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수 5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전근대
자그웨 왕조
마라 타클라 하이마노트타다딤얀 세윰
게르마세윰옘레하나 크레스토스케두스 하베
랄리벨라나쿠에토 라압예바라크
자그웨 왕조솔로몬 왕조
마이라리하바이예쿠노 암라크
솔로몬 왕조
살로몬 1세센파 아스가드헤즈바 아스가드
케드마 아스가드얀 아스가드사바 아스가드
웨뎀 아라드암다 세욘 1세뉴야야 크레스토스
뉴야야 마리암다위트 1세테워드로스 1세
예스하크안드레야스타클라 마리암
사르웨 이야수스암다 이야수스자라 야콥
배다마리암 1세에스켄데르암다 세욘 2세
나오드다위트 2세겔라우데보스
메나스사르사 덴겔야콥
자 덴겔야콥수세뇨스 1세
파실리데스요하네스 1세이야수 1세
테클레 하이마노트 1세테보플로스요스토스
다위트 3세바카파이야수 2세
이요아스 1세요하네스 2세테클레 하이마노트 2세
수세뇨스 2세테클레 하이마노트 2세살로몬 2세
테클레 기요르기스 1세이야수 3세테클레 기요르기스 1세
헤즈퀘야스테클레 기요르기스 1세배다마리암 2세
테클레 기요르기스 1세살로몬 3세요나스
솔로몬 왕조비왕조
테클레 기요르기스 1세살로몬 3세데메트로스
솔로몬 왕조
테클레 기요르기스 1세이그월세연이요아스 2세
솔로몬 왕조비왕조솔로몬 왕조
기가배다마리암 3세기가
솔로몬 왕조
이야수 4세게브레 크레스토스사흘레 덴겔
게브레 크레스토스사흘레 덴겔요하네스 3세
사흘레 덴겔요하네스 3세사흘레 덴겔
근현대
솔로몬 왕조
테워드로스 분가
자그웨 왕조솔로몬 왕조
티그라이 분가
테워드로스 2세테클레 기요르기스 2세요하네스 4세
솔로몬 왕조
셰와 분가
메넬리크 2세이야수 5세자우디투
솔로몬 왕조
셰와 분가
사보이아 왕조솔로몬 왕조
셰와 분가
하일레 셀라시에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하일레 셀라시에
인민 민주 공화국 · 연방 민주 공화국



에티오피아 황제
이야수 5세
전임[1]메넬리크 2세
후임[2]자우디투
약력에티오피아 황제
재위1913년 ~ 1916년 (2~3년)
출생1895년
사망1935년
가족
[ 펼치기 · 접기 ]
외할아버지 메넬리크 2세
이모 자우디투
외재당숙 하일레 셀라시에
외삼종질 제라 셀라시에
외숙 쇼아 레가드
이모부 구그사 웰레
외재당숙모 메넨 아스파우
외삼종제 암하 셀라시에[1]
[1] 1916~1997 에티오피아 최후의 황태자다.
종교이슬람
1. 개요
2. 최후



1. 개요[편집]


에티오피아 제국황제.

기독교 국가 에티오피아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한데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동맹국 편에 가담하려 하였기에 1916년 하라르에 체류하던 중 영국, 프랑스 등의 지원을 받은 쿠데타가 발발하여 폐위되었다.

2. 최후[편집]


폐위되어 유폐된 이야수는 자우디투 여제 치하에서 목숨을 보전했고 좋은 대우를 받았다. 자우디투는 이야수에게 동정심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탈리아 왕국이 이야수를 괴뢰 황제복위시키려는 시도가 드러났고, 결국 이야수 5세는 1935년 11월 에티오피아의 마지막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에 의해 처형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7:10:40에 나무위키 이야수 5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