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청중학교

덤프버전 :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20200510_144123-1.jpg
학교 전경

저청중학교
楮淸中學校
Jicheong Middle School
파일:스크린샷 2023-03-03 221921.png

개교1964년 3월 10일
유형자율학교
성별남녀공학
교장소대진
교감이경은
교훈스스로 탐구하며 바르게 행하자
교화춘란
교목동백나무
학생 수51명[기준]
교직원 수19명[기준]
관할 교육청제주시교육지원청
주소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중산간서로 3590(청수리)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학교 연혁
3. 교훈 및 상징
3.1. 교표
3.2. 교화
3.3. 교목
3.4. 교훈
3.5. 교육목표
3.6. 교가
4. 학교 시설
5. 학교 생활
5.1. 주요 행사
5.2. 학교 일과
5.3. 시간표
6. 운동부
7. 출신 인물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버스
9. 기타



1. 개요[편집]


제주특별자치도 한경면에 위치한 중등교육기관.


2. 학교 연혁[편집]


날짜연혁
1958.10.16구립 저청고등공민학교 3학급 설립 인가
1963.09.14저청중학교 설립 인가 신청
1963.12.04저청중학교 3학급 인가
1964.03.10개교
1967.12.05자활학교 육성 우수학교
1973.02.286학급 편성
1991.12.20학교 체육 운영 평가 우수학교
1995.03.013학급 편성
1999.09.01저청 초·중학교 통합
2007.03.01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지정 사이버가정학습 시범학교(~2009.02.28)
2011.12.28"모다들엉 학력향상" 우수학교 선정(3년 연속)
2013.03.01도교육청 지정 저작권교육 정책연구학교 선정
2016.03.01제주형 자율학교[다혼디배움학교] 지정(2016.03.01.~2020.02.29.)
2020.01.09제54회 졸업 9명
2020.03.01제주형 자율학교[다혼디배움학교] 재지정(2020.03.01.~2024.02.29.)
2021.03.01통합 제10대 소대진 교장 부임
2022.12.30제57회 졸업 13명(총 졸업자수 2,746명)


3. 교훈 및 상징[편집]




3.1. 교표[편집]


파일:스크린샷 2023-03-03 221921.png

저청의 자음인 'ㅈ'과 'ㅊ'으로 세계를 도약하는 저청인의 모습을 형상화

 1. 테두리의 남색과 분홍은 남녀공학을 상징

 2. 빨강은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젊은이의 정열을 상징

 3. 녹색은 청정과 평화를 상징

 4. 파랑은 이상과 젊음을 상징

 5. 주황은 인간과 가족애를 상징

지청중학교 학교안내; 학교상징



3.2. 교화[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Cymbidium_goeringii_2.jpg

▷ 특징: 어려움을 견딜줄 알고 깨끗하며 정직하고 바르게 자라고 있다.

▷ 상징

 고결한 기풍: 고상한 인격을 지닌 학생을 상징

 그윽한 향기: 인정이 넘치는 건강한 학생을 상징

 세련된 미: 슬기와 용기를 지닌 학생을 상징

지청중학교 학교안내; 학교상징



3.3. 교목[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Camellia.japonica.cv.Ashiya.7166.jpg

▷ 특징: 늘 푸르고 싱싱하여 우리의 마음을 새롭게 하고 있다.

▷ 상징

 푸르름: 생동하는 학생을 상징

 싱싱함: 씩씩한 학생을 상징

 새로움: 창의적인 학생을 상징

지청중학교 학교안내; 학교상징



3.4. 교훈[편집]


스스로 탐구하며 바르게 행하자.

