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스톰 (r1판)

편집일시 :

파일: 천지스톰.jpg
이름천지스톰
CHEONJI STORM
마번0034254
출생2013년 3월 11일(11세)
성별수컷
털색갈색
아비어드마이어 돈
어미그레이트소트
외조부엠파이어메이커(Empire Maker)
생산자조창석
마주조창석
조교사김동균(52조)
성적27전 9승
총상금970,050,000원
주요 우승G3서울마주협회장배(2018)
상세 정보파일:한국마사회 로고.svg | HORSEPIA
1. 개요
2. 혈통
3. 생애
3.1. 2015년
3.2. 2016년
3.3. 2017년
3.4. 2018년
3.5. 2019년~2020년
4. 종마생활
5. 여담
6.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한국의 경주마. 어드마이어 돈의 자마중 한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커리어를 보낸 말이다.


2. 혈통[편집]


1대2대3대
어드마이어돈
アドマイヤドン
1999파일:일본 국기.svg
TIMBER COUNTRY
1992 파일:미국 국기.svg
WOODMAN
FALL ASPEN
베가
ベガ
1990파일:일본 국기.svg
Tony Bin
Antique Value
그레이트소트
GREAT THOUGHT
2005 파일:미국 국기.svg
Empire Maker
2000 파일:미국 국기.svg
Unbridled
Toussaud
NOBLE IDEA
2000 파일:미국 국기.svg
DEPUTY MINISTER
SOWN


3. 생애[편집]




3.1. 2015년[편집]


2013년 3월 11일에 명마목장에서 태어났다. 2015년 9월 19일에 데뷔해서 우승하며 미승리전을 탈출, 국5등급으로 승격하였다. 그리고 이어진 국5 경주에서도 6마신차로 우승하며 2연승을 달성했다. 2015년 11월 29일에 2세마 대상경주인 브리더스컵에 출전했다. 6위권에 위치해 있던 천지스톰은 결승선을 향한 직선주로에서 뒷심을 발휘하지 못하며 8위로 들어왔다. 당시 브리더스컵 우승은 파워블레이드가 부경의 반지의제왕을 2.5마신 차이로 꺽으며 우승했다.


3.2. 2016년[편집]


2개월 뒤인 1월 2일 국4등급 1400m 경주에 출전하여 우승하였다. 그러나 1월 30일에 다시 한번 경주를 이어갔는데, 이때는 직전 경주에서 2위를 했었던 황룡비상이 패배를 설혹하면서 우승하였고, 천지스톰은 2위로 들어왔다. 그리고 3월 5일에 처음으로 중거리 경주에 출전하면서 3위를 기록했으며, 5월 15일에 삼관경주인 코리안더비에 출마했다. 천지스톰은 초반에 선입마들보다 뒤인 10위권 안팎인 추입포지션을 잡았다. 그리고 중반이후부터 서서히 올라오며 6위권까지 도약했으나, 결승선을 향한 직선주로에서 앞선에 달려가던 말들을 잡기에는 역부족이어서 6위로 들어왔다. 더비를 우승했던 파워블레이드와 2위인 제타바이트의 마신차는 3마신이었고 3위인 스텔스와는 9마신이었기 때문에 천지스톰은 대차로 패배하였다.

2016년 일간스포츠배 경주

코리안더비 이후 국3등급 중거리 경주에 출전하여 우승하였다. 이후 7월 31일 국산 오픈경주인 일간스포츠배에 출마했다. 당시 일간스포츠배는 레이팅 80이하의 출전마들이 경쟁하는, 최대 2등급 이하 마필들의 대상경주였다. 천지스톰은 초반 스타트가 빠른 말은 아니기 때문에 6위 정도에 순위에서 시작했는데, 이후 1코너를 넘어 2코너에서 속도를 내며 선두권까지 붙어 선입포지션을 잡았다. 천지스톰은 터치플라잉을 반마신 차이로 따라가며 압박했다. 그러나 결승선을 향하는 직선주로에서 선행이었던 터치플라잉이 근성을 발휘하며 차이를 더 벌렸는데, 천지스톰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며 3마신 차이로 패하였다.

