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제2선거구(대구)

덤프버전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의회선거구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중구 제2선거구>
성내2,3동, 대신동, 남산2,3,4동
中區 第二選擧區
Jung District 2
선거인 수37,326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대구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중구 일부
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만규 (재선)




1. 개요[편집]


대구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대구광역시 중구의 서부 지역을 관할한다. 대구 최대의 번화가인 동성로가 걸쳐져 있고 보수정당 정치인이 자주 방문하여 보수의 성지라 불리는 서문시장이 이 곳에 위치해 있다.

원래는 구도심답게 보수 성향이 대구 평균보다도 높은 전국 최대 텃밭 그 자체였으나, 재개발이 진행 중이고 젊은 인구의 비중이 늘게 됨에 따라 지금은 대구 평균 정도로 보수세가 약화되었다.

민선7~8기 류규하 구청장이 구청장 도전에 실패한 후 이 곳으로 유턴 출마하여 3선 고지를 찍어 의장직을 역임한 후 구청장으로 체급을 올렸다.[1]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중구 제1,2,3선거구
제2대박흥식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2]
김주환
[[무소속|
무소속
]]
1995년 7월 1일 ~ 1998년[3][4]
오남수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5]
중구 제2선거구
제3대김화자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6]
제4대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7] [8]
제5대송세달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제6대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제7대류규하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4년 7월 1일 ~ 2018년 4월 11일[9]
제8대이만규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제9대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1선거구
동인1·2가동, 동인3가동, 동인4가동, 삼덕1·2가동, 삼덕3가동, 봉산동, 동성동, 북성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수경(金洙慶)4,895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28.64%낙선
2진호만(陳鎬萬)2,6664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15.60%낙선
3박흥식(朴興植)5,7771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33.80%당선
4송두봉(宋斗峰)3,7503위

[[무소속|
무소속
]]
21.94%낙선
선거인 수25,079투표율
70.82%
투표 수17,761
무효표 수673

중구 제2선거구
서성동, 남성동, 달성동, 대신1동, 대신2동, 남산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청길(崔淸吉)6,493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2.61%낙선
2김주환(金周煥)8,1211위

[[무소속|
무소속
]]
40.79%당선
3박원범(朴元範)5,2953위

[[무소속|
무소속
]]
26.59%낙선
선거인 수30,163투표율
68.88%
투표 수20,779
무효표 수870

중구 제3선거구
남산1동, 남산2동, 남산3동, 대봉1동, 대봉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화자(金花子)8,652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4.73%낙선
2오남수(吳南樹)10,6901위

[[무소속|
무소속
]]
55.26%당선
선거인 수31,422투표율
63.96%
투표 수20,099
무효표 수757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2선거구
서성동, 남성동, 북성동, 달성동, 대신1동, 대신2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화자(金花子)11,644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5.21%당선
3이종윤(李種允)5,1432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4.38%낙선
4김병욱(金炳旭)1,7354위
8.22%낙선
5이창룡(李昌龍)2,5673위
12.17%낙선
선거인 수40,728투표율
53.60%
투표 수21,833
무효표 수744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2선거구
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김화자(金花子)-1위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2선거구
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찬국(朴贊國)1,9493위
10.83%낙선
2송세달(宋世達)13,1461위
73.07%당선
6김화자(金花子)2,8952위
16.09%낙선
선거인 수34,056투표율
54.13%
투표 수18,437
무효표 수447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2선거구
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송세달(宋世達)-1위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2선거구
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류규하(柳圭夏)-1위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2선거구
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성규(李成圭)8,4752위
40.48%낙선
2이만규(李萬圭)10,3731위
49.55%당선
6황석훈(黃碩勳)2,0853위
9.96%낙선
선거인 수35,447투표율
60.63%
투표 수21,492
무효표 수559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2선거구
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준민(金隼暋)3,8372위
23.45%낙선
2이만규(李萬圭)12,5251위
76.54%당선
선거인 수37,326투표율
44.78%
투표 수16,716
무효표 수354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직전 대선까지 패배하는 최악의 분위기임에도 후보를 내는 데 성공했다.[10] 김준민 영화 감독이 단수공천을 받았다.

국민의힘에서는 사실상 본선에 가까운 경선답게 많은 후보군이 몰렸고, 배삼용 전 구의원, 이만규 시의원의 양자 경선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국민의당 출신인 정용 전 시의원[11]이 추가로 참가했다. 경선 결과 이만규 후보가 승리해 재선에 도전한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예상대로 이만규 후보가 대경권답게 압도적인 표차로 승리하였다. 모든 동에서 이만규 후보가 70%대를 기록했으며, 관외사전투표에서는 68.2% : 31.8%로 김준민 후보도 30% 득표까지는 성공하였다. 그래도 더불어민주당 입장에서는 대구시의원 선거에 후보를 내는 데 성공한 4곳 중 한 곳인 점과 20% 중반대로 직전 대선 당시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 이상급을 올리는 데 성공하는 위안거리가 꽤 있는 결과다.


[1] 본래 초재선 시의원 시절 지역구는 옆 지역구였다.[2] 중구 제1선거구 (동인1·2가동, 동인3가동, 동인4가동, 삼덕1·2가동, 삼덕3가동, 봉산동, 동성동, 북성동)[3] 2회 지선 중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4] 중구 제2선거구 (서성동, 남성동, 달성동, 대신1동, 대신2동, 남산4동)[5] 중구 제3선거구 (남산1동, 남산2동, 남산3동, 대봉1동, 대봉2동)[6] 서성동, 남성동, 북성동, 달성동, 대신1동, 대신2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7] 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8] 1998년 9월 14일에 남성동과 북성동이 성내2동으로, 서성동과 달성동이 성내2동으로, 대신1,2동이 대신동으로 통합되었다.[9] 7회 지선 중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10] 심지어 대구경상북도보다도 윤석열 후보에게 더 높은 득표율을 안기는 압도적인 보수세를 보였다.[11] 막상 시의원을 지냈던 지역구는 수성구 지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