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기야마 유마

덤프버전 :

카기야마 유마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역대
[ 펼치기 · 접기 ]
하계 올림픽
19081908 런던파일:스웨덴 국기.svg 리샤르드 요한슨19201920 안트베르펀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안드레아스 크로그
동계 올림픽
1회1924 샤모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2회1928 생모리츠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
3회1932 레이크플래시드파일:스웨덴 국기.svg 일리스 그라프스트룀4회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에른스트 바이어
5회1948 생모리츠파일:스위스 국기.svg 한스 게르슈빌러6회1952 오슬로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헬무트 자입트
7회1956 코르티나담페초파일:미국 국기.svg 로널드 로버트슨8회1960 스쿼밸리파일:체코 국기.svg 카롤 디빈
9회1964 인스브루크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칼마10회1968 그르노블파일:미국 국기.svg 티모시 우드
11회1972 삿포로파일:소련 국기.svg 세르게이 체트베루힌12회1976 인스브루크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코발료프
13회1980 레이크플래시드파일:동독 국기.svg 얀 호프만14회1984 사라예보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라이언 오서
15회1988 캘거리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라이언 오서16회1992 알베르빌파일:미국 국기.svg 폴 와일리
17회1994 릴레함메르파일:캐나다 국기.svg 엘비스 스토이코18회1998 나가노파일:캐나다 국기.svg 엘비스 스토이코
19회2002 솔트레이크시티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20회2006 토리노파일:스위스 국기.svg 스테판 랑비엘
21회2010 밴쿠버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22회2014 소치파일:캐나다 국기.svg 패트릭 챈
23회2018 평창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쇼마24회2022 베이징파일:일본 국기.svg 카기야마 유마
25회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26회?파일:국기.svg ?
* 1912년 올림픽에는 종목으로 추가되어있지 않았고, 1916년 올림픽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
1940년과 1944년 올림픽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됨.
* 1994년 릴레함메르 올림픽부터 동하계 올림픽 개최 주기가 2년마다 번갈아 열림.

{{{-3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금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c0c0; font-size: 1em;"
은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d7f32; font-size: 1em;"
동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
역대
[ 펼치기 · 접기 ]
22회2014 소치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제레미 애봇, 제이슨 브라운
애슐리 와그너, 그레이시 골드
마리사 카스텔리 / 시몬 스나필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23회2018 평창파일:미국 국기.svg 미국네이선 첸, 아담 리폰
브래디 테넬, 미라이 나가수
알렉사 시메카 / 크리스 니어림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24회2022 베이징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우노 쇼마, 카기야마 유마
히구치 와카바, 사카모토 카오리
미우라 리쿠 / 키하라 류이치
코마츠바라 미사토 / 티모시 콜레토
25회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
?
?
?
* 단체전은 2014 소치 동계올림픽부터 추가됨.

{{{-3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금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c0c0; font-size: 1em;"
은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d7f32; font-size: 1em;"
동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카기야마 유마
鍵山(かぎやま 優真(ゆうま | Yuma Kagiyama
파일:0D72D8BA-38FD-4EA8-ABCE-F00FEAEACC0B.jpg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은메달 획득 당시
출생2003년 5월 5일 (21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

학력세이사고쿠사이고등학교
추쿄대학교 체육학부
종목피겨 스케이팅
신체160cm
코치카기야마 마사카즈[1], 카롤리나 코스트너
소속오리엔탈 바이오
랭킹7위[2]
SNS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2.1. 2018-19 시즌
2.2. 2019-20 시즌
2.3. 2020-21 시즌
2.4. 2021-22 시즌
2.5. 2022-23 시즌
2.6. 2023-24 시즌
3. 기술 및 평가
4. 기록
4.1. 세계신기록
4.2. 득점 이외의 기록
5. ISU 공인 최고점수
6. 프로그램
7. 커리어
8. 기타



1. 개요[편집]


일본피겨 스케이팅 선수.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이다.


