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군 농어촌버스/노선번호 도입 이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의성군 농어촌버스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1. 개요
1.1. 의성읍 순환버스 노선
1.2. 의성읍 중심 노선
1.3. 안계면 중심 노선
1.4. 금성면(탑리) 중심 노선
1.5. 봉양면(도리원) 중심 노선
1.6. 의성읍 도착 노선
2. 수정 사항


1. 개요[편집]


이 문서는 2020년도 의성군 농어촌버스 노선번호 도입 및 노선 개편 이전의 시간표이다. 의성군 버스운행 시간표(의성여객자동차(주))를 참조하였으나, 지명의 오기와 행선지 순서 오류는 따로 교정하였다.


1.1. 의성읍 순환버스 노선[편집]


의성군 의성읍 순환버스
기점의성군 의성읍 도서리(경신아파트)종점의성군 의성읍 도서리(경신아파트)
종점행첫차07시 30분기점행첫차-
막차17시 30분막차-
운수회사의성여객배차간격1일 9회
노선경신아파트 → 의성남부농협 → SK텔레콤 → 의성터미널 → 의성제일병원 → 해안1병원 → 의성군종합복지관 → 의성군보건소 → 국민건강보험공단 → 북원회차로 → 미진아파트 → 청구아파트 → 휴먼시아아파트 → 부부지업사 → 의성전통시장 → 의성남부초 → 경신아파트

의성읍 순환버스 시간표
2019년 10월 24일 기준
횟수경신아파트의성터미널의성군보건소미진아파트부부지업사
107:3007:4007:5508:0008:05
208:2008:3008:4508:5008:55
309:3009:4009:5510:0010:05
411:0011:1011:2511:3011:35
512:0012:1012:2512:3012:35
613:3013:4013:5514:0014:05
715:0015:1015:2515:3015:35
816:3016:4016:5517:0017:05
917:3017:4017:5518:0018:05


1.2. 의성읍 중심 노선[편집]


고운사 → 의성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9:30외천 → 구계 → 점곡 → 후평 → 병방 → 목촌 → 단촌의성 10:50
11:25구계 → 후평 → 관덕 → 단촌의성 11:50
14:50구계 → 후평 → 관덕 → 단촌의성 15:20
17:20구계 → 점곡 → 명고 → 여시계의성 18:00

의성(공생병원건너편) → 비봉 · 풍리 · 봉양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8:00팔성 → 비봉 → 풍리 → 일산봉양 08:40
11:30팔성 → 비봉 → 풍리 → 일산봉양 12:10
16:00팔성 → 비봉 → 풍리 → 일산봉양 16:35

숲실 → 의성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00화전 → 작승 → 오상 → 치선의성 07:30
11:40화전 → 작승 → 오상 → 치선의성 12:10
19:30화전 → 작승 → 오상 → 치선의성 20:00

의성(터미널건너편) → 점곡 · 옥산
06:20단촌 → 후평 → 송내 → 점곡신계 07:00
06:30구암 → 윤암 → 입암 → 옥산 → 감계 → 상감 → 댓골실업 07:05
06:40명고 → 점곡 → 입암 → 옥산 → 전흥 → 금학 → 오류유동 07:20
08:20단촌 → 후평 → 점곡 → 입암 → 옥산 → 전흥 → 금학 → 오류금봉 09:20
08:20구암 → 윤암 → 점곡 → 팽목길안 09:00
09:00단촌 → 후평 → 점곡 → 입암 → 옥산 → 감계 → 상감 → 댓골실업 10:00
10:30단촌 → 후평 → 점곡 → 입암 → 옥산 → 뒤티 → 팽목길안 11:30
11:30구암 → 윤암 → 점곡 → 입암 → 옥산 → 감계 → 상감 → 댓골실업 12:20
12:30구암 → 윤암 → 점곡 → 상신 → 뒤티 → 팽목길안 13:30
12:40단촌 → 후평 → 점곡 → 입암 → 옥산 → 전흥 → 오류유동 13:40
13:40단촌 → 후평 → 점곡 → 옥산 → 감계 → 상감 → 댓골실업 14:40
14:40여시계 → 명고 → 점곡동변 15:10
15:10단촌 → 후평 → 점곡 → 입암 → 옥산 → 전흥 → 금학 → 오류금봉 16:30
16:00구암 → 윤암 → 점곡 → 입암 → 옥산 → 감계 → 상감 → 댓골실업 16:50
17:10단촌 → 후평 → 점곡 → 신계 → 뒤티 → 팽목길안 18:00
17:30명고 → 점곡 → 입암 → 옥산 → 전흥 → 금학금봉 18:30
18:30구암 → 윤암 → 점곡 → 입암 → 옥산 → 전흥 → 금학 → 오류유동 19:30
19:00단촌 → 후평 → 점곡 → 입암 → 옥산 → 감계 → 상감 → 댓골실업 19:50

