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정치/남구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항시/정치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남구(포항)


1. 선거구 개요
2. 지역 특성
3. 역대 선거 결과
3.1. 지방선거
3.2. 대선
3.3. 총선


1. 선거구 개요[편집]


파일:포항시 CI.svg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국회의원도의원지역
포항시
남구·울릉군
포항시6남구 구룡포읍, 동해면, 장기면, 호미곶면, 해도동, 송도동, 청림동, 제철동
포항시7남구 연일읍, 대송면, 상대동
포항시8남구 오천읍
포항시9남구 효곡동, 대이동


2. 지역 특성[편집]


포스코 사원 주택단지가 있고, 포스코 본사 근무 인원, 연구원, 생산직 근로지와 그 가족들과 포스텍 교수진들, 대학생을 포함한 외지인들이 주로 거주하는 제철동, 효곡동 등은 국민의힘 계열 보수 정당 표가 대경권 지역에서는 제일 적게 나오는 곳이다. 그래서 구미시, 김천혁신도시, 칠곡군 석적읍과 같이 그나마 민주당 표심이 나오는 지역으로 꼽힌다. 실제로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문재인 후보가 남구의 일부 동에서 이기기도 했다.

다만 구룡포 등 외곽 지역은 말 그대로 보수의 아성으로 탄핵 여파가 있었던 제19대 대통령 선거와 그 뒤에 치른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시기를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보수정당이 80% 이상 득표하며, 일부 선거에선 90% 이상 득표하기도 했다.

국회의원 선거구는 하나가 맞는데, 인구가 별로 없는 울릉군과 합쳐서 한 명을 뽑는다. 북구의 인구와 울릉군의 인구를 합치면 단일 선거구의 인구 기준선인 28만명을 초과해 버리기 때문에 생긴 고육지책으로 보인다. 원래 이 지역구의 국회의원은 이명박의 형인 이상득이었으나,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을 앞두고 불출마를 선언해 그의 후계자로 추정되는 다른 사람이 공천을 받았었다.

결국 김형태 의원은 단일후보로 어부지리를 노린 민주당의 허대만 후보는 물론, 무려 정장식 전 시장과 박명재 전 장관을 물리친 후 당선되었다. 참고로 새누리당은 김형태에 반발하여 정장식, 박명재 두 사람이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나와버리는 바람에 3:1로 민주당 허대만 후보가 맞섰으나 결과는 "김형태 1위", "민주당 허대만 후보 꼴찌". 괜히 전 대통령 형님이 근 30년 동안 국회의원을 할 수 있었던 게 아니다.

이후 김형태는 당 내외의 비판으로 인해 탈당하여 2013년 1월까지 무소속 의원직을 유지했다가 의원직 상실로 상고심 확정을 받으셨다. 당선될 때부터 재판에 넘겨지고, 당내와 지역여론에서는 사퇴를 중용했으나 끝까지 자리를 버티면서 사실상 식물의원이나 다름없었고, 그 결과 남구는 한동안 국회의원 없이 주요 예산은 모두 북구에 털린다.

이후 치러진 2013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선 새누리당 박명재 후보[1]가 민주당 허대만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으며(투표율 34.9%), 20대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하였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3.1. 지방선거[편집]