2. 선수 경력[편집]



2.1. 2018-19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3A, 3F / 3Lz+3T
프리3A+2T, 3A, 3F, 3Lo / 3F+3T, 3Lz, 2A+1Eu+3S
아시안 트로피 주니어 부문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만 15세에 주니어 그랑프리 4차 2018 JGP 캐나다에서 4위를 하며 주니어 그랑프리 데뷔를 했다. 이어진 주니어 그랑프리 7차 2018 JGP 아르메니아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8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서 5위, 2018 전일본선수권에서 6위를 기록했다. 이후 챌린지 컵에 시니어 부문으로 참가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2.2. 2019-20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4T, 3A / 3Lz+3T
프리4T+2T, 3Lo, 4T, 3A+1Eu+3S / 3F+3T, 3Lz, 3A

주니어 그랑프리 1차 2019 JGP 프랑스에 출전해 총점에서 세계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이어진 주니어 그랑프리 5차 2019 JGP 폴란드에서는 주니어 남자싱글 최초로 프리 160점 돌파, 총점 240점을 돌파하며 세계신기록을 작성했지만, 뒷 순번인 다닐 삼소노프가 다시 세계신기록을 경신해버려 은메달에 그쳤다. 두 대회의 결과로 파이널에 진출했다. 파이널에 앞서 2019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서 우승했다. 그러나 2019-20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쇼트와 프리 모두 부진하며 4위를 기록해 메달은 따지 못했다.

2019 전일본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따며 첫 내셔널 포디움에 들었다. 2020 로잔 청소년 동계올림픽에 출전하여 개인전에서 우승하였고, 단체전에서는 개인 1위&팀 2위를 기록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2020 사대륙선수권에서는 동메달, 2020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3. 2020-21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4S+3T, 4T / 3A
프리4S, 4T+3T, 3F, 4T / 3A+1Eu+3S, 3Lz+3Lo, 3A

시즌 초반 지역예선에 출전했다. 2020 NHK 트로피에 출전하여 시니어 그랑프리 데뷔를 하였고, 이 대회에서 우승했다. 2020 전일본선수권에서는 작년과 동일하게 동메달을 획득했다. 첫 출전한 2021 세계선수권에서는 쇼트, 프리, 총점 모두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며 은메달을 땄다.


2.4. 2021-22 시즌[편집]



2.4.1. 그랑프리 시리즈~2021 전일본선수권[편집]


점프 구성
쇼트4S, 4T+3T / 3A
프리4S, 4Lo, 4T, 3A+3T / 4T+1Eu+3S, 3F+3Lo, 3A
2021 아시안 오픈 트로피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그랑프리 2021 그란 프레미오 디'이탈리아2021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에서 모두 우승했다. 따라서 그랑프리 파이널에 직행하였으나 대회가 취소되었다. 2021 전일본선수권에서는 하뉴 유즈루우노 쇼마에 이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올림픽 출전권을 얻었다.


2.4.2.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편집]


파일:카기야마 베이징 쇼트.webp파일:카기야마 베이징 프리.jpg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단체전 프리 스케이팅 경기에 출전하여 동계올림픽 사상 최초로 쿼드러플 룹 점프를 랜딩한 것을 포함한 모든 요소를 클린하며 참가한 선수들 중 1위에 올라, 쇼트 프로그램에서 선전한 히구치 와카바와 더불어 일본 팀의 선전에 큰 기여를 했고 팀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인전 쇼트 경기에서도 선전을 이어가며 클린, 108.12점을 받아 개인 최고점을 경신했다. 프리에서는 단체전에 비해 약간의 실수가 있었지만 202.03점을 받았다. 총점 310.15점을 받아 은메달을 획득했다.


2.4.3. 2022 세계선수권[편집]


쇼트 경기에서 트리플 악셀의 랜딩이 불안하였다. 쇼트 점수 105.69점을 받았다. 프리 경기에서는 쿼드러플 룹 점프에서 회전수가 모자라면서 투풋 랜딩으로 처리했고, 후반부 트리플 플립 + 트리플 룹 컴비네이션 점프에서 트리플 룹 점프를 더블 토룹으로 처리했고, 트리플 악셀은 회전이 풀리면서 싱글 악셀로 처리했다. 프리 점수 191.91점을 기록했고, 최종 297.60점을 받아 작년 2021 세계선수권과 동일하게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2.5. 2022-23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4S, 3F+3Lo / 3A
프리4S+3T[추정], 4S, 3Lo, 3A+2A+SEQ / 3A, 3Lz+1Eu+3S, 3F
부상으로 인하여 그랑프리 시리즈를 스킵한다고 발표했다.