일간스포츠배에서 준우승을 한 천지스톰은 9월 10일에 HRI 트로피 특별경주에 출전했다. HRI 트로피 특별경주는 레이팅 85이하의 말들이 출전하는 대회로, 국내 1등급 하위말까지 출전할 수 있는 대회였다. 천지스톰은 이 경주에서 가속불패와 선행다툼을 가졌고 3코너 이후부터 선두를 탈환 그대로 달아나며 2위인 골드홀릭을 15마신 차이로 우승하였다. 압도적인 우승이었기 때문에 당시 레이팅 70이었던 천지스톰은 85를 부여받으며 1등급 마필로 승격하였다.

11월 13일에 대통령배에 출전했다. 국산마 한정 GI 경주이지만, 당시 라인업에는 부경의 트리플나인이 대통령배 2연패를 노리고 있었다. 또한 제이에스홀드이후 삼관마가 된 파워블레이드도 출전했었고, 석세스스토리, 제타바이트 등에 말들이 등록했었다. 천지스톰은 1등급 최상위 마필들과 경쟁한 적이 이전까지 없었지만 단승 16.6배로 4번 인기를 받았다. 그러나 경기내내 6위권에 머물면서 무언가를 보여주지 못하고 무기력하게 패하였다.


3.3. 2017년[편집]


2017년 서울마주협회장배 영상

2월 12일에 중거리 경주에 출전하여 우승하였다. 그러나 이후 단거리 대상경주인 서울마주협회장배에 출전했다. 천지스톰은 후방에서 위치를 잡아 추입으로 레이스를 전개했으며, 마지막 직선에서 대단한 뒷심을 보여주며 선행이었던 올웨이즈위너를 매섭게 추격했지만 반마신 정도 올웨이즈위너가 앞서며 우승하지 못했다. 마주협회장배 준우승 이후 챔피언십시리즈에 해당하는 1등급 경주에 출전하여 3위를 기록했고, 11월 26일에는 1등급 단거리 경주에 출전하여 우승하였다. 이때 최강실러와 같은 강자들이 있었는데, 천지스톰은 추입으로 경주하여 마지막 직선주로에서 선두마들을 모두 추월하며 2마신차로 우승하였다.


3.4. 2018년[편집]


2018년 세계일보배 영상

단거리에서 계속 성적이 괜찮게 나오자, 2018년에 세계일보배에 처음 출전했다.서울마주협회장배를 우승했던 올웨이즈위너와 2017년 더비마인 파이널보스. 시티스타 등이 출전했다. 올웨이즈위너가 단독 선행을 갔으며, 천지스톰과 파이널보스, 시티스타는 중단보다 조금 아래에서 경주를 전개했다. 이후 결승선을 향한 직선주로에서 올웨이즈위너가 도망치는 가운데, 천지스톰과 파이널보스 시티스타가 추격하였는데, 100m 지점을 남겨두고 3마리가 동시에 올라오며 선두로 달리던 올웨이즈위너를 추월하고 우승을 다퉜다. 파이널보스가 우승했으며, 시티스타와 천지스톰은 목차이로 패하였다.

천지스톰 서울마주협회 장배 우승

세계일보배 3위이후 3월 초에 개최되는 서울마주협회장배에 출전했다. 세게일보배에서 4강을 이루었던 파이널보스, 올웨이즈위너, 시티스타도 출전을 예고하며 주목받았다. 그러나 파이널보스는 경주를 앞두고 왼쪽 앞다리에 문제가 발생하며 출전을 취소하였다. 라온매직과 올웨이즈위너가 선행다툼을 했으며 천지스톰이 이번에는 선입으로 경주를 전개했다. 시티스타는 조금 뒤에서 뒤따라갔다. 그리고 결승선 직선주로에서 천지스톰이 선행하던 라온매직을 추월하며 도망갔는데, 외곽에 있던 시티스타가 추격했지만 2.5마신 차로 천지스톰이 우승하였다. 커리어 통산 첫 대상경주 우승이었다.

서울마주협회장배 이후 Road to Gi 챔피언십에 해당하는 1등급 중거리 경주에 출전하여 우승하였다. 그리고 커리어 사상 처음으로 부경원정을 떠나 부산광역시장배에 출전하였다. 천지스톰은 3위권을 사수하며 선입으로 경주를 했지만 청담도끼가 도망가는 것을 잡지 못하며 패하였다. 이후 코리아컵에 출전했으나 일본에서 원정온 런던타운을 상대로 인상적인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고, 이후 대통령배에서도 7위를 기록하며 부진하였다.