의성(공생병원건너편) → 탑리 · 춘산
06:25승방 → 만천 → 운곡 → 학미 → 탑리척화 07:20
06:30비봉 → 학미 → 탑리 - (회차 시 장골 경유) - 산운 → 가음 → 덕내배골 07:10
06:30치선 → 오상 → 화전 → 상전효선 06:50
07:10비봉 → 학미 → 탑리 → 산운 → 가음 → 사미 → 금천 → 춘산대사 08:10
08:00비봉 → 학미 → 탑리 → 산운 → 가음 → 사미 → 금천춘산 08:50
09:20비봉 → 학미 → 탑리 → 산운 → 가음 → 사미 → 춘산 → 회동화목 10:10
10:30비봉 → 학미 → 탑리 → 산운 → 가음 → 덕내배골 11:20
11:00비봉 → 학미 → 탑리 → 산운 → 가음 → 사미 → 춘산 → 회동화목 12:10
12:05비봉 → 학미 → 탑리 → 산운 → 가음 → 사미 → 춘산 → 신흥금오 13:20
13:10비봉 → 학미 → 탑리 → 산운 → 가음 → 사미효선 13:55
14:00비봉 → 학미 → 탑리 → 산운 → 가음 → 사미 → 금천 → 춘산대사 15:00
15:00비봉 → 학미 → 탑리 → 산운 → 가음 → 사미 → 춘산 → 회동화목 16:10
15:20비봉 → 학미 → 탑리 → 만천운곡 15:45
16:30비봉 → 학미 → 탑리 - (장골 경유) - 산운 → 가음 → 위골순호 17:30
17:00비봉 → 학미 → 탑리 → 산운 → 가음 → 사미 → 춘산 → 신흥금오 18:10
17:30비봉 → 학미 → 탑리 → 산운 → 가음 → 덕내배골 18:10
18:10비봉 → 학미 → 탑리 → 산운 → 가음 → 사미 → 금천춘산 19:00
19:25비봉 → 학미 → 탑리 → 산운 → 가음 → 사미 → 춘산 → 신흥금오 20:10

의성(터미널건너편) → 방하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30방하 → 단촌 → 세촌 → 업동의성 08:20
18:00업동 → 단촌 → 세촌방하 18:30

의성(터미널건너편) → 업동 · 상하 · 금산골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6:20행촌 → 상하 → 단촌 → 명진 → 장림 - (회차 시 웃뜸골 경유)금산골 06:50
13:40행촌 → 상하 → 단촌 → 명진 → 장림웃뜸골 14:10
17:40행촌 → 상하 → 단촌 → 명진 → 장림금산골 18:10

의성(터미널건너편) → 고운사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9:00여시계 → 명고 → 점곡 - (회차시 병방, 목촌 경유) - 구계고운사 09:30
11:00단촌 → 관덕 → 후평 → 구계고운사 11:25
14:10단촌 → 후평 → 구계 → 외천고운사 14:50
16:40단촌 → 목촌 → 병방 → 후평 → 구계고운사 17:20

