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대한민국 메르스 유행/경과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15년 대한민국 메르스 유행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2. 6월 1일~6월 10일
2.3. 6월 11일~6월 20일
2.4. 6월 21일~6월 30일
2.5. 7월 1일~7월 10일
2.6. 7월 11일~7월 20일
2.7. 7월 21일~7월 31일


1. 개요[편집]


[ 펼치기 · 접기 ]
날짜누적 감염자누적 사망자사망자 비율누적 완치자격리 대상자비고
5월 20일2명(+2)0명0.0%0명3명최초 감염
5월 21일3명(+1)0명0.0%0명64명
5월 26일5명(+2)0명0.0%0명61명
5월 28일7명(+2)0명0.0%0명127명
5월 29일13명(+6)0명0.0%0명129명
5월 30일15명(+2)0명0.0%0명462명
5월 31일18명(+3)0명0.0%0명715명
6월 1일25명(+7)2명(+2)8.0%0명789명첫 사망
6월 2일30명(+5)2명6.7%0명1,364명3차 감염 확인
6월 3일30명3명(+1)10.0%0명1,667명
6월 4일36명(+6)4명(+1)11.1%0명1,820명
6월 5일42명(+6)5명(+1)11.9%1명(+1)1,866명첫 완치 퇴원
6월 6일64명(+22)5명7.8%1명2,361명
6월 7일87명(+23)5명5.7%1명2,508명
6월 8일95명(+8)7명(+2)7.4%2명(+1)2,892명
6월 9일108명(+13)7명6.5%3명(+1)3,439명
6월 10일122명(+14)9명(+2)7.4%4명(+1)3,805명
6월 11일126명(+4)10명(+1)7.9%7명(+3)3,680명
6월 12일138명 (+12)13명(+3)9.4%9명(+2)4,014명
6월 13일145명 (+7)14명(+1)9.7%10명(+1)4,856명4차 감염 확인
6월 14일150명 (+5)16명(+2)10.7%14명(+4)5,216명
6월 15일154명 (+4)18명(+2)11.7%17명(+3)5,586명
6월 16일162명 (+8)19명(+1)11.7%19명(+2)6,508명
6월 17일164명 (+2)22명 (+3)13.4%24명(+5)6,729명
6월 18일166명 (+2)23명 (+1)13.9%30명(+6)5,930명
6월 19일166명24명 (+1)14.5%36명(+6)5,197명
6월 20일169명 (+3)25명 (+1)14.8%43명(+7)4,035명
6월 21일172명 (+3)26명 (+1)15.1%50명(+7)3,833명
6월 22일175명 (+3)27명 (+1)15.4%54명(+4)2,805명
6월 23일179명 (+4)27명15.1%67명(+13)3,103명
6월 24일180명 (+1)29명 (+2)16.1%74명(+7)2,642명
6월 25일181명 (+1)31명 (+2)17.1%81명(+7)2,931명
6월 26일182명(+1)31명17.0%90명(+9)2,467명
6월 27일182명32명(+1)17.6%91명(+1)2,562명
6월 28일182명32명17.6%93명(+2)2,682명
6월 29일182명33명(+1)18.1%95명(+2)2,638명
6월 30일182명33명18.1%97명(+2)2,451명
7월 1일183명(+1)33명18.0%102명(+5)2,238명
7월 2일184명(+1)33명18.0%109명(+7)2,067명
7월 3일185명(+1)33명17.8%111명(+2)1,434명
7월 4일186명(+1)33명17.7%116명(+5)982명
7월 5일186명33명17.7%117명(+1)907명
7월 6일186명33명17.7%118명(+1)674명
7월 7일186명34명(+1)18.2%119명(+1)811명
