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태환

덤프버전 :

황태환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1.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 반지
1982


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
KBO 골든글러브 투수 부문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000000,#E5E5E5 ||<tablewidth=100%> {{{-2 1982}}} ||<width=20%> {{{-2 1983}}} ||<width=20%> {{{-2 1984}}} ||<width=20%> {{{-2 1985}}} ||<width=20%> {{{-2 1986}}} || ||<rowbgcolor=#FFFFFF,#191919> [[황태환|{{{#000000,#E5E5E5 황태환}}}]][br]{{{-2 [[두산 베어스|{{{#000000,#E5E5E5 OB 베어스}}}]]}}} || [[장명부|{{{#000000,#E5E5E5 장명부}}}]][br]{{{-2 [[현대 유니콘스|{{{#000000,#E5E5E5 삼미 슈퍼스타즈}}}]]}}} || [[최동원|{{{#000000,#E5E5E5 최동원}}}]][br]{{{-2 [[롯데 자이언츠|{{{#000000,#E5E5E5 롯데 자이언츠}}}]]}}} || [[김시진|{{{#000000,#E5E5E5 김시진}}}]][br]{{{-2 [[삼성 라이온즈|{{{#000000,#E5E5E5 삼성 라이온즈}}}]]}}} || [[선동열|{{{#000000,#E5E5E5 선동열}}}]][br]{{{-2 [[KIA 타이거즈|{{{#000000,#E5E5E5 해태 타이거즈}}}]]}}} || || {{{-2 1987}}} ||<width=20%> {{{-2 1988}}} ||<width=20%> {{{-2 1989}}} ||<width=20%> {{{-2 1990}}} ||<width=20%> {{{-2 1991}}} || ||<rowbgcolor=#FFFFFF,#191919> [[김시진|{{{#000000,#E5E5E5 김시진}}}]][br]{{{-2 [[삼성 라이온즈|{{{#000000,#E5E5E5 삼성 라이온즈}}}]]}}} || [[선동열|{{{#000000,#E5E5E5 선동열}}}]][br]{{{-2 [[KIA 타이거즈|{{{#000000,#E5E5E5 해태 타이거즈}}}]]}}} || [[선동열|{{{#000000,#E5E5E5 선동열}}}]][br]{{{-2 [[KIA 타이거즈|{{{#000000,#E5E5E5 해태 타이거즈}}}]]}}} || [[선동열|{{{#000000,#E5E5E5 선동열}}}]][br]{{{-2 [[KIA 타이거즈|{{{#000000,#E5E5E5 해태 타이거즈}}}]]}}} || [[선동열|{{{#000000,#E5E5E5 선동열}}}]][br]{{{-2 [[KIA 타이거즈|{{{#000000,#E5E5E5 해태 타이거즈}}}]]}}} || || {{{-2 1992}}} ||<width=20%> {{{-2 1993}}} ||<width=20%> {{{-2 1994}}} ||<width=20%> {{{-2 1995}}} ||<width=20%> {{{-2 1996}}} || ||<rowbgcolor=#FFFFFF,#191919> [[염종석|{{{#000000,#E5E5E5 염종석}}}]][br]{{{-2 [[롯데 자이언츠|{{{#000000,#E5E5E5 롯데 자이언츠}}}]]}}} || [[선동열|{{{#000000,#E5E5E5 선동열}}}]][br]{{{-2 [[KIA 타이거즈|{{{#000000,#E5E5E5 해태 타이거즈}}}]]}}} || [[정명원|{{{#000000,#E5E5E5 정명원}}}]][br]{{{-2 [[현대 유니콘스|{{{#000000,#E5E5E5 태평양 돌핀스}}}]]}}} || [[이상훈(좌완투수)|{{{#000000,#E5E5E5 이상훈}}}]][br]{{{-2 [[LG 트윈스|{{{#000000,#E5E5E5 LG 트윈스}}}]]}}} || [[구대성|{{{#000000,#E5E5E5 구대성}}}]][br]{{{-2 [[한화 이글스|{{{#000000,#E5E5E5 한화 이글스}}}]]}}} || || {{{-2 1997}}} ||<width=20%> {{{-2 1998}}} ||<width=20%> {{{-2 1999}}} ||<width=20%> {{{-2 2000}}} ||<width=20%> {{{-2 2001}}} || ||<rowbgcolor=#FFFFFF,#191919> [[이대진|{{{#000000,#E5E5E5 이대진}}}]][br]{{{-2 [[KIA 타이거즈|{{{#000000,#E5E5E5 해태 타이거즈}}}]]}}} || [[정민태|{{{#000000,#E5E5E5 정민태}}}]][br]{{{-2 [[현대 유니콘스|{{{#000000,#E5E5E5 현대 유니콘스}}}]]}}} || [[정민태|{{{#000000,#E5E5E5 정민태}}}]][br]{{{-2 [[현대 유니콘스|{{{#000000,#E5E5E5 현대 유니콘스}}}]]}}} || [[임선동|{{{#000000,#E5E5E5 