의성(공생병원건너편) → 화목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6:30(회차 시 대감천 경유) - 신감 → 사곡 → 공정 → 삼학화목 07:10
08:50신감 → 사곡 → 공정 → 삼학화목 09:30
11:20신감 → 사곡 → 매곡3 → 공정 → 삼학화목 12:00
13:20대감천 → 신감 → 사곡 → 공정 → 삼학화목 14:05
15:00신감 → 사곡 → 매곡3 → 공정 → 삼학화목 15:50
17:30신감 → 사곡 → 공정 → 삼학화목 18:10
19:00신감 → 사곡 → 공정 → 삼학화목 19:30

의성(터미널건너편) → 안평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6:35신동 → 신월 → 신안안평 07:05
08:30신동 → 석탑 → 박실 → 안평 → 도옥신안 09:05
11:40신동 → 박실 → 안평 → 창길 → 하령삼춘 12:15
13:10신동 → 석탑 → 박실안평 13:35
15:10신동 → 석탑 → 박실 → 안평 → 도옥신안 16:00
17:30신동 → 석탑 → 박실 → 안평 → 도옥 → 사부봉양 18:10
19:00신동 → 석탑 → 박실 → 안평 → 도옥신안 19:30

의성(공생병원건너편) → 토현 · 상전 · 숲실
06:30치선 → 오상 → 작승 → 화전숲실 07:00
07:50치선 → 오상 → 신감 → 사곡매곡3 08:15
09:00치선 → 오상 → 도평토현 09:20
09:30치선 → 오상 → 작승 → 화전 → 상전효선 10:00
11:20치선 → 오상 → 작승 → 화전숲실 11:40
12:20치선 → 오상 → 도평토현 12:40
14:30치선 → 오상 → 작승 → 화전상전 15:00
16:20치선 → 오상 → 작승 → 화전상전 16:50
19:00치선 → 오상 → 작승 → 토현 → 작승숲실 19:30

의성(터미널건너편) → 황룡
06:20여시계 → 구암 → 황룡 → 명고사촌2 06:45
16:50여시계 → 구암황룡 17:05


1.3. 안계면 중심 노선[편집]


안계(정류소) → 삼분 · 달제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6:30삼분 → 달제모창 06:50
10:00삼분 → 달제 → 송호다인 10:30
13:10삼분 → 달제모창 13:35
18:00삼분 → 달제모창 18:25

안계(정류소) → 다인 · 문정자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20삼분 → 신락 → 다인 - (회차 시 죽림 경유) - 달제봉정 07:50
09:50삼분 → 신락 → 다인 → 양서 → 문정자지보 10:30
10:50삼분 → 신락 → 다인 → 달제봉정 11:20
11:30외정 → 내송 → 외송다인 11:50
12:00신락 → 다인 → 양서문정자 12:25
14:30외정 → 외송 → 다인 - (죽림 경유) - 달제봉정 15:05
16:10신락 → 다인 → 양서 → 문정자시실 16:40
17:40신락 → 다인 → 송호 → 달제봉정 18:10
19:10신락 → 다인 → 양서 - (07:00 시실 경유)문정자 19:40

안계(정류소) → 자락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9:10안정 → 자락비안 09:35
15:20안정 → 자락비안 15:45

안계(정류소) → 중하 · 쌍호 · 구담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6:20안사 → 만리 → 신수 → 쌍호구담 07:05
06:30안사 → 장하리 → 중리 - (회차 시 도덕, 돌우물 경유)중하 06:50
08:40안사 → 만리 → 신수쌍호 09:10
12:00(회차 시 안사 경유) - 돌우물 → 도덕 → 중리중하 12:25
14:10안사 → 만리 → 신수 → 쌍호구담 14:55
14:30안사 → 장하리 → 중리 - (회차 시 도덕, 돌우물 경유)중하 14:50
17:00안사 → 만리 → 신수 → 쌍호구담 17:45
18:40안사 → 만리 → 신수쌍호 19:10
19:00(회차 시 안계, 안사 경유) - 돌우물 → 도덕 → 중리중하 19:20