8회 지선 남구 개표 결과
경상북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임미애이철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0,195
(22.86%)
68,137
(77.13%)
- 47,942
(▼54.27)
90,434
(45.96%)
구 포항시
득표율9,390
(22.67%)
32,016
(77.32%)
- 22,626
(▼54.64)
42,122
(43.63%)
상대동[A]16.49%83.50%▼67.0039.16
해도동14.46%85.53%▼71.0745.32
송도동12.71%87.28%▼74.5748.46
청림동[B]18.59%81.40%▼62.8045.45
제철동[C]26.28%73.71%▼47.4241.35
효곡동[D]32.57%67.42%▼34.8546.17
대이동[E]30.05%69.94%▼39.8841.53
구 영일군
득표율8,375
(21.65%)
30,306
(78.34%)
- 21,931
(▼56.69)
39,840
(43.45%)
구룡포읍11.88%88.11%▼76.2258.46
연일읍24.42%75.57%▼51.1544.20
오천읍[F]25.87%74.12%▼48.2436.13
대송면15.72%84.27%▼68.5555.80
동해면[G]18.15%81.84%▼63.6854.72
장기면10.25%89.74%▼79.4855.55
호미곶면9.75%90.24%▼80.4860.85
후보임미애이철우격차
거소투표25.89%74.10%▼48.20
관외사전투표29.57%70.42%▼40.85
국회의원
선거구
임미애이철우격차투표율
21.94%78.05%▼56.1044.77
후보임미애이철우격차투표율
동 지역[I]22.67%77.32%▼54.6443.63
읍 지역[J]25.30%74.69%▼49.3938.95
면 지역[K]14.14%85.85%▼71.7056.51
포항시장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유성찬이강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9,969
(22.74%)
67,820
(77.25%)
- 47,851
(▼54.50)
90,447
(45.97%)
구 포항시
상대동[A]16.90%83.09%▼66.1939.15
해도동15.75%84.24%▼68.4845.33
송도동13.56%86.44%▼72.8748.45
청림동[B]18.57%81.42%▼62.8445.48
제철동[C]25.04%74.95%▼49.9041.35
효곡동[D]33.02%66.97%▼33.9446.16
대이동[E]28.90%71.09%▼42.1841.54
구 영일군
구룡포읍11.00%88.99%▼77.9958.46
연일읍23.20%76.79%▼53.5944.21
오천읍[F]26.39%73.60%▼47.2136.15
대송면15.60%84.39%▼68.7955.80
동해면[G]16.86%83.13%▼66.2654.76
장기면10.26%89.73%▼79.4755.52
호미곶면10.81%89.18%▼78.3760.85
후보유성찬이강덕격차
거소투표24.71%75.28%▼50.56
관외사전투표28.68%71.31%▼42.63


3.2. 대선[편집]