임선동}}}]][br]{{{-2 [[현대 유니콘스|{{{#000000,#E5E5E5 현대 유니콘스}}}]]}}} || [[신윤호|{{{#000000,#E5E5E5 신윤호}}}]][br]{{{-2 [[LG 트윈스|{{{#000000,#E5E5E5 LG 트윈스}}}]]}}} || || {{{-2 2002}}} ||<width=20%> {{{-2 2003}}} ||<width=20%> {{{-2 2004}}} ||<width=20%> {{{-2 2005}}} ||<width=20%> {{{-2 2006}}} || ||<rowbgcolor=#FFFFFF,#191919> [[송진우(야구)|{{{#000000,#E5E5E5 송진우}}}]][br]{{{-2 [[한화 이글스|{{{#000000,#E5E5E5 한화 이글스}}}]]}}} || [[정민태|{{{#000000,#E5E5E5 정민태}}}]][br]{{{-2 [[현대 유니콘스|{{{#000000,#E5E5E5 현대 유니콘스}}}]]}}} || [[배영수|{{{#000000,#E5E5E5 배영수}}}]][br]{{{-2 [[삼성 라이온즈|{{{#000000,#E5E5E5 삼성 라이온즈}}}]]}}} || [[손민한|{{{#000000,#E5E5E5 손민한}}}]][br]{{{-2 [[롯데 자이언츠|{{{#000000,#E5E5E5 롯데 자이언츠}}}]]}}} || [[류현진|{{{#000000,#E5E5E5 류현진}}}]][br]{{{-2 [[한화 이글스|{{{#000000,#E5E5E5 한화 이글스}}}]]}}} || || {{{-2 2007}}} ||<width=20%> {{{-2 2008}}} ||<width=20%> {{{-2 2009}}} ||<width=20%> {{{-2 2010}}} ||<width=20%> {{{-2 2011}}} || ||<rowbgcolor=#FFFFFF,#191919> [[다니엘 리오스|{{{#000000,#E5E5E5 리오스}}}]][br]{{{-2 [[두산 베어스|{{{#000000,#E5E5E5 두산 베어스}}}]]}}} || [[김광현|{{{#000000,#E5E5E5 김광현}}}]][br]{{{-2 [[SK 와이번스|{{{#000000,#E5E5E5 SK 와이번스}}}]]}}} || [[아킬리노 로페즈|{{{#000000,#E5E5E5 로페즈}}}]][br]{{{-2 [[KIA 타이거즈|{{{#000000,#E5E5E5 KIA 타이거즈}}}]]}}} || [[류현진|{{{#000000,#E5E5E5 류현진}}}]][br]{{{-2 [[한화 이글스|{{{#000000,#E5E5E5 한화 이글스}}}]]}}} || [[윤석민(투수)|{{{#000000,#E5E5E5 윤석민}}}]][br]{{{-2 [[KIA 타이거즈|{{{#000000,#E5E5E5 KIA 타이거즈}}}]]}}} || || {{{-2 2012}}} ||<width=20%> {{{-2 2013}}} ||<width=20%> {{{-2 2014}}} ||<width=20%> {{{-2 2015}}} ||<width=20%> {{{-2 2016}}} || ||<rowbgcolor=#FFFFFF,#191919> [[장원삼|{{{#000000,#E5E5E5 장원삼}}}]][br]{{{-2 [[삼성 라이온즈|{{{#000000,#E5E5E5 삼성 라이온즈}}}]]}}} || [[손승락|{{{#000000,#E5E5E5 손승락}}}]][br]{{{-2 [[키움 히어로즈|{{{#000000,#E5E5E5 넥센 히어로즈}}}]]}}} || [[앤디 밴 헤켄|{{{#000000,#E5E5E5 밴헤켄}}}]][br]{{{-2 [[키움 히어로즈|{{{#000000,#E5E5E5 넥센 히어로즈}}}]]}}} || [[에릭 해커|{{{#000000,#E5E5E5 해커}}}]][br]{{{-2 [[NC 다이노스|{{{#000000,#E5E5E5 NC 다이노스}}}]]}}} || [[더스틴 니퍼트|{{{#000000,#E5E5E5 니퍼트}}}]][br]{{{-2 [[두산 베어스|{{{#000000,#E5E5E5 두산 베어스}}}]]}}} || || {{{-2 2017}}} ||<width=20%> {{{-2 2018}}} ||<width=20%> {{{-2 2019}}} ||<width=20%> {{{-2 2020}}} ||<width=20%> {{{-2 2021}}} || ||<rowbgcolor=#FFFFFF,#191919> [[양현종|{{{#000000,#E5E5E5 양현종}}}]][br]{{{-2 [[KIA 타이거즈|{{{#000000,#E5E5E5 KIA 타이거즈}}}]]}}} || [[조쉬 린드블럼|{{{#000000,#E5E5E5 린드블럼}}}]][br]{{{-2 [[두산 베어스|{{{#000000,#E5E5E5 두산 베어스}}}]]}}} || [[조쉬 린드블럼|{{{#000000,#E5E5E5 린드블럼}}}]][br]{{{-2 [[두산 베어스|{{{#000000,#E5E5E5 두산 베어스}}}]]}}} || [[라울 알칸타라|{{{#000000,#E5E5E5 알칸타라}}}]][br]{{{-2 [[두산 베어스|{{{#000000,#E5E5E5 두산 베어스}}}]]}}} || ||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1983 KBO 리그 구원왕

