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석(양궁)

덤프버전 :

이우석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양궁협회 로고.svg 리커브 남자 국가대표팀
[ 펼치기 · 접기 ]
1975박경래
1976석동은
1979감경윤 · 강종구 · 이기식 · 이세일
1980감경윤 · 강종구 · 김홍복 · 이항용
1981박명국 · 박익수 · 엄선기 · 이항용 · 임인택 · 임채웅
1982김영운 · 박익수 · 이용호 · 이재형
1983 1기곽윤식 · 김병갑 · 김영운 · 엄선기 · 이용호 · 전인수
1983 2기김병갑 · 김영운 · 박익수 · 배진성 · 전인수 · 최원태
1983 3기구자청 · 김병갑 · 김영운 · 박익수 · 전인수
1984 1기구자청 · 김병갑 · 박익수 · 배진성
1984 2기구자청 · 전인수 · 최원태
1985 1기김병갑 · 문백운 · 박경상 · 안태성 · 유호상 · 이용호 · 이의명 · 이한섭 · 임동일 · 전인수 · 최원태 · 호진수
1985 2기강정식 · 곽윤식 · 구자청 · 김병갑 · 박경상 · 박채순 · 안태성 · 이문수 · 이의명 · 전인수 · 최원태 · 호진수
1985 3기강동원 · 구자청 · 김병갑 · 서만교 · 전인수 · 최원태 · 호진수
1985 4기구자청 · 서만교 · 전인수 · 호진수
1986 1기강동원 · 곽윤식 · 구자청 · 김동걸 · 박성수 · 배진성 · 서만교 · 임지원 · 전인수 · 조성민 · 최원태 · 호진수
1986 2기구자청 · 박경상 · 박성수 · 양승현 · 양창훈 · 전인수
1987 1기구자청 · 박경상 · 박성수 · 양승현 · 양창훈 · 임희식 · 전인수 · 호진수
1987/88구자청 · 길준석 · 김춘식 · 박성수 · 안태성 · 양승현 · 양창훈 · 윤형두 · 이경출 · 임채웅 · 전인수 · 호진수
1988 2기박성수 · 양창훈 · 이경출 · 이한섭 · 전인수 · 호진수
1988 3기박성수 · 이한섭 · 송칠석 · 전인수
1989김성남 · 박재표 · 양승현 · 양창훈 · 이정근 · 이흥섭 · 임채웅 · 전인수
1990 1기강태경 · 김경호 · 박성수 · 송칠석 · 양창훈 · 이정근 · 임희식 · 전인수
1990 2기강태경 · 김선빈 · 김준화 · 박성수 · 박재표 · 양창훈 · 이정근 · 호진수
1991김경호 · 박재표 · 심영성 · 양창훈 · 전인수 · 정재헌 · 한승훈 · 황진우
1992김경호 · 김보람 · 양창훈 · 이정근 · 임희식 · 정재헌 · 한승훈 · 황진우
1993김경호 · 김보람 · 김성남 · 김재락 · 박경모 · 양창훈 · 이경출 · 한승훈
1994김경호 · 김보람 · 박경모 · 심영성 · 양창훈 · 오교문 · 정재헌 · 한승훈
1995김보람 · 김선빈 · 김재락 · 양창훈 · 오교문 · 이경출 · 정재헌 · 한승훈
1996김경호 · 김민수 · 김보람 · 김선빈 · 김영수 · 박성수 · 오교문 · 이정근 · 임희식 · 장세희 · 장용호 · 정우성
1997김경호 · 김보람 · 김선빈 · 오교문 · 임희식 · 장용호 · 정우성 · 홍성칠
1998김경호 · 김보람 · 김선빈 · 장용호 · 오교문 · 이정근 · 임희식 · 한승훈
1999김보람 · 배재경 · 오진혁 · 장용호 · 정재헌 · 한승훈 · 홍성칠 · 황진우
2000김경호 · 김보람 · 김청태 · 오교문 · 이태영 · 장용호 · 전성환 · 정재헌
2001김원섭 · 박경모 · 연정기 · 이창환- · 김보람 · 김청태 · 장용호 · 정재헌-[자격박탈]
2002김경호 · 김석관 · 박경모 · 배재경 · 이동욱 · 이승용 · 임동현 · 최원종
2003김보람 · 박경모 · 박현수 · 이동욱 · 임동현 · 장용호 · 정재헌 · 최영광
2004구춘성 · 김보람 · 박경모 · 이동욱 · 이창환 · 임동현 · 장용호 · 한승훈
2005김보람 · 박경모 · 임동현 · 장용호 · 정재헌 · 최영수 · 최원종 · 한승훈
2006박경모 · 연정기 · 이상현 · 이창환 · 임동현 · 장용호 · 홍성칠 · 한승훈
2007김보람 · 김연철 · 박경모 · 이창환 · 이철수 · 임동현 · 임지완 · 오진혁
2008김명수 · 김보람 · 김재형 · 박경모 · 이승용 · 이창환 · 임동현 · 장용호
2009김성훈 · 김우진 · 오진혁 · 이승용 · 이창환 · 이호준 · 임동현 · 장채환
2010김우진 · 김보람 · 오진혁 · 이광성 · 이창환 · 임동현 · 정성원 · 진재왕
2011구동남 · 김우진 · 김주완 · 김성훈 · 오진혁 · 이창환 · 임동현 · 진재왕
2012김우진 · 김법민 · 김봉만 · 김석관 · 김성훈 · 김용호 · 박진억 · 성우경 · 이창환 · 임동현 · 오진혁 · 진재왕 · 한우탁
2013구본찬 · 김규찬 · 김석관 · 오진혁 · 이승윤 · 임동현 · 정성원 · 진재왕
2014구본찬 · 김우진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 정성원 · 한우탁
2015구본찬 · 김우진 · 오진혁 · 신재훈 · 이승신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2016구본찬 · 김우진 · 김종호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 정태영
2017김우진 · 김종호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 정태영 · 진재왕
2018김규찬 · 김우진 · 배재현 · 신재훈 · 오진혁 · 이우석 · 임동현 · 정태영
2019김우진 · 남유빈 · 배재현 · 오진혁 · 이승신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2020김우진 · 김필중 · 남유빈 · 오진혁 · 이우석 · 장채환 · 정태영 · 한종혁
2021김우진 · 김제덕 · 김필중 · 박주영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한우탁
2022김우진 · 김제덕 · 오진혁 · 이승신 · 이승윤 · 이우석 · 장채환 · 한우탁
2023김우진 · 김제덕 · 서민기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최두희 · 최재환
[자격박탈] 군입소 극기훈련 집단 거부


