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스콧 셰링턴

덤프버전 :

주요 상훈 이력
[ 펼치기 · 접기 ]

영국 기사 서임자 (남성)
British Knights
[ 펼치기 · 접기 ]
같이 보기: 기사 서임자 (여성)
GBE 파일:Grand Cross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_.jpg
찰스
스콧 셰링턴

(1922)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1946)
KBE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b160a24b08857219efc111189b9773d.jpg
프레더릭 벤팅
(1934)
에드먼드 힐러리
(1953)
게오르그 솔티
(1971)
시드니 푸아티에이
(1974)
찰리 채플린
(1975)
앨프리드 히치콕
(1980)
밥 호프
(1998)
앤드루 와일스
(2000)
로저 무어
(2003)
팀 버너스리
(2004)
조너선 아이브
(2012)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아이작 뉴턴
(1705)
찰스 라이엘
(1848)
찰스 휘트스톤
(1868)
조지프 리스터
(1883)
아서 코난 도일
(1902)
W. S. 길버트
(1907)
프랜시스 골턴
(1909)
프레더릭
G. 홉킨스

(1925)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1935)
오언 리처드슨
(1939)
알렉산더 플레밍
(1944)
랠프 리처드슨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7)
존 길구드
(1953)
칼 포퍼
(1965)
알프 램지
(1967)
쉬리다스 람팔
(1970)
제임스 블랙
(1981)
마이클 아티야
(1983)
클라이브
싱클레어

(1983)
렉스 해리슨
(1989)
V. S. 나이폴
(1990)
더크 보가드
(1992)
로저 펜로즈
(1994)
팀 라이스
(1994)
캐머런 매킨토시
(1996)
리처드 브랜슨
(2000)
숀 코너리
(2000)
톰 커트니
(2001)
믹 재거
(2002)
벤 킹슬리
(2002)
리들리 스콧
(2003)
조너선 색스
(2005)
케네스 브래너
(2012)
안드레 가임
(2012)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4)
패트릭 헤드
(2015)
마크 라일랜스
(2017)
제임스
래트클리프

(2018)
톰 무어
(2020)
마이클 호턴
(2021)
마틴 에이미스
(2023)
C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데이비드 린
(1953)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1959)
알렉 기네스
(1959)
스탠리 매튜스
(1965)
맷 버스비
(1968)
알렉 이시고니스
(1969)
에른스트
곰브리치

(1972)
리처드 애튼버러
(1976)
존 밀스
(1976)
월터 윈터보텀
(1978)
데이비드
애튼버러

(1985)
윌리엄 골딩
(1988)
피터 유스티노프
(1990)
이안 맥켈런
(1991)
안소니 홉킨스
(1993)
데릭 제이코비
(1994)
바비 찰튼
(1994)
사이먼 래틀
(1994)
조지 마틴
(1996)
마이클 갬본
(1998)
아서 C. 클라크
(1998)
엘튼 존
(1998)
이안 홈
(1998)
존 엘리엇
가디너

(1998)
톰 피니
(1998)
나이젤 호손
(1999)
알렉스 퍼거슨
(1999)
프랭크 윌리엄스
(1999)
마이클 케인
(2000)
폴 스미스
(2000)
바비 롭슨
(2002)
앨런 파커
(2002)
앨런 베이츠
(2003)
그레고리 윈터
(2004)
트레버 브루킹
(2004)
제임스 다이슨
(2007)
크리스토퍼 리
(2009)
브래들리 위긴스
(2013)
존 허트
(2015)
칼 젠킨스
(2015)
로드 스튜어트
(2016)
레이 데이비스
(2017)
빌리 코놀리
(2017)
배리 깁
(2018)
마이클 페일린
(2019)
데이비드 수셰이
(2020)
샘 멘데스
(2020)
스티브 맥퀸
(2020)
로저 디킨스
(2021)
조너선 프라이스
(2021)
존 부어만
(2022)
브라이언 메이
(2023)
O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어니스트 섀클턴
(1909)
로렌스 브래그
(1941)
리처드 돌
(1971)
잭 브라밤
(1978)
지미 새빌
(1990)
클리프 리처드
(1995)
트레버 맥도날드
(1999)
스털링 모스
(2000)
재키 스튜어트
(2001)
톰 존스
(2006)
테리 프래쳇
(2009)
패트릭 스튜어트
(2010)
밴 모리슨
(2015)
앤디 머리
(2017)
가즈오 이시구로
(2018)
마이클 모퍼고
(2018)
M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폴 매카트니
(1997)
제프 허스트
(1998)
니콜라스 윈턴
(2003)
닉 팔도
(2009)
링고 스타
(2018)
케니 달글리시
(2018)
루이스 해밀턴
(2021)