2022-23 전일본선수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3F+3Lo에서 스텝 아웃을 했고 3A을 싱글링 하며 무효 처리되어 81.39점을 받았다. 프리에선 두 번의 4S 중에서 첫 점프에선 넘어졌고 두 번째 점프에선 스텝 아웃을 하여 REP 처리가 되었고 3A+2A+SEQ의 3A에서 쿼터 판정, 3Lz+1Eu+3S의 후속 점프를 더블링 하며 156.44점을 받아 총점 237.83점으로 8위를 기록했다.


2.6. 2023-24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4S, 3Lz+3T / 3A
프리4S, 4T+1Eu+3S, 3Lo, 3A+2A+SEQ / 3F+2T, 3Lz, 3F

시즌 첫 번째 대회로 B급 대회인 2023 CS 롬바르디아 트로피에 출전했다. 쇼트에서 4S와 3A를 모두 성공시켰지만, 3Lz+3T에서 오버턴을 하여 91.47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4T+1Eu+3S에서 컴비네이션을 연결하지 못한 것을 제외하면, 비점프 요소와 스텝에서도 레벨 4를 포함하여 모두 높은 가산점을 챙기는 등 전체적으로 좋은 수행을 펼쳐 174.12점을 받았다. 합계 265.59점으로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2023 그랑프리 드 프랑스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모든 요소를 클린하며 97.91점을 받았다.


3. 기술 및 평가[편집]


4S[3][4]4T[5][6]
점프 요소와 비점프 요소를 모두 골고루 갖추고 있어 향후 남자 싱글을 이끌어갈 선수로 촉망받고 있다. 탄력이 매우 좋은 점프를 구사하며 무엇보다 랜딩 시 무릎 사용을 굉장히 잘 한다는 평을 많이 받고, 고난도 점프의 컨시도 좋은 편이다. 스케이팅 스킬이 매우 좋지만, 그에 비해 스텝 레벨은 종종 놓치는 편이다. 스핀에 있어서도 호평을 많이 받고 있다. 쿼드러플 룹[7] & 쿼드러플 살코 & 쿼드러플 토룹 점프를 구사하고 있으며 4회전 러츠를 연습하고 있다.

그러나 점프 도약 시 질이 좋은 편은 아니며, 러츠 엣지가 올바르지 않은 플러쳐로 종종 어텐션과 롱엣지 판정을 받는다. 동시에 플립의 엣지도 불안정해 간간이 어텐션 판정을 받는다. 다만 플립 점프의 경우, 2021-22 시즌부터 엣지가 나아져서 엣지 판정을 받는 경우는 드물다.


4. 기록[편집]



4.1. 세계신기록[편집]


  • 2018-19 시즌 새로운 GOE 채점제가 실시된 이후 3개의 주니어 세계신기록을 세웠다.
주니어 남자 싱글 총점 기록
날짜점수대회비고
2019.09.21245.352019 JGP 폴란드총점 240점을 넘은 최초의 주니어 남자 선수.
같은 날 다닐 삼소노프에 의해 다시 경신.
2019.08.24234.872019 JGP 프랑스2019년 9월 21일 본인이 다시 경신.
주니어 남자 싱글 프리 기록
날짜점수대회비고
2019.09.21160.632019 JGP 폴란드프리 160점을 넘은 최초의 주니어 남자 선수.
같은 날 다닐 삼소노프에 의해 다시 경신.


4.2. 득점 이외의 기록[편집]


  • 동계올림픽에서 쿼드러플 룹 점프를 성공한 최초의 선수[8]
  • 쿼드러플 룹 점프를 성공한 8번째 선수[9]
  • 프리 200점을 넘은 7번째 선수[10]


5. ISU 공인 최고점수[편집]




6. 프로그램[편집]


