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영공(영성)

덤프버전 :


파일:传国玺.png
진(秦) 군주
[ 펼치기 · 접기 ]
시조---
비자진후공백진중
추존 국군초대 국군제2대 국군제3대 국군
장공양공문공헌공
제4대 국군제5대 국군제6대 국군제7대 국군
출자무공덕공선공
제8대 국군제9대 국군제10대 국군제11대 국군
성공목공강공공공
제12대 국군제13대 국군제14대 국군제15대 국군
환공경공애공혜공
제16대 국군제17대 국군제18대 국군제19대 국군
도공여공공조공회공
제20대 국군제21대 국군제22대 국군제23대 국군
영공간공후혜공출공
제24대 국군제25대 국군초대 국왕제2대 국왕
헌공효공혜문왕무왕
제3대 국왕제4대 국왕제5대 국왕초대 황제
소양왕효문왕장양왕시황제
말대 황제말대 국왕
이세황제자영
추존
정공 · 이공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삼국시대 · 사마진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
오대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진(秦)나라 20대 국군
영공
靈公
영(嬴)
조(趙)
실전
할아버지진회공(秦懷公)
숙부진간공(秦簡公)
아버지진소자(秦昭子)
생몰 기간음력기원전 ???년 ~ 기원전 415년
재위 기간음력기원전 424년 ~ 기원전 415년

1. 개요
2. 재위 기간



1. 개요[편집]


진나라의 20대 군주. 진 회공의 손자. 진 소자의 아들. 진 헌공(秦獻公)의 아버지. 진 간공의 조카. 《사기》 <진시황 본기>에는 시호가 '진 숙령공'(秦肅靈公)[1]으로 기록되어 있다.


2. 재위 기간[편집]


진 영공 원년(기원전 424년), 진 헌공을 낳았다.

진 영공 3년(기원전 422년), 오양에 머물며 상치를 만들어 황제 헌원씨에게 제사지내고, 하치를 만들어 염제 신농씨에게 제사지냈다.

진 영공 6년(기원전 419년), 위(魏)군이 소량에 머물며 성을 세우자 진나라가 군대를 몰아치니 2년 동안 치열한 싸움을 벌였다.

진 영공 8년(기원전 417년), 위군은 진군을 물리치고, 소량에 다시 성을 쌓았다. 진군은 위군의 방어 기지 공사를 막지 못했다. 같은 해 하백에게 여자를 바쳤다. [2]

진 영공 10년(기원전 415년), 번방성을 보수했고, 적고에 성을 쌓았다. 같은 해 진 영공이 죽어 구리의 진 도공의 무덤 서쪽에 묻혔다. 그런데 아들 진 헌공이 잇지 못하고, 진 소자의 아우 진 간공이 즉위했다. 이에 진 헌공은 위나라로 망명했다.
[1] 《사기지의》(史記志疑)의 저자 양옥승(梁玉繩)은 '숙'(肅)자가 잘못 기록된 글자라고 했다.[2] 여담이지만 같은 시기에 위문후가 업의 현령으로 임명한 서문표는 하백에게 죄없는 여자를 바쳐 제사지내는 사기꾼 무당과 그 공모자들을 처형함으로써 풍속을 바로잡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3:15:39에 나무위키 진영공(영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