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누에어

덤프버전 :

[[몽골|

파일:몽골 국기.svg
]] 몽골의 항공사
[ 펼치기 · 접기 ]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파일:미아트 몽골항공 로고.svg파일:에어로 몽골리아 로고.png파일:Hunnu air logo.png
미아트 몽골항공에어로 몽골리아훈누에어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이즈니스 항공
화물 항공사
Cargo Airline
파일:299917148_542143840984185_7054604965984227882_n.jpg
에어카고 몽골리아
없어진 항공사
Defunct Airline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한가드 항공


훈누에어
Хүннү Эйр
Hunnu Air
파일:Hunnu air logo.png
부호항공사 호출부호 (TRANS MONGOLIA)
IATA (MR), ICAO (MML)
항공권 식별 번호289
설립 연도2011년 9월 2일
허브 공항칭기즈 칸 국제공항
포커스 시티바이칼 국제공항
보유 항공기 수3
취항지 수9
항공 동맹미가입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노선
2.1. 국내선
2.2. 국제선
3.1. 이전 보유 기종
4. 여담



1. 개요[편집]


몽골의 항공사다. 2013년에 미아트 몽골항공와의 혼동을 막기 위해, 몽골리안 항공(Mongolian Airlines)에서 지금의 훈누에어로 명칭이 바뀌었다.


2. 노선[편집]


국내선은 보얀트 오하 국제공항, 국제선은 칭기즈 칸 국제공항에서 출발한다.


2.1. 국내선[편집]


출발지도착지
도시공항
보얀트 오하 국제공항달란자드가드달란자드가드 공항
호브드호브드 공항
무론무론 공항
울란곰울란곰 공항


2.2. 국제선[편집]


출발지도착지
국가도시공항
칭기즈 칸 국제공항
파일:중국 국기.svg

후룬베이벌후룬배이벌 헤일러 공항
하얼빈하얼빈 타이핑 국제공항
만저우리만저우리 쟈오 국제공항
파일:러시아 국기.svg

울란우데바이칼 국제공항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알마티알마티 국제공항

이 외에도 현재 동아시아을 중심으로 전세편을 운항하고 있다.

2.2.1. 대한민국 노선[편집]


울란바토르청주 노선과 제주 노선, 무안 노선 등 한국 내 여러 공항에 전세편을 보내왔지만 아직 정기편은 없는 상태다.


3. 보유 기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훈누에어/보유 기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Hunnu air logo.png
보유기종
기종대수
E190-1002
ATR 42-5001
총합3


3.1. 이전 보유 기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훈누에어/보유 기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여담[편집]


  • 위 문단에서 언급한 거 처럼 창립 이후부터 꾸준히 한국에 전세기를 띄우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2 01:53:00에 나무위키 훈누에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