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접차량사업소 (r1판)

편집일시 :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수도권 전철 차량사업소
[ 펼치기 · 접기 ]
서울 지하철
1호선2호선3호선4호선
군자[중][폐차]군자[중][폐차]
신정[중]
지축[중][폐차]
수서
창동
지축[중][타][폐차]
5호선6호선7호선8호선
고덕[중]
방화[폐차]
신내
도봉[중][타][폐차]
도봉[중][폐차]
천왕
모란
고덕[중][타]
방화[타][폐차]
9호선우이신설선
김포[중]우이[중]
신림선
보라매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1호선4호선
구로[폐차]
병점[폐차]
이문
시흥[중][타][폐차]
성북주재[주박]
인천주재[주박]
시흥[중][폐차]
안산역[주박]
경의·중앙선경춘선수인·분당선경강선
문산[중]
용문
평내[중]분당
시흥[중][폐차]
부발
서해선
시흥[중][타]
인천 도시철도
인천 1호선인천 2호선
귤현[중]운연[중]
오류[주박]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용유[중]
기타 도시철도 및 광역전철
신분당선용인 경전철
광교[중]
판교[주박]
용인[중]
공항철도김포 도시철도
용유[중]김포한강[중]
의정부 경전철
의정부[중]
[중] 중정비 가능한 기지
[타] 타 노선의 중정비 기지
[주박] 주박용 기지 또는 주재
[폐차] 폐차선이 설치되어 있어 불용차량 폐차가 가능한 기지


진접차량사업소
(공사중)

다국어 표기
영어Jinjeop Train Depot
한자榛接車輛事業所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곡리 산 40-4
시설 관리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개업일
2025년 이후 예정
노선거리표
진 접
← -.- ㎞
진접차량기지
상선인입선
종점
진접광릉숲
← -.- ㎞
진접차량기지
하선인입선

1. 개요
2. 상세
3. 배속 차량




1. 개요[편집]


파일:오남기지.jpg
진접차량사업소의 조감도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곡리 산 40-4에 신설될 수도권 전철 4호선차량사업소다. 2025년 이후 완공 예정.


2. 상세[편집]


기존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자리하고 있던 창동차량사업소가 이전하여 만들어진 차량사업소. 타 차량사업소들과는 다르게 산 중턱에 만들어질 예정이다.

서울시와 노원구는 오래 전부터 노원구 중심에 있는 창동차량사업소를 타 지역으로 이전하고자 했다. 이에 2006년 8월창동차량사업소를 택지개발계획이 있던 남양주시 별내동(당시 별내면)으로 이전하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남양주시와 서울시, 노원구가 협의하면서 차량기지를 별내동 대신 택지지구로 개발되던 진접읍에 두기로 했으며, 진접까지 4호선을 연장하기로 합의했다. 2022년에 개통된 진접선은 진접차량사업소 개설을 계기로 빠르게 추진될 수 있었다.

2013년에 남양주시는 차량기지 부지를 금곡리 산 111-2번지로 확정지었다. 그러나 이 부지는 금곡리 마을 바로 가까이라 금곡리 주민들이 차량기지 소음 등을 이유로 강하게 반발했다. 진접읍 금곡리 주민들이 요구하는 차량기지 부지는 가마솥골 인근이었는데, 이는 차량기지 부지가 고지대인데다가 산을 절개해야 하기 때문에 남양주시와 국토교통부가 난색을 표했다.# 차량기지 부지 문제는 해를 넘긴 2014년에도 해결되지 않다가# 결국 기지 이전이 급했던 서울시와 노원구가 국민권익위원회와 함께 개입하여 2년여간의 조사를 통해 주민들의 요구를 수용해 가마솥골 인근 금곡리 산 40-4번지 일대로 부지를 옮겼다. 기사 이 때문에 진접선 본선보다 훨씬 늦은 2018년에야 착공할 수 있었다.

면적은 창동차량사업소의 18만㎡보다 약간 늘어난 19만7400㎡이다. 초기에는 중검수 시설도 설치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진접기지 역시 경검수 시설만 설치되고 중검수 시설은 생략되어 기존처럼 지축차량사업소로 회송된다. 단, 추후 중검수 시설을 도입할 수 있게 부지는 마련해 두기로 했다. 최근에는 진접차량사업소의 면적이 38만7천59㎡로 확대된다고 밝혔다.

본래 계획은 진접선 개통과 진접차량사업소 개소가 동시에 이뤄질 예정이었으나, 부지 선정에 난항을 겪은 이유로 진접차량사업소는 2022년 진접선 개통 3년 후인 2025년에 개소할 예정이다. 차량기지 완공 전까지는 창동차량기지를 유지한 채로 진접까지 운행한 뒤 회차하여 창동차량기지로 입고한다.

진접선광역철도이지만, 진접차량사업소 및 그 인입선 건설은 도시철도법에 따른 사업으로 분류되어 도시철도로써 추진되며, 원인제공자[1]서울특별시가 건립액을 전액 부담한다.


3. 배속 차량[편집]


  •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0 16:10:40에 나무위키 진접차량사업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창동차량사업소 대체[2] 완공 시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도 심야 주박을 실시한다고 한다. 그러나 임시 주박이기때문에 이 차량기지에 배속된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