{{{#fff [[OB 베어스|OB 베어스]] 등번호 15번}}}
창단황태환
(1982~1989)
최동창
(1991~1993)
{{{#fff [[OB 베어스|OB 베어스]] 등번호 79번}}}
결번황태환
(1990~1991)
송재박
(1992~2017)

파일:external/i65.tinypic.com/35mli4k.jpg
황태환
黃泰煥 | Hwang Tae-hwan
출생1952년 8월 6일 (71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철도고 - 한양대
포지션투수
투타좌투좌타
프로입단1982년 OB 베어스 창단멤버
소속팀철도청 야구단 (1973, 1976)
한국전력 야구단 (1981)
OB 베어스 (1982~1989)
지도자OB 베어스 2군 투수코치 (1990)
OB 베어스 1군 투수코치 (1991)
신일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한양대학교 야구부 코치 (?~2004)
병역육군 경리단 (1974~1975)

1. 개요
2. 선수 경력
3. 은퇴 후
4. 연도별 주요 성적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OB 베어스의 투수.

한국 프로 야구 출범 사상 첫번째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상을 수상하였다.[1]


2. 선수 경력[편집]



철도고를 졸업한 뒤[2], 철도청 야구단에 입단했다가 육군 경리단 야구단에서 군복무를 마친 후, 철도청에 재입단해 뛰다가 1년만에 팀을 나와 24세에 한양대에 입학해 4년을 보낸 특이한 이력이 있다. 한편 1976년에는 네덜란드 하를럼 베이스볼 위크 대회에 출전하는 국가대표팀 투수로 선발되어 한국의 준우승에 기여하기도 했다.

집안 사정 때문에 한양대 졸업을 1년 남기고 중퇴할 뻔했으나, 어지저찌 잘 넘어간 듯 하다.

대학 졸업 후 한국전력에서 선수생활을 하다가 1982년 OB 베어스의 지명을 받아 프로야구 원년의 마운드에 오르게 되었다. 박철순, 조범현, 계형철 등의 선수들과 함께 OB 베어스프로 원년 우승을 이끌었다.

이듬해인 1983년 39게임 2.65 6승 6패 14세이브 105⅓이닝의 호성적을 내며 세이브 1위를 기록한다.

85년에는 특출난 성적을 보이진 못했으나, KBO 역대 최강팀 중 하나로 불리우는 '85 삼성'을 상대로 완봉승을 기록하는 기염을 토하였다.

1986년까지 매해 50이닝에서 90이닝 내지를 소화하며 투수진의 기둥이 되었으나 1987년부터 부진에 빠져 결국 1989년에는 2게임 출장에 그치고 은퇴하게 된다.


3. 은퇴 후[편집]


1990년 OB 2군 투수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 신일고와 모교 한양대에서 코치생활을 했다.


4. 연도별 주요 성적[편집]


  • 붉은 글씨는 리그 1위 기록

역대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승률ERA피안타피홈런4사구탈삼진실점자책점WHIP
1982OB2786⅓6530.5453.867612484243371.31
198339105⅓6614
(1위)
0.5002.6510511456046311.38
198417400200.0002.48363171912111.28
198535974810.3333.53796425042381.23
19862873⅓3330.5002.45697223623201.23
19872865⅔2350.4005.48736212042401.42
19882349⅔0200.0006.52587221138361.59
198921000-0.002011003.00
KBO 통산
(8시즌)
199518⅓2129260.4203.70498522182392462131.34

완투, 완봉기록
연도완투완봉
1982년2완투0완봉
1985년1완투1완봉
1988년1완투0완봉
통산4완투1완봉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2:55:20에 나무위키 황태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연히 원년 골든글러브 수상자는 이 사람이 아닐까 생각이 들겠지만, 원년에 프로야구 골든글러브는 미국의 골든글러브처럼 수비력만으로 골든글러브 수상자를 선정했다. 또한 당시에는 수비율을 기반으로 수상을 했으며 별도의 투표를 하지 않았고 그 주목도 또한 지금의 골든글러브와 같은 위상이던 BEST 10에 비해 미약했다.[2] 1952년 생임에도 1971년 2월이 아닌, 1973년 2월에 졸업했다. 아마도 1년을 유급한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