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메달이 박탈된 선수

덤프버전 :

1. 개요
2. 하계 올림픽
2.1. 남자
2.2. 여자
3. 동계 올림픽
3.1. 여자
3.2. 혼성
4. 논란이 된 경우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도핑이나 그 밖의 다른 이유(페어플레이 위반, 범죄 행위 등)로 메달이 박탈된 선수들을 정리한 문서다. 징계 연도→대회 연도 순으로 정리한다.

메달 박탈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현재 알려진 사례는 모두 도핑에 의한 박탈이다.

단체 종목의 경우 도핑에 적발된 선수에 *표시를 할 것.

범례 설명
초록금지 약물 복용(도핑)
주황대회 기타 규정 위반(도핑, 승부조작 제외)
빨강범죄 행위(승부조작 등)

2. 하계 올림픽[편집]



2.1. 남자[편집]


이름국적출전 대회종목박탈 내역징계 일자사유비고
벤 존슨
(Ben Johnson)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1988 서울육상100m 달리기 (금)1988년도핑
알렉산더 라이폴트
(Alexander Leipold)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2000 시드니레슬링자유형 -76kg급 (금)2000년도핑[1]
김정수파일:북한 국기.svg 북한2008 베이징사격10m 공기권총 (동)
50m 권총 (은)
2008년도핑
랜스 암스트롱
(Lance Armstron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2000 시드니사이클개인독주 (동)2012년도핑
안드레이 미흐네비치
(Andrei Mikhnevich)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2008 베이징육상투포환 (동)2014년도핑
미국 팀
타이슨 게이(Tyson Gay)*
라이언 베일리(Ryan Bailey)
제프리 뎀프스(Jeffery Demps)
저스틴 게이틀린(Justin Gatlin)
트렐 키몬스(Trell Kimmons)
다르비스 패톤(Darvis Patton)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2012 런던육상4×100m 계주 (은)2015년도핑[2]
일리야 일린
(Ilya Ilyin)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2008 베이징
2012 런던
역도94kg급 (금) (2008, 2012)2016년도핑[a]
카산 바로에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2008 베이징레슬링그레코로만형 120㎏급 (금)2016년도핑
비탈리 라히모프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2008 베이징레슬링그레코로만형 60㎏급 (은)2016년도핑
카지무라트 아카에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2008 베이징역도94㎏급 (동)2016년도핑
드미트리 라피코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2008 베이징역도105㎏급 (동)2016년도핑
아세트 맘베토프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2008 베이징레슬링그레코로만형 96㎏급 (동)2016년도핑
데니스 유르첸코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2008 베이징육상장대높이뛰기 (동)2016년도핑
알렉산드르 이바노프
(Aleksandr Ivanov)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2012 런던역도94kg급 (은)2016년도핑[*a ]
아나톨리 시리쿠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2012 런던역도94㎏급 (동)2016년도핑[a]
자메이카 팀
네스타 카터(Nesta Carter)*
우사인 볼트(Usain Bolt)
아사파 포웰(Asafa Powell)
마이클 프레이터(Michael Frater)
드와이트 토마스(Dwight Thomas)[3]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2008 베이징육상4×100m 계주 (금)2017년도핑[4][5]

2.2. 여자[편집]


이름국적출전 대회종목박탈 내역징계 일자사유비고
올라 코로브카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2008 베이징역도75kg 이상 (은)2016년도핑
마리야 그라보베츠카야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2008 베이징역도75kg 이상 (동)2016년도핑
이리나 네크라소바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2008 베이징역도63㎏급 (은)2016년도핑
나탈랴 다비도바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2008 베이징역도63㎏급 (동)2016년도핑
크리소피지 데베치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2008 베이징육상세단뛰기 (동)2016년도핑
흐리프시메 쿠르슈디안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2012 런던역도75kg 이상 (동)2016년도핑[6]
줄피야 치산로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2012 런던역도53㎏급 (금)2016년도핑
마이야 메네스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2012 런던역도63㎏급 (금)2016년도핑
스베틀라나 포도베도바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2012 런던역도75㎏급 (금)2016년도핑
차오레이(曹磊)파일:중국 국기.svg 중국2008 베이징역도75kg (금)2017년도핑

3. 동계 올림픽[편집]



3.1. 여자[편집]


이름국적출전 대회종목박탈 내역징계 일자사유비고
러시아 팀
야나 로마노바(Yana Romanova)*
올가 빌루히나(Olga Vilukhina)*
올가 자이체바(Olga Zaitseva)**
에카테리나 슈밀로바(Ekaterina Shumilova)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2014 소치바이애슬론4×6km 계주 (은)2017년도핑[7]


3.2. 혼성[편집]


이름국적출전 대회종목박탈 내역징계 일자사유비고
OAR
알렉산드르 크루셸니츠키(Alexander Krushelnitskiy)*
아나스타샤 브리즈갈로바(Anastasia Bryzgalova)
파일:오륜기(여백X).svg OAR2018 평창컬링믹스더블2018년도핑[8]


4. 논란이 된 경우[편집]


  • 마이클 펠프스 - 미리 찍은 명품 광고 사진이 유출되는 바람에 IOC 규정 위반으로 올림픽 메달이 박탈될 수도 있다는 논란이 발생했다. 이후 이야기가 나오지 않은 것으로 봐서는 단순 해프닝으로 끝난 것으로 보인다.

5. 관련 문서[편집]


[1] 이로 인해 당초 동메달을 수상했던 대한민국의 문의제가 은메달을 승계받았다.[2] 타이슨 게이[a] A B 2012년 런던 올림픽 역도 94kg급 금, 은, 동메달리스트가 전부 도핑으로 메달을 박탈당하는 초유의 사건이 일어났다. 이들 외에 상위권 선수들 중에서 도핑으로 이 대회 기록이 무효화된 선수가 많다보니 5위를 했던 이란의 사에이드 모하메드 푸어 선수가 금메달을, 8위를 했던 한국의 김민재 선수는 은메달을, 9위를 했던 폴란드의 토마스 지엘린스키 선수가 동메달을 승계받았다.[3] 예선 출전, 결선 미출전[4] 네스타 카터[5] 이 때문에 우사인 볼트의 올림픽 금메달은 9개에서 8개로 줄어들었다.[6] 박탈된 동메달은 장미란에게 승계되었다.[7] 처음에 야나 로마노바와 올가 빌루히나가 도핑에 적발되어 메달이 박탈당했다. 이후 검사에서 올가 자이체바도 적발되었다. 이후 2020년에 로마노바와 빌루히나는 재재가 해제되었으며, 빌루히나는 같이 박탈되었던 7.5km 스프린트 은메달이 복원되어 다시 받았다. 다만, 자이체바의 도핑으로 인해 팀의 계주 은메달은 박탈되었다.[8] 알렉산드르 크루셸니츠키가 도핑에 적발되어 메달을 박탈당했다. 동메달은 4위를 했던 노르웨이의 마그누스 네드레고튼, 크리스틴 스카슬리엔 조가 승계받았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3:34:11에 나무위키 올림픽 메달이 박탈된 선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