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연

덤프버전 :

1. 종이로 만든
2. 김민기의 노래
2.1. 가사


1. 종이로 만든 [편집]


연(장난감) 문서 참조.


2. 김민기의 노래[편집]


[[김민기(가수)|{{{#ffffff 김민기}}}]]의 작품 목록
[ 펼치기 · 접기 ]
김민기 1집 (1971年)
친구아하 누가 그렇게바람과 나
저 부는 바람꽃 피우는 아이
아침 이슬그날종이연
눈길(연주곡)세노야*4월**
김민기 전집 1 (1993年)
가을편지내 나라 내 겨레두리번 거린다
꽃 피우는 아이아침 이슬(연주곡)아침 이슬
잃어버린 말아름다운 사람그날
친구잘가오Morgentau
김민기 전집 2 (1993年)
새벽길나비
혼혈아(종이연)그사이고향 가는 길
철망 앞에서눈산차돌 이내몸
아무도 아무데도바다눈길(연주곡)
김민기 전집 3 (1993年)
상록수기지촌가뭄
식구생각서울로 가는 길늙은 군인의 노래
강변에서주여, 이제는 여기에소금땀 흘리흘리
밤뱃놀이
김민기 전집 4 (1993年)
봉우리아하 누가 그렇게백구
작은 연못(연주곡)날개만 있다면작은 연못
인형고무줄 놀이천리길
아침(연주곡)
이외에 나무위키에 등재된 김민기의 작품들(주로 희곡계열)
지하철 1호선공장의 불빛이 세상 어딘가에
소리굿 아구
{{{-2 *갈색 재킷 버전에서 꽃 피우는 아이가 빠지고 들어간 곡. **갈색 재킷 버전에서 꽃 피우는 아이가 빠지고 들어간 곡. 사실 이 곡은 딥 퍼플(Deep Purple)의 곡 "April"의 앞 부분이 무단으로 쓰인 곡인데, 이는 김민기 본인의 뜻과는 전혀 관계없다.
***기울임체로 쓰여진 작품은 2004년 'Past life of 김민기' 에 수록된 작품.}}}


1971년 김민기 전집에 수록된 노래. 처음 작곡했을 때 지어진 제목은 '혼혈아' 였으나, 공연윤리위원회에 의해 검열되어 할 수 없이 노래 중 등장하는 소재인 '종이연' 으로 제목을 바꿔 발매했다. 22년이 지난 1993년에서야 김민기 2집에 이 노래의 제목을 '혼혈아' 라고 수록할 수 있었다.

노래 가사와 분위기가 굉장히 암울하다. 일단 노래 장단부터가 타령조로, 애달픔과 한이 서려있다. 게다가 노래의 화자는 혼혈인 어린 아이로, 어머니가 헬로아저씨를 따라갔다는 것을 보면 기지촌에서 일하던 양공주였고, 간밤에 편지 한 장만 댕그러니 써놓고 아이를 버린 것으로 보인다. 혼혈아에 대해 인식이 좋지 않던 당시에는 혼혈아와 어울리는 것을 꺼렸고, 친구도 없는 그 아이는 종이연을 가지고 혼자 쓸쓸히 논다는 내용. 게다가, 열차길에서 논다고 하질 않나, 열차가 달려오는 소리를 '하늘나라 올라갈 나팔소리' 라고 암시하는 것을 보면 아이의 미래 또한 상당히 암담하다.


2.1. 가사[편집]


종이연 날리자 하늘 끝까지
내 손이 안닿는 구름 위까지
간밤에 어머니 돌아오지 않고
편지만 뎅그마니 놓여있는데
그 편지 들고서 옆집 가보니
아저씨 보시고 한숨만 쉬네
아저씨 말씀 못미더워도
헬로 아저씨 따라갔다던데[1]
친구도 없네 무얼 하고 놀까
철길 따라서 뛰어나 볼까
철길 저편에 무슨 소리일까
하늘나라 올라갈 나팔소리인가
종이연 날리자 하늘 끝까지
내 손이 안닿는 구름 위까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6:39:59에 나무위키 종이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가사지에는 '어딘지 멀리 떠나갔다는데'로 오기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