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윤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도윤(동명이인) 문서
이도윤(동명이인)번 문단을
이도윤(동명이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도윤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한화 이글스 등번호 03번
박한결
(2013~2014)
이도윤
(2015~2017)
박주홍
(2018~2018.3.26.)
한화 이글스 등번호 96번
김찬균
(2017)
이도윤
(2018)
홍성갑
(2019)
한화 이글스 등번호 115번
박대한
(2018)
이도윤
(2019)
김진욱
(2023~)
한화 이글스 등번호 103번
오동욱
(2020~2020.8.17.)
이도윤
(2020.9.16.~2020.10.8.)
이원석
(2021~2021.8.31.)
한화 이글스 등번호 51번
장진혁
(2018~2020.9.10.)
이도윤
(2020.10.9.~2020)
이동훈
(2021)
한화 이글스 등번호 14번
강경학
(2014.8.8.~2020)
이도윤
(2021~2021.8.9.)
페레즈
(2021.8.13.~2021)
한화 이글스 등번호 7번
강경학
(2021~2021.7.2.)
이도윤
(2021.8.10.~)
현역

한화 이글스 No.7
이도윤
李度潤 | Lee Doyoon
출생1996년 10월 7일 (27세)
서울특별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고명초 - 배재중 - 북일고
신체176cm, 71kg
포지션유격수[1]
투타우투좌타
프로입단2015년 2차 3라운드 (전체 24번, 한화)
소속팀한화 이글스 (2015~)
병역제37보병사단 기동대대 (2019~2020)[2]
연봉3,400만원 (동결, 2023년)
등장곡세븐틴 - 《손오공》(2023~)[3]
turbotronic - 《발사》(2022~)[4]
응원가타카피 - 《Let It Rain》(2023~)[가사]
에이전트이서컴퍼니
가족아내, 아들 이동연[5](2023년 7월 3일생 #)
1. 개요
3. 플레이 스타일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화 이글스 소속 우투좌타 내야수로 주 포지션은 유격수이다.


2. 선수 경력[편집]



3. 플레이 스타일[편집]


빠른 발과 안정적인 수비가 인상적인 선수이다.

2022년까진 수비와 타격 모두 큰 두각을 보여주지 못했으나, 2023년 수비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하면서 한화 내야에 안정적인 수비를 보탰다. 2023년 한정으로 유격수에서 수비지표에서 KBO 다른 선수들보다 압도적인 성적을 기록했다.

2023년 후반기에 타격감이 올라오는 듯 싶었으나, 제자리로 돌아가면서 아직은 변화구 대처가 안되고, 선구안이 좋지 않은 등의 아쉬운 타격을 보여준다.

4. 여담[편집]


  • 2023년 7월 3일에 득남했다. #


5. 관련 문서[편집]



[1] 2022년까지는 2루와 3루도 보는 내야 유틸리티였으나, 2023시즌에는 유격수로 주로 출장 중이며, 어쩌다 가끔씩 2루수로 출장하고 있다. 고교 시절에는 외야로 나가기도 했다고 한다.[2] 충청북도 증평군에 위치해 있다.[3] 초반에는 imase의 NIGHT DANCER의 한국어 버전을 썼다.[4] 응원가가 생기기 전에는 이 등장곡이 사실상 응원가 역할을 맡았고, 지금도 위의 등장곡과 같이 쓰이며 거의 제2응원가처럼 쓰이고 있다.[가사] 한화의(의) 이도윤(윤) 워어 어어어어어 힘차게 날려라 승리를 위하여 한화의(의) 이도윤(윤) 워어 어어어어어 힘차게 날려라 이도윤~ 이도윤![5] 처음에는 아들의 이름을 동주라 하려고 했다. 아내의 생각이었는데, 이유는 문동주가 야구를 잘해서.???:차라리 이시환으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10:08:14에 나무위키 이도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