3.5. 2019년~2020년[편집]


1월에 개최되는 세계일보배에 출전등록을 하였다. 그러나 서울에 경주마인 마스크가 우승했고 천지스톰은 6위로 부진했다. 이후 서울마주협회장배 부산광역시장배에 출전하며 작년과 비슷한 행보를 가졌지만 모두 착순권에 들지 못하며 작년과 같은 경쟁력을 보여주지 못했다. 이후 2020년에 3번째로 세계일보배에 도전했지만 심장의고동이 우승했고 천지스톰은 9위로 들어오며 경쟁력을 상실했음을 다시 한번 증명하였다. 이 경주를 끝으로 은퇴하였다.


4. 종마생활[편집]


은퇴이후 본인이 태어났던 명마목장으로 돌아가서 씨수말 생활을 이어나가고 있다. 천지스톰은 현재 어드마이어 돈 자마중 한국에서 씨수말로 활동하는 유일한 말이다.


5. 여담[편집]


  • 은퇴이후 명마목장&명선목장에서 천지스톰이 자마를 낳았는데, 해당 목장 인스타그램에서 새끼와 함께 사진이 올라왔었다.링크

6.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경기명그레이드트랙순위기수1위
(2위)
2015년 (2세)
9.19서울국6등급1200m1위신형철(수성캡틴)
10.25서울국5등급1400m1위(에어즈락)
11.29서울브리더스컵GIII1400m8위파워블레이드
2016년 (3세)
1.2서울국4등급1400m1위신형철(황룡비상)
1.30서울국4등급1400m2위황룡비상
3.5서울국3등급1700m3위대건이
5.15서울코리안더비GI1800m6위함완식파워블레이드
6.26서울국3등급1700m1위이상혁(삼봉)
7.31서울일간스포츠배L1800m2위터치플라잉
9.10서울HRI 트로피특별2000m1위김혜선(골드홀릭)
11.13서울대통령배GI2000m6위함완식트리플나인
2017년 (4세)
2.12서울1등급1800m1위문세영(삼봉)
3.12서울서울마주협회장배GIII1200m2위김용근올웨이즈위너
4.30서울1등급챔피언십시리즈1800m3위문세영아름다운동행
11.26서울1등급1200m1위페로비치(다이샨)
2018년 (5세)
1.28서울세계일보배L1200m3위페로비치파이널보스
3.11서울서울마주협회장배GIII1200m1위조재로(시티스타)
4.29서울1등급Road to GI 챔피언쉽1800m1위빅투아르(삼성불패)
7.1부경부산광역시장배GII1800m2위청담도끼
9.3서울코리아컵GI1800m6위런던타운
11.4서울대통령배GI2000m7위김동수트리플나인
12.22서울1등급1800m6위위너골드
2019년 (6세)
1.27서울세계일보배L1200m6위최범현마스크
3.17서울서울마주협회장배GIII1200m9위실버울프
6.30부경부산광역시장배GII1800m10위함완식돌콩
12.1서울1등급1800m8위티즈플랜
2020년 (7세)
1.19서울세계일보배L1200m9위박을운심장의고동

'''파일:krawci.png {{{#fff 서울마주협회장배

(GII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color:#fff"
[ 펼치기 · 접기 ]
>>
1993
쇼파라
1994
거창
2000m 경주거리로 변경
1995
한빛
1996
아침누리 >

1997
블랙킹

1998
풀그림

1999
울프사일런서
2000
비산
2001
포트오먼 >

2002 ·2003
부움
그레이드제 도입으로 GIII으로 승격
2004
자비스
2005
섭서디 >

2006
워로마

2007
과천룰러

2008
새로운비술

2009
동반의강자
암말경주
2010
세런디퍼
2011
깍쟁이
1400 거리변경/암수혼합
2012
천운암말
2013
지금이순간 >

2014
조이럭키암말
1200 거리변경
2015
남해대왕
2016
해마루 >

2017
올웨이즈위너

2018
천지스톰

2019
실버울프
2020
이스트제트
2021
라온더파이터 >

2022
블랙머스크

2023
쏜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