시즌쇼트(SP)프리(FS)갈라(EX)
2023-2024Believer
by Imagine Dragons
Rain, In Your Black Eyes
by Ezio Bosso
Werther
by 쥘 마스네
2022-2023Underground
by 코디 프라이
2021-2022When You’re Smiling
by 마이클 부블레
글래디에이터 OST
• Gladiator Rhapsody
• I Gladiatore
• Not Yet
• Nelle Tue Mani
by 한스 짐머
明日へ(내일로)
by MISIA
모래 그릇 OST
• 宿命(숙명)
by 센쥬 아키라
Vocussion
by 실크로드 앙상블
2020-2021Vocussion
by 실크로드 앙상블
아바타 OST
• Jake Enters His Avatar World
• The Bioluminescence of the Night
• Gathering All the Na'vi Clans for battle
by 제임스 호너
Take Five
by 폴 데스몬드
반지의 제왕 OST
by A.R.Rahman
2019-2020모래 그릇 OST
• 宿命(숙명)
by 센쥬 아키라
터커 OST
• Speedway
• The Trial
• Toast of the Town
by 조 잭슨
Uptown Funk
by 브루노 마스
Bombom
by Macklemore, Ryan Lewis
2018-2019마스크 OST
• Let The Good Times Roll
by Fishbone
료마전 OST
• Suite From Ryomaden
by 사토 나오키
-
2017-2018매트릭스 3: 레볼루션 OST
• Navras
by 돈 데이비스
발레 ‘불새’ 中
by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7. 커리어[편집]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대표로 참가한 대회
파일:오륜기(여백X).svg 올림픽
은메달2022 베이징남자 싱글
동메달2022 베이징단체전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은메달2021 스톡홀름남자 싱글
은메달2022 몽펠리에남자 싱글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동메달2020 서울남자 싱글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그랑프리 파이널
동메달2023-24 베이징남자 싱글
파일:청소년 올림픽 로고.svg 청소년 올림픽
금메달2020 로잔남자 싱글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은메달2020 탈린남자 싱글
파일:오륜기.svg Mixed-NOCs 대표로 참가한 대회
파일:청소년 올림픽 로고.svg 청소년 올림픽
은메달2020 로잔단체전

국제대회:시니어
대회12–1313–1414–1515–1616–1717–1818–1919–2020–2121–2222–2323–24
올림픽2nd
세계선수권2nd2nd
사대륙선수권3rd
GP 파이널C3rd
GP 스케이트 아메리카WD
GP 그랑프리 드 프랑스1stWD3rd
GP 그란 프레미오 디'이탈리아1st
GP 컵 오브 차이나C
GP NHK 트로피1st1st
CS 롬바르디아 트로피1st
아시안 오픈 트로피1st
챌린지 컵2nd
국제대회:주니어
청소년 올림픽1st
주니어 세계선수권2nd
JGP 파이널4th
JGP 폴란드2nd
JGP 프랑스1st
JGP 아르메니아2nd
JGP 캐나다4th
아시안 트로피1st J
국내대회
전일본선수권6th3rd3rd3rd8th
전일본 주니어선수권11th12th5th1st
전일본 노비스선수권7th B6th B14th A4th A
동일본선수권8th2nd J1st J1st J2nd
도쿄 지역예선1st
간토 지역예선1st B1st B1st A1st A3rd J1st J2nd J1st J1st1st
단체전
올림픽3rd T
1st P
청소년 올림픽2nd T
1st P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WD=기권
T=팀 결과,P=개인 결과, J=주니어, A/B=레벨, C=취소


8. 기타[편집]



[1] 유마의 아버지이자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올림픽 2회 출전, 전일본선수권 3연패, 1989 주니어 세계선수권 동메달 등의 경력이 있다. 다만 현재는 뇌졸중을 앓고 있어 국내 대회와 일부 국제 대회에만 같이 동행하며, 대부분의 국제 대회는 다른 코치가 함께 동행한다. 유마가 어릴 때 이혼해 혼자서 유마를 키웠으며 두 부자의 점프 랜딩이 흡사하다는 평이 많다.[2] 2023년 2월 14일 기준 ISU World Standings 2022/2023 Men[추정] [3]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당시 가산점(GOE) 4.43[4] 당시 기술점(TES) 14.13[5] 2022 세계선수권 당시 가산점(GOE) 4.07[6] 당시 기술점(TES) 13.57[7] 회전수는 인정받았으나 오버턴을 하여 아직 깔끔한 성공은 하지 못했다.[8]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단체전 프리 스케이팅에서 성공.[9] 하뉴 유즈루 - 우노 쇼마 - 네이선 첸 - 다니엘 그라슬 - 알렉세이 크라스노존 - 마카르 이그나토프 - 일리야 야블로코프 - 본인 순.[10] 하뉴 유즈루 -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 패트릭 챈 - 네이선 첸 - 진보양 - 우노 쇼마 - 본인 순. GOE 채점제 개정 후부터 하면 네이선 첸 - 하뉴 유즈루 이후 3번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12:38:02에 나무위키 카기야마 유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