이우석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아시아 선수권
[ 펼치기 · 접기 ]
1회1980 콜카타2회1981 싱가포르파일:필리핀 국기.svg 카를로스 샌토스 주니어
3회1983 홍콩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영운4회1985 자카르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인수
5회1988 홍콩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호진수6회1989 베이징
7회1991 마닐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승훈8회1993 자카르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보람
9회1996 촌부리파일:중국 국기.svg 뤄헝위10회1997 랑카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교문
11회1999 베이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재헌12회2001 홍콩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원섭
13회2003 양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동욱14회2005 뉴델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동현
15회2007 시안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왕쳉팡16회2009 덴파사르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궈정웨이
17회2011 테헤란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카이룰 아누아르 모하마드18회2013 타이페이파일:일본 국기.svg 후루카와 다카하루
19회2015 방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우석20회2017 다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윤
21회2019 방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우석22회2021 다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윤
23회2023 방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우진24회






>
현대자동차 정몽구배
[ 펼치기 · 접기 ]



이우석
Lee Woo-seok
파일:W640H480_이우석1 상반신 수정본.jpg
출생1997년 8월 7일 (26세)
인천광역시 남동구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선인고등학교 (전학)
인천체육고등학교 (졸업)
신체175cm
종목양궁
세계 랭킹3위[1]
소속코오롱 엑스텐보이즈 (2016~ )
국군체육부대 (2018~2019 / 군 복무)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3. 수상 경력
4. 연도별 성적
5. 여담
6. 역대 프로필 사진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양궁 선수.


2. 선수 경력[편집]


2006년 양궁부에 가면 피자와 치킨을 사준다고 해서 양궁을 시작했다.[2]

2013년 선인고등학교 소속으로 전국체전 고등부 5관왕, 전국단위 시도대항전 고등부 대회에서 5관왕을 달성했다. 이 대회 이후로 인천체육고등학교에 영입되었다.