안계(정류소) → 구천 · 용곡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6:25단밀 → 위중용곡 06:40
08:40양수장 → 구천 - (회차 시 배태 경유)청산 09:00
10:40학교앞 → 구천 → 용곡위중 11:00
13:10양수장 → 구천 → 청산 → 배태용곡 14:00
15:20구천 → 조성 - (회차 시 배태 경유)청산 15:40
16:40구천 → 용곡 → 위중안계 17:30
19:10양수장 → 용곡 → 단밀안계 19:50

안계(정류소) → 신산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6:35단북 → 주암 - (회차 시 하제 경유) - 신산 → 용산다인 07:00
09:40단북 → 주암 → 신산 → 용산무릉 10:05
11:50단북 → 주암 → 효제신산 11:20
14:00단북 → 주암 - (하제 경유) - 신산 → 용산 → 무릉다인 14:30
17:40단북 → 주암 - (하제 경유) - 신산 → 용산다인 18:10
19:00단북 → 주암 → 신산 → 용산다인 19:20

안계(정류소) → 양곡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50시안양곡 07:55
11:10시안양곡 10:00
14:10시안양곡 13:45
18:25시안양곡 16:25

안계(정류소) → 팔등 · 양정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30단밀 → 생송 - (회차 시 생물 경유) - 낙정양정 07:55
09:40단밀 → 구서팔등 10:00
13:30단밀 → 구서팔등 13:45
16:00단밀 → 생송 → 낙정양정 16:25


1.4. 금성면(탑리) 중심 노선[편집]


탑리(성심병원앞) → 의성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35학미 → 비봉 → 정자동의성 08:00
07:55학미 → 비봉 → 정자동의성 08:20
08:25학미 → 비봉 → 정자동의성 08:50
08:40학미 → 비봉 → 정자동의성 09:05
10:00학미 → 비봉 → 정자동의성 10:25
11:05학미 → 비봉 → 정자동의성 11:30
12:00학미 → 비봉 → 정자동의성 12:25
13:10학미 → 비봉 → 정자동의성 13:30
14:25학미 → 비봉 → 정자동의성 14:50
15:40학미 → 비봉 → 정자동의성 16:05
16:10학미 → 비봉 → 정자동의성 16:30
17:00학미 → 비봉 → 정자동의성 17:30
18:00학미 → 비봉 → 정자동의성 18:25
18:35학미 → 비봉 → 정자동의성 19:00
19:20학미 → 비봉 → 정자동의성 19:45
19:30학미 → 비봉 → 정자동의성 19:50

탑리(성심병원건너편) → 장골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30배골 나올 때 (장골 경유)탑리 07:35
12:00장골 → 가음순호 12:20
17:00장골 → 가음순호 17:30

탑리(성심병원앞) → 운곡 · 만천
(출발지),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의성 06:25승방 → 만천운곡 06:50
09:40제오동운곡 09:50
12:40장골 → 운곡 → 만천 → 승방의성 13:20
15:40제오동만천 15:50
17:40운곡만천 17:50

탑리(성심병원건너편) → 순호
(출발지),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가음 07:00순호 07:35
12:00장골 → 가음순호 12:20
17:00장골 → 가음순호 17:30

탑리(성심병원건너편) → 배골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6:50(회차 시 장골 경유) - 가음 → 덕내배골 07:10
11:00가음 → 덕내배골 11:20
17:55가음 → 덕내배골 18:10

탑리(성심병원건너편) → 가음 · 척화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05산운 → 가음 → 양지 → 현리척화 07:20
10:20산운 → 가음 → 들감 → 고바우척화 10:40
15:00산운 → 가음 → 양지 → 현리척화 15:20
18:20산운 → 가음 → 들감 → 고바우척화 18:40

탑리(성심병원앞) → 일산 · 봉양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25초전 → 구련 → 일산 → 장대봉양 07:55
08:40초전 → 구련 → 일산 → 장대봉양 09:10
11:00초전 → 구련 → 일산 → 장대 → 봉양의성 11:55
14:50초전 → 구련 → 일산 → 장대봉양 15:20
16:30초전 → 구련 → 일산 → 장대봉양 17:00
19:00초전 → 구련 → 일산 → 장대 → 봉양의성 19:45

