지로 금 2 동 1개를 획득했는데, 메달 개수가 같다. 게다가 금메달 1개와 동메달 1개만 단체전에서 획득했다는 점과 동일하다.[11] 2007년 아시아 선수권에서 메달을 획득하긴 했지만 실제로 대한민국 양궁 국가대표팀에서 주전을 차지한 것은 베이징 올림픽 이후인 2009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