2014년에는 실업팀 코오롱스포츠에 영입되었고 2014년과 2015년에도 대회 성적은 좋았으나,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2016년 리우 올림픽 출전 선수 선발전에서 4위를 기록하며 올림픽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전국체육대회 일반부 리커브 단체전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상무에 입대한 후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출전 선수로 선발되어 단체전에서 대만 대표팀에 져서 은메달을 땄다. 개인전에서는 김우진에게 석패하면서 은메달을 땄는데 금메달을 따지 못했기 때문에[3] 조기 전역에는 실패했다.[4]

2023년에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랭킹라운드 전체 1위를 차지했지만 개인전 준결승전에서 슛오프 끝에 중국의 치샹서우에게 석패했다.[5] 그러나 혼성 및 남자 단체전에서 2관왕을 달성했다. 그리고 개인전 동메달 결정전에서 7-1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리커브 혼성단체전에서는 임시현과 결승전에서 일본을 상대로 6:0으로 대승을 거두어 금메달을 획득하는 데 성공했다. 남자 단체전에서는 김제덕, 오진혁과 결승전에서 인도를 상대로 5:1로 승리해 금메달을 획득했다.


3. 수상 경력[편집]


세계선수권
금메달2019 스헤르토헨보스혼성 단체전
금메달2023 베를린단체전
동메달2019 스헤르토헨보스단체전
월드컵 파이널
은메달2018 삼순개인전
은메달2023 에르모시요개인전
아시안게임
금메달2022 항저우혼성 단체전
금메달2022 항저우단체전
은메달2018 자카르타·팔렘방개인전
은메달2018 자카르타·팔렘방단체전
동메달2022 항저우개인전
아시아선수권
금메달2015 방콕개인전
금메달2015 방콕단체전
금메달2017 다카단체전
금메달2019 방콕개인전
금메달2019 방콕단체전
금메달2023 방콕혼성 단체전
금메달2023 방콕단체전
은메달2015 방콕혼성 단체전
동메달2021 다카개인전
동메달2023 방콕개인전
유니버시아드
금메달2017 타이베이단체전
금메달2019 나폴리개인전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2015 양크턴혼성 단체전
금메달2015 양크턴단체전
동메달2015 양크턴개인전
청소년올림픽
금메달2014 난징개인전


4. 연도별 성적[편집]


연도평균 점수승률(%)타이브레이커최고기록연말 랭킹
승률(%)
20159.3611284.622166.6769051136
20179.353260682200114
20189.4719482.6122506913611
20199.4719290.48201006966103
20219.464180-67700121
20229.376366.671233.3367211023
6시즌9.43621481.587558.3369617931


5. 여담[편집]


  • 축구 선수 출신인 아버지가 처음에는 아들에게 축구를 시키려고 했지만, 결국 아들의 뜻을 존중해 양궁을 계속하게 되었다고 한다.

  • 팔길이가 62cm로 동일신장 평균에 비해 3cm 정도 길다고 한다. 그래서 복싱부에서도 제의가 왔었다.

  • 2012년 디시인사이드 '2012 런던올림픽 갤러리'에서 유저 '양귀'가 2018년 양궁 이우석을 기억하라는 글을 전국소년체전 중등부 트로피 인증 사진과 함께 올렸다. 올림픽은 4년에 한 번 열리는데 헷갈린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갤러리에 올린 글과 디시인사이드 계정의 댓글 이력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메달 획득 후 재조명되어서 일베 의혹이 생겨 본인이 직접 부인했다.

  • 2020년 1월 언론의 올림픽 특집 기사에 등장했고 2018년 아시안 게임 이후 슬럼프가 왔었지만 그때 조기전역했으면 자만했을 거라고 인터뷰했다. 2020 도쿄 올림픽 선수단 최종 명단에는 선발되지 못했다.

  • 2020 도쿄 올림픽 기간에도 디시인사이드 글이 재조명되며 성공한 잼민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6. 역대 프로필 사진[편집]


국가대표
파일:이우석 양궁 항저우.jpg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7. 둘러보기[편집]


World Archery
리커브 남자 세계 랭킹 1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스테버 베일러르>
(2018.9.3 - 2018.10.2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우석
(2018.10.29 - 2019.6.16)
파일:미국 국기.svg 브래디 엘리슨
(2019.6.17 - 2022.5.2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8:18:52에 나무위키 이우석(양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3년 12월 기준[2] 그 전에 기계체조로 갔었다가 안맞았다고 한다.[3] 예술체육요원으로 편입되려면 올림픽 메달 (금, 은, 동) 혹은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획득해야 한다.[4] 공교롭게도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컴파운드 양궁선수인 양재원 역시 군인신분으로 국가대표로 출전하지만, 개인전, 단체전에서 은메달, 동메달을 획득하게 되면서 조기전역을 실패하였다. 하지만 두 사람은 97년생 동갑내기다.[5] 다만 점수제로 갔었으면 이우석의 점수가 더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