탑리(성심병원건너편) → 회동 · 화목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9:40가음 → 사미 → 춘산 → 회동화목 10:10
11:25가음 → 사미 → 춘산 → 회동화목 12:10
15:20가음 → 사미 → 춘산 → 회동화목 16:10

탑리(성심병원건너편) → 효선
(출발지),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의성 06:30효선 06:50
의성 09:30효선 10:00
13:35산운 → 가음 → 양지 → 사미효선 13:55
19:00산운 → 가음 → 양지 → 사미효선 19:20

탑리(성심병원건너편) → 개일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40청로개일 08:00
14:20청로개일 14:35


1.5. 봉양면(도리원) 중심 노선[편집]


봉양(정류소) → 일산 · 탑리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8:15장대 → 일산 → 구련 → 초전탑리 08:40
09:10장대 → 일산 → 구련 → 초전탑리 09:40
11:30장대 → 일산 → 구련 → 초전탑리 12:00
14:20장대 → 일산 → 구련 → 초전탑리 14:50
17:10장대 → 일산 → 구련 → 초전탑리 17:40
19:10장대 → 일산 → 구련 → 초전 → 탑리 → 학미의성 19:50

봉양(정류소) → 안평 · 신평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9:00사부 → 안평 → 신평 → 밤실 → 덕봉용봉 10:10
11:50사부 → 안평 → 신평 - (청계 경유) - 밤실 → 덕봉용봉 13:00
14:30사부 → 안평 → 하령삼춘 15:00
15:30사부 → 안평 → 신평 → 밤실 → 덕봉용봉 16:30
17:40사부 → 안평 → 하령삼춘 18:10
19:10사부 → 안평 → 검곡 → 신평청계 19:50

봉양(정류소) → 신동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9:00농공단지신동 09:10
13:25농공단지신동 13:30

봉양(정류소) → 풍리 · 비봉 · 의성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9:30일산 → 풍리 → 비봉의성 10:10
11:00일산 → 풍리 → 비봉의성 11:40
16:35일산 → 풍리 → 비봉의성 17:15

봉양(정류소) → 산제
(출발지),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의성 06:35화신산제 07:10
10:25화신산제 10:45
13:50화신산제 14:10
18:10화신산제 18:30


1.6. 의성읍 도착 노선[편집]


안평(정류소) → 의성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05박실 → 석탑 → 신동의성 07:25
09:15박실 → 석탑 → 신동의성 09:50
12:25박실 → 석탑 → 신동의성 12:50
13:35박실 → 석탑 → 신동의성 14:05
15:10박실 → 석탑 → 신동의성 15:35
17:10박실 → 석탑 → 신동의성 17:70
18:20박실 → 석탑 → 신동의성 18:45

구담(정류소) → 안계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05쌍호 → 안사안계 07:50
14:55쌍호 → 안사안계 15:45
17:45쌍호 → 안사안계 18:35
이 노선은 의성읍행이 아니지만 시간표에서는 같은 색상으로 묶여있기 때문에 이 단락에 넣었다.

신평(정류소) → 의성 · 봉양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05누실 → 창길 → 안평 → 도옥 → 사부봉양 08:00
10:30누실 → 창길 → 안평 → 도옥 → 사부봉양 11:20
13:30누실 → 창길 → 안평 → 도옥 → 사부봉양 14:10
16:50누실 → 창길 → 안평 → 박실 → 석탑 → 신동의성 17:40

안평(정류소) → 봉양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35도옥 → 대사 → 사부봉양 08:00
11:00도옥 → 대사 → 사부봉양 11:20
13:50도옥 → 대사 → 사부봉양 14:10
16:10도옥 → 대사 → 사부봉양 16:30
17:55도옥 → 대사 → 사부봉양 18:10