역대 왕립학회장 (PRS)>
{{{-2 {{{#fff
List of Presidents of the Royal Society



1932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수상자 전체 목록 보기
1931년1932년1933년
오토 하인리히 바르부르크[1]찰스 스콧 셰링턴
에드거 더글러스 에이드리언
토머스 헌트 모건[2]
[1] 사이토크롬 연구[2] 염색체유전자의 관계 규명

찰스 스콧 셰링턴 경
Sir Charles Scott Sherrington
OM[1] GBE FRS[2] PRS[3] FRCP FRCS
파일:455px-Charles_Scott_Sherrington1.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노벨생리학·의학상|{{{#white 1932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국적
파일:영국 국기.svg

출생1857년 11월 27일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런던, 이즐링턴
사망1952년 3월 4일 (향년 94세)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서식스, 이스트본
분야생리학, 세균학
학력[4]입스위치 스쿨
영국 왕립 외과 의사 대학 (RCS)[5]
케임브리지 대학교, 곤빌 앤 키즈 컬리지
(B.A. / 1880년 – 1883년)
경력킹스 칼리지 런던 GKT 의과대학
(교수 / 1886년 – 1895년)
리버풀 대학교
(교수 / 1895년 – 1914년)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 / 1914년 – 1935년)
제43대 왕립학회장 (PRS)
(1920년 – 1925년)
수상왕립학회 회원 (1893년)
로열 메달 (1905년)
코플리 메달 (1927년)
노벨 생리의학상 (1932년)

1. 개요
2. 연구
3. 여담



1. 개요[편집]


1857년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그는 어릴 때 부터 무언가를 연구하고 수집하는 것을 좋아했다. 하지만 그의 집안은 가난했고 그는 이러한 집안을 일으켜 세우기 위해 19살 때 세인트 토마스 병원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의학을 배우면서 그는 이와 연관된 생리학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였고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들어가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시작했다.

에스파냐, 이탈리아 등의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콜레라백신을 연구하는 등 그는 연구생활을 이어 나갔으며 1885년에는 베를린에서 병리학자인 루돌프 피르호 교수와 같이 연구 생활을 했다. 그 뒤 다시 영국으로 돌아온 그는 세인트 토머스 병원[6]의 생리학 교수를 위임받아 강의를 하기 시작했으며 1904년까지 무려 77편의 논문을 출판하는 등 끊임없는 연구 생활을 계속했다.

1914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교수 한명이 사망하자 그 자리를 메꾸기 위해 대학교로 가서 교수직을 위임받았으며 1932년에는 에드거 더글러스 에이드리언과 함께 뉴런의 기능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그 뒤로 연구를 계속하다 79세에 은퇴하고 1952년 급성 심부전증으로 사망한다.


2. 연구[편집]


그는 뉴런을 자극하면 그 결과로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밝혔으며 동일한 자극일지라도 적용되는 뉴런의 종류가 다르면 반응이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를 토대로 뉴런이 모여있는 중추기관에 따라 반응이 다르게 나타남을 밝혀냈으며 그 동시에 뉴런은 자극을 받으면서도 이를 전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밖에도 그는 각각의 뉴런들을 연구하고 실험 대상자에게 동일한 자극을 가한 다음 나타나는 반응을 수치화 시켜서 반사에 대한 연구를 행했다. 실험 과정에서 그는 근육의 경우 여러 신경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1/3이 원심성 뉴런으로 이루어져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한 여러 뉴런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강도로 이완·수축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반사 작용이 뉴런의 중심부에서 일어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3. 여담[편집]


  • 어릴 때부터 수집욕이 상당해서 이탈리아로 연구를 떠났을 때 여러가지 값비싼 골동품들을 수집했다.

  • 평소 시를 좋아했으며 특히 괴테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8:56:29에 나무위키 찰스 스콧 셰링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메리트 훈장(The Order of Merit)[2] Fellow of the Royal Society (FRS)
왕립학회 회원
[3] President of the Royal Society (PRS)
왕립학회장
[4] The Nobel Prize – Sir Charles Sherrington Biographical[5] 위키피디아[6] 現 킹스 칼리지 런던 의과대학(GKT School of Medical Education)의 전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