20대 대선 남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8,517
(25.55%)
106,712
(70.79%)
- 68,195
(▼45.24)
152,184
(77.06%)
구 포항시
득표율17,750
(24.94%)
51,111
(71.83%)
- 33,361
(▼46.89)
71,693
(76.98%)
상대동[A]19.89%77.13%▼57.2471.81
해도동18.30%78.94%▼60.6473.69
송도동15.82%81.55%▼65.7374.53
청림동[B]23.97%71.74%▼47.7775.89
제철동[C]28.47%67.52%▼39.0580.81
효곡동[D]32.63%63.99%▼31.3683.11
대이동[E]29.93%66.48%▼36.5479.14
구 영일군
득표율16,154
(25.42%)
44,873
(70.63%)
- 28,719
(▼45.20)
64,179
(73.07%)
구룡포읍13.07%84.64%▼71.5674.04
연일읍26.42%69.95%▼43.5376.05
오천읍[F]30.00%65.43%▼35.4469.77
대송면18.34%78.78%▼60.4480.48
동해면[G]21.96%73.92%▼51.9676.10
장기면12.42%83.98%▼71.5675.59
호미곶면14.30%83.55%▼69.2477.53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20.33%73.00%▼52.67
관외사전투표28.19%67.34%▼39.14
재외투표60.73%34.04%△26.69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남구·울릉군[H][지역구]25.10%71.36%▼46.2675.17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동 지역[I]24.94%71.83%▼46.8976.98
읍 지역[J]28.69%67.09%▼38.4071.94
면 지역[K]16.97%79.83%▼62.8676.17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남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허대만김병욱박승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4,257
(34.53%)
71,340
(55.67%)
10,456
(8.16%)
- 27,083
(▼21.14)
130,074
(65.68%)
[ 펼치기 · 접기 ]
구 포항시
득표율22,096
(34.36%)
36,130
(56.19%)
5,155
(8.01%)
- 14,034
(▼21.83)
65,092
(66.54%)
상대동[A]27.95%61.31%9.14%▼33.3661.32
해도동23.62%65.85%8.87%▼42.2362.03
송도동22.08%68.45%8.08%▼46.3764.55
청림동[B]30.16%59.23%8.82%▼29.0664.19
제철동[C]39.44%51.18%6.90%▼11.7469.33
효곡동[D]45.36%47.06%6.49%▼1.7073.91
대이동[E]42.05%48.53%8.11%▼6.4968.97
구 영일군
득표율18,553
(33.70%)
31,128
(56.55%)
4,352
(7.90%)
- 12,575
(▼22.85)
55,927
(61.56%)
구룡포읍18.70%73.38%6.40%▼54.6862.91
연일읍35.66%54.95%8.01%▼19.2965.80
오천읍[F]39.04%50.47%8.33%▼11.4356.90
대송면24.83%66.37%6.81%▼41.5469.90
동해면[G]29.30%61.28%7.46%▼31.9864.55
장기면22.47%69.13%6.39%▼46.6664.52
호미곶면19.52%67.98%10.67%▼48.4671.08
후보허대만김병욱박승호격차
거소·선상투표31.67%48.04%17.79%▼16.37
관외사전투표40.97%46.49%10.66%▼5.52
재외투표63.47%33.04%1.73%△30.43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66,748
(53.70%)
23,591
(18.98%)
8,930
(7.18%)
7,334
(5.90%)
3,868
(3.11%)
+ 43,157
(△34.72)
130,097
(65.67%)
[ 펼치기 · 접기 ]
구 포항시
득표율34,270
(54.70%)
11,763
(18.77%)
4,363
(6.96%)
4,077
(6.50%)
2,060
(3.28%)
+ 22,507
(△35.93)
65,096
(66.55%)
상대동[A]60.67%15.46%5.74%4.58%2.41%△45.2061.33
해도동65.36%14.19%3.94%3.59%1.99%△51.1862.03
송도동68.96%12.05%4.46%3.46%1.48%△56.9064.55
청림동[B]57.25%17.12%5.88%4.80%1.97%△40.1364.19
제철동[C]48.40%21.97%9.12%7.43%3.66%△26.4369.37
효곡동[D]42.92%24.48%9.19%9.74%5.12%△18.4573.92
대이동[E]48.22%21.87%8.90%8.41%4.01%△26.3468.96
구 영일군
득표율28,812
(54.24%)
9,889
(18.61%)
3,786
(7.12%)
2,647
(4.98%)
1,459
(2.74%)
+ 18,923
(△35.63)
55,934
(61.57%)
구룡포읍72.15%9.22%3.41%2.54%1.57%△62.9262.91
연일읍51.79%19.64%8.39%6.17%2.82%△32.1565.80
오천읍[F]48.89%22.24%7.95%5.40%3.15%△26.6556.91
대송면61.74%13.61%4.74%3.11%1.97%△48.1369.90
동해면[G]57.36%15.74%6.44%4.21%2.64%△41.6264.54
장기면68.29%8.99%3.23%2.48%1.90%△59.3064.52
호미곶면69.23%9.97%3.43%2.17%1.59%△59.2671.08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44.86%22.43%6.46%7.22%1.90%△22.43
관외사전투표43.20%22.45%9.19%7.20%4.14%△20.75
재외투표25.98%41.73%12.59%3.93%5.51%▼15.7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남구(포항) 문서의 r4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남구(포항) 문서의 r4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2:50:43에 나무위키 포항시/정치/남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노무현 정부 때 행정자치부 장관을 지냈다.[A] A B C 법정동 도동 + 도동[B] A B C 법정동 청림동·일월동. 해군항공사령부 및 해병대 관사가 있는 동네[C] A B C 법정동 인덕동·호동·장흥동·괴동동·송내동·송정동·동촌동, 포항제철소 및 사택으로 이루어진 동네[D] A B C 법정동 자동 + 지동. 포항공과대학교가 있는 동네[E] A B C 법정동 잠동 + 동. 포항시청이 있는 동네[F] A B C 제1해병사단, 해병대 교육훈련단이 있는 동네[G] A B C 포항경주공항이 있는 동네[I] A B 상대동, 해도동, 송도동, 청림동, 제철동, 효곡동, 대이동 (구 포항시)[J] A B 연일읍, 오천읍 (인구 2만 명 이상 읍·면)[K] A B 구룡포읍,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 호미곶면 (인구 2만 명 미만 읍·면)[H] [지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