지청중학교 학교안내; 학교장인사



3.5. 교육목표[편집]


파일:180630.png


3.6. 교가[편집]


파일:202209211125100860.jpg


4. 학교 시설[편집]


교지대지 5,879㎡
체육장 8,820㎡
실습지 5,897㎡
건물면적 1,678㎡
건물관리실 1
교실 3
교무실 1
진로체험실 1
컴퓨터실 1
어학실 1
방송실 ½
도서실 1
보건실 ½
다목적 강당 1
상담실 ½
급식실 1


5. 학교 생활[편집]


2023학년도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현황,(단위:일,명),
수업일수1학년190
2학년190
3학년190
주당 수업시수97
수업교원수8
주당 평균 수업시수(교사 1인당)12.1


5.1. 주요 행사[편집]


2023 저청중학교 학사일정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개학 및 입학식3월학사일정
학급다모임3월학사일정
자유학기 주제탐구 자동화장치 제작 수업시작3월학사일정
교내 자율연수 및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3월학사일정
자유학기 진로탐색 이공계진로탐구 수업시작3월학사일정
1학기 방과후학교 시작3월학사일정
교육과정 설명회 및 학부모 간담회3월학사일정
학생다모임5월학사일정
저청어울림 한마당5월학교축제
1학년 건강검진5월학사일정
학생다모임5월학사일정
수업나눔6월학사일정
1학년 대상 창업콘서트6월학사일정
학생다모임6월학사일정
2,3학년 기말고사7월학사일정
미래비전진로캠프7월학사일정
썸머페스티벌7월학교축제
전문적학습공동체7월학사일정
학생다모임7월학사일정
체인지메이커 창업교육7월학사일정
여름방학7월자가학습
개학8월학사일정
2학기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시작8월학사일정
영상미디어 체인지 메이커 교육 시작8월학사일정
학생다모임8월학사일정
전문적학습공동체10월학사일정
2학년 주제 중심 활동10월학사일정
수업나눔10월학사일정
2,3학년 결핵검진10월학사일정
수업나눔10월학사일정
정보통신윤리교육10월학사일정
졸업식1월학사일정
수료식1월학사일정
겨울방학1월학사일정


5.2. 학교 일과[편집]


2023학년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단위:개,명),
구분교과특기적성
프로그램 수235
수강학생 수42428
참여학생 수19


5.3. 시간표[편집]


2023 저청중학교 일과 운영 계획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시간구분/교시
~08:30학생 등교
08:30~08:50아침 활동
08:50~09:00조회
09:00~09:451교시
09:55~10:452교시
10:50~11:353교시
11:45~12:304교시
12:30~13:20점심
13:20~14:055교시
14:15~15:006교시
15:10~15:557교시
월·화 방과후학교 운영
15:55~16:15청소/종례
16:15~17:008교시
방과후학교 운영
전염병 발생시 일과 조정
~08:45학생 등교
08:45~09:00아침 활동 및 조회
09:00~09:451교시
09:55~10:452교시
10:50~11:353교시
11:45~12:304교시
12:30~13:205교시
13:20~14:05점심
14:15~15:006교시
15:10~15:557교시
16:05~16:50청소/종례
8교시
방과후학교 운영 계획 참조


6. 운동부[편집]


2023학년도 1, 2분기 학교운동부(검도) 운영비 집행내역
4/1제57회 도민체전 강화훈련 참가
4/15제57회 도민체전 강화훈련 참가
4/22제57회 도민체육대회 참가
4/29제52회 전국소년체전 대비 강화훈련 참가
5/14~16제6회 대한검도회장기 전국 중.고등학교검도대회 참가 경비
5/10~24제52회 전국소년체전 강화훈련 용품 및 식비(간식비)
5/25제52회 전국소년체전 참가
6/3죽도정리대 및 죽도구입


7. 출신 인물[편집]


김광수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17대)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8.1. 버스[편집]


저청중학교.동(405001020)
저청중학교.서(405001019)
761-3모슬포남항여객선터미널↔제주현대미술관·김창열미술관
771-1동광환승정류장↔고산환승정류장(고산1리)
772-1고산환승정류장(고산1리)↔고산환승정류장
저지리(405001781)784-1한림체육관↔동광육거리


9. 기타[편집]


학교 앞 기념비에는 마을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서서 학교 살리기에 노력한 내용이 담겨 있다. 1998년 학교 통폐합 위기 때 지역주민들이 십시일반 자금을 모아 3억여만 원을 모아 지역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지역학교 살리기 운동을 펼쳐 학교를 존치 시켰다.[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2:23:26에 나무위키 저청중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기준] A B 2023년[1] 제주일보 201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