7월 8일186명35명(+1)18.8%120명(+1)689명
7월 9일186명35명18.8%125명(+5)566명
7월 10일186명36명(+1)19.4%128명(+3)513명[a]
7월 11일186명36명19.4%130명(+2)485명
7월 12일186명36명19.4%130명451명
7월 13일186명36명19.4%131명(+1)410명
7월 14일186명36명19.4%132명(+1)322명
7월 15일186명36명19.4%133명(+1)258명
7월 16일186명36명19.4%134명(+1)155명
7월 17일186명36명19.4%135명(+1)98명
7월 18일186명36명19.4%136명(+1)68명
7월 19일186명36명19.4%136명22명
7월 20일186명36명19.4%136명5명[b]
7월 21일186명36명19.4%137명(+1)3명
7월 22일186명36명19.4%138명(+1)3명
7월 23일
~
7월 26일
186명36명19.4%138명1명
7월 27일186명36명19.4%138명0명
7월 28일186명36명19.4%138명1명
7월 29일186명36명19.4%138명10명
7월 30일186명36명19.4%138명47명
7월 31일186명36명19.4%138명97명[c]
8월 1일186명36명19.4%138명168명
8월 2일186명36명19.4%138명94명
8월 3일186명36명19.4%138명4명
8월 4일186명36명19.4%138명2명
8월 5일186명36명19.4%139명12명
8월 6일186명36명19.4%140명37명
8월 7일186명36명19.4%140명39명
8월 8일
~
8월 27일
186명36명19.4%140명불명[d]
8월 28일186명36명19.4%141명(+1)불명
8월 29일
~
8월 31일
186명36명19.4%141명불명
9월 1일186명36명19.4%142명(+1)불명
9월 2일
~
9월 16일
186명36명19.4%142명불명
9월 17일186명36명19.4%143명(+1)불명
9월 18일186명36명19.4%143명불명
9월 19일186명36명19.4%144명(+1)불명
9월 20일
~
9월 30일
186명36명19.4%144명불명
10월 1일186명36명19.4%145명(+1)불명
10월 2일186명36명19.4%145명불명
10월 3일186명36명19.4%146명불명
10월 4일
~
10월 11일
186명36명19.4%146명불명
10월 12일186명36명19.4%145명(-1)61명[e]
10월 13일
~
10월 24일
186명36명19.4%145명61명
10월 25일186명37명(+1)19.9%145명불명
10월 26일
~
11월 24일
186명37명19.9%145명불명
11월 25일186명38명(+1)20.4%145명불명
11월 26일
~
12월 5일
186명38명20.4%145명불명
12월 6일186명38명20.4%146명(+1)불명
12월 7일
~
'16년 1월 25일
186명38명20.4%146명불명
16년 1월 26일186명38명20.4%147명(+1)불명
17년 9월 13일186명39명(+1)21.0%147명불명[f]
상기 내용은 보건복지부 보도자료를 근거로 작성하였습니다.
괄호 안은 이전 대비 증가한 수입니다.
확진자는 확진일, 사망자는 사망일, 완치자는 퇴원일 기준으로 추가 집계하였습니다.
메르스 전파 경로 그래픽(KBS 제공), 메르스 감염 현황(KBS 제공)
[a] 발표 당시 치명률은 19.3%이었으나, 13일부터 19.4%로 발표하고 있어 19.4%로 맞춤[b] 그 이전 통계에서는 확진자도 격리자 수에 포함하여 발표했으나, 이 날 통계부터 집계에서 제외됨.[c] 이 날부터 격리자 수가 총 명수로 표시되지 않고 의심증상자+의심증상자 접촉 격리자로 표시된다.[d] 이 날부터 격리자 수는 보도자료에서 빠졌다.[e] 80번 환자 메르스 양성 반응으로 재입원[f] 최장기 메르스 입원 74번 환자 사망