옥산(면사무소) → 점곡 · 의성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20입암 → 점곡 → 윤암 → 구암의성 07:50
07:45입암 → 점곡 → 후평 → 단촌의성 08:30
09:15입암 → 점곡 → 윤암 → 구암의성 10:00
10:10입암 → 점곡 → 명고 → 여시계의성 10:40
10:40입암 → 점곡 → 후평 → 단촌의성 11:20
11:10입암 → 점곡 → 뒤티 → 팽목길안 11:30
12:50입암 → 점곡 → 후평 → 단촌의성 13:30
14:30입암 → 점곡 → 윤암 → 구암의성 15:00
15:40입암 → 점곡 → 후평 → 단촌의성 16:20
17:10입암 → 점곡 → 후평 → 단촌의성 17:50
17:20입암 → 점곡 → 윤암 → 구암의성 17:50
18:20입암 → 점곡 → 후평 → 단촌의성 19:00
19:00입암 → 점곡 → 후평 → 단촌의성 19:35

춘산(정류소) → 의성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10금천 → 사미 → 가음 → 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08:00
08:15금천 → 사미 → 가음 → 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09:05
09:30금천 → 사미 → 가음 → 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10:25
10:40금천 → 사미 → 가음 → 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11:30
12:40금천 → 사미 → 가음 → 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13:30
14:00금천 → 사미 → 가음 → 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길안 14:50
15:45금천 → 사미 → 가음 → 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16:30
16:40금천 → 사미 → 가음 → 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17:30
18:10금천 → 사미 → 가음 → 산운탑리 18:35
19:00금천 → 사미 → 가음 → 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19:45

화목(정류소) → 의성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10삼학 → 공정 → 사곡 → 신감 → 대감천의성 07:55
09:30삼학 → 공정 → 사곡 → 신감의성 10:10
10:20회동 → 춘산 → 금천 → 가음 → 산운 → 탑리의성 11:30
12:00회동 → 춘산 → 금천 → 가음 → 산운 → 탑리의성 13:30
12:10삼학 → 공정 → 사곡 → 신감의성 12:50
14:05삼학 → 공정 → 사곡 → 신감길안 14:45
15:50삼학 → 공정 → 사곡 → 신감의성 16:30
16:10회동 → 춘산 → 금천 → 가음 → 산운 → 탑리의성 17:30
18:10삼학 → 공정 → 사곡 → 신감의성 18:50
19:30삼학 → 공정 → 사곡 → 신감의성 20:10

가음(만물상회) → 의성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20산운 → 탑리 → 초전 → 구련 → 일산 → 장대봉양 07:55
07:25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08:00
07:40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08:20
08:30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09:05
09:50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10:25
10:50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11:30
11:50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12:20
12:30산운탑리 12:40
13:00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13:30
14:05산운탑리 14:15
14:15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14:50
15:30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16:05
16:00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16:30
16:50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17:30
17:55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18:25
18:25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19:00
18:50산운 → 탑리 → 초전 → 구련 → 일산 → 장대봉양 19:20
19:15산운 → 탑리 → 학미 → 비봉의성 19:50

점곡(제일상회) → 의성
발차 시간경유지도착지, 도착 시간
07:10송내 → 후평 → 관덕 → 단촌의성 07:50
07:30윤암 → 구암의성 07:50
07:55송내 → 후평 → 관덕 → 단촌의성 08:30
09:30윤암 → 구암의성 10:00
09:50송내 → 후평 → 관덕 → 단촌의성 10:50
10:20명고 → 여시계의성 10:40
10:50송내 → 후평 → 관덕 → 단촌의성 11:20
12:00윤암 → 구암의성 12:20
13:00송내 → 후평 → 관덕 → 단촌의성 13:30
14:05송내 → 후평 → 관덕 → 단촌의성 14:35
14:40윤암 → 구암의성 15:00
15:20명고 → 여시계의성 15:40
15:50송내 → 후평 → 관덕 → 단촌의성 16:20
17:20송내 → 후평 → 관덕 → 단촌의성 17:50
17:30윤암 → 구암의성 17:50
17:40명고 → 여시계의성 18:00
18:30송내 → 후평 → 관덕 → 단촌의성 19:00
19:10송내 → 후평 → 관덕 → 단촌의성 19:35


2. 수정 사항[편집]


수정 사항은 의성군청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지도를 근거로 하였다.
  • 여시개 → 여시계[1]
  • 상감, 감계의 경유 순서[2]
  • 덧티 → 뒤티[3]
  • 척하 → 척화[4]
  • 평목 → 팽목[5]
  • 사붓 → 사부[6]
  • 황용 → 황룡[7]
  • 달재 → 달제[8]
  • 문정자행 버스[9]
  • 시실행 버스[10]
  • 장아리 → 장하리[11]
  • 덕내 = 덕천(德川)[12]
  • 들감, 고바우[13]
  • 밤실 = 율리(栗里)[14]
  • 누실 = 누곡(累谷)[15]
  • 산재 → 산제[1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23:48:57에 나무위키 의성군 농어촌버스/노선번호 도입 이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 성조동마을, 고려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돌시계가 있어 여시계(麗時計)라는 이름이 붙었다. 의성군청 홈페이지에 올라온 지도에서는 여사게, 네이버 지도에서는 여시게(여시개라고 검색하면 결과가 나온다), 또한 성조동마을의 버스정류장에는 원래 여시게라고 표기되어 있었다(현재는 완전히 바뀌어 중리리라고 표기되어 있다). 또한 의성군의 고시는 여시개라 표기하고 있어 여시계라는 이름이 여시게로 변화하였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2] 지도상으로 보더라도 감계를 거쳐야만이 상감으로 들어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간표에서는 행선지에 따라 두 경유지의 위치가 뒤바뀌어 있어 일관되게 수정했다.[3] 안동시 길안면 하현리 후현마을, 후현이라는 한자 지명에서도 보이듯 '덧'이 아니라 '뒤'임을 알 수 있다. 덧티라는 지명은 안동시 남선면 현내리에 있다.[4] 의성군 가음면 현리리 척화마을, 의성군청에 올라온 지도나 도로상의 이정표에는 마을 이름이 척화로 표기되어 있다.[5] 안동시 길안면 하현리 팽목마을[6] 의성군 봉양면 사부리 사부마을, 의성군청에 올라온 지도도 사부리라고 표기하고 있다. 다인면 송호리에 사붓마을이 있으나, 노선과는 관계없는 지명이다.[7] 의성군 점곡면 황룡리 황룡마을[8] 의성군 다인면 달제(達堤)리[9] 문정자라는 지명은 의성군 다인면 용곡리의 동동마을의 이명이다. 남평 문씨의 정자가 있어 文亭子라고 일컬어졌다.[10] 의성군청 홈페이지에 올라온 지도에서는 의성군 다인면 용곡리의 마을을 각각 답실, 시실, 반동, 발용, 동동으로 표기하고 있다. 그에 반해 네이버 지도에서는 웃사실, 쇠실, 반용(반동+발용?), 동동으로 표기하고 있는데, 답실과 시실로써 검색이 가능하다. 네이버 지식백과의 두산백과에는 금곡, 반용, 동동마을이 있다고 기술되어 있는데, 금곡은 쇠실의 한자 지명임을 명시하고 있다. 이에 금곡과 시실이 같이 사용되거나, 쇠실의 발음이 변화되어 시실로 읽힘을 추측해 본다.[11] 의성군 안사면 중하리 장하리마을[12] 의성군 가음면 장리 소재[13] 들감마을은 의성군 가음면 가산리에 있다. 면소재지와 마을이 붙어 있기에 굳이 행선지에 표기할 이유는 없지만, 버스의 진행 방향을 정확히 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고바우마을은 네이버 지도와 의성군청 사이트 내 지도 전부 계산(溪山)마을로 명시되어 있으나, 계산이라는 한자 지명은 고바우라는 지명이 정착된 이후에 지어졌다.[14] 의성군 신평면 중율리 소재[15] 의성군 안평면 금곡리 소재[16] 의성군 비안면 산제(山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