[각주]



2. 2015년[편집]



2.1. 5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15년 대한민국 메르스 유행/경과/5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6월 1일~6월 10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15년 대한민국 메르스 유행/경과/6월 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6월 11일~6월 20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15년 대한민국 메르스 유행/경과/6월 중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4. 6월 21일~6월 30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15년 대한민국 메르스 유행/경과/6월 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5. 7월 1일~7월 10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15년 대한민국 메르스 유행/경과/7월 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6. 7월 11일~7월 20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15년 대한민국 메르스 유행/경과/7월 중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7. 7월 21일~7월 31일[편집]


7월 24일, '메르스 추경예산안'에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편성한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 예산이 본회의 통과를 앞두고 전액 삭감됐다. 앞서 복지위 예산결산심사 소위원회는 16일 정부의 추경예산안을 심사하면서, 여야 합의를 거쳐 감염병 연구병원 설립을 위한 101억3천만원을 편성했다. 해당 예산은 복지위 전체회의까지 통과했으나, 이후 여야 예결위 간사가 세부항목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모두 삭감됐다.

7월 28일, 황교안 국무총리가 메르스 사태의 사실상 종식을 선언했다. 황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메르스 대응 범정부대책회의'를 주재하고 메르스 사태가 사실상 끝났음을 알렸다. 황 총리는 모두발언을 통해 이러한 내용의 대국민 메시지를 전할 계획이며, 별도의 담화나 성명 발표는 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공식 종식선언은 아직 유전자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지 못한 환자 1명이 최종 완쾌판정을 받은 뒤 28일 지난 뒤에 이뤄진다. 외신들은 한국 정부의 메르스 사실상 종식 선언을 발 빠르게 전했다.

2.8. 9월[편집]


9월 19일, 강원도 춘천에서 메르스 의심환자가 신고돼 방역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춘천시 보건소에 따르면 오전 11시 30분께 춘천의 한 소아과에서 이달 초 중동 여행을 갔다 온 25세 여성이 미열과 오한 증상을 호소해 진료를 받았다. 시 보건소는 곧바로 국립중앙의료원으로 이송해 음압병실에 격리 입원시켰다. 다행히 1차 검사에서 음성 판정이 나온 데 이어 2차 검사 결과에서도 음성으로 나왔다고 21일 밝혔다.

2.9. 10월[편집]


10월 12일, 메르스 완치 판정을 받아 마지막으로 퇴원했던 환자가 다시 고열 증상을 보인 끝에 양성 판정을 받아 서울대병원에 재입원했다. 12일 질병관리본부와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지난 2일 완치 판정을 받았던 80번(35) 환자가 전날 오전 5시 30분쯤 발열과 구토 증세를 보여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을 방문했다. 이 환자는 당일 오후 12시 15분쯤 국가 지정 격리병상인 서울대병원에 이송돼 재입원했고, 다시 메르스 검사를 벌인 결과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메르스 재발보다는 환자가 원래 앓고 있던 혈액암(악성 림프종)이 악화된 것으로 보고 있다. 80번 환자는 지난달 30일과 이달 1일 서울대병원 및 질병관리본부의 1, 2차 바이러스 확진 검사에서 모두 음성 판정을 받은 바 있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80번 환자의 퇴원일이었던 지난달 1일을 기준으로 메르스 잠복기 14일의 2배를 더한 29일을 공식적인 메르스 종식 시점으로 정했다. 하지만 이번 의심 증상으로 80번 환자가 또 다시 양성 판정을 받게 되면 종식 시점을 다시 계산해야 한다.

10월 25일, 메르스 152번 환자(66)가 결국 숨졌다.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152번 환자가 이날 오전 1시52분께 사망했다고 밝혔다. 152번 환자의 사망으로 메르스 환자 중 숨진 사람은 37명으로 늘었고 치명률도 19.9%로 상승했다. 이 환자는 메르스 바이러스 유전자 검사에서는 음성판정을 받아 격리에서는 해제됐지만 후유증 치료를 받아왔다.

10월 26일, 80번째 환자 재발에 따라 자가격리에 들어갔던 자가격리자 61명 등 129명에 대한 격리조치가 26일 0시부터 해제됐다. 질병관리본부장은 지난 2주동안 특별한 이상을 보이지 않음에 따라 격리해제 조치했다고 알렸다.

2.10. 11월[편집]


11월 23일, 80번 환자가 사경을 헤매고 있다는 소식이 인터넷에 올라와 네티즌들이 공분하고 있다. 림프종 환자였던 이 환자는 제대로 된 항암치료를 받지 못해 결국 어린 아들을 두고 세상을 떠나야 할 처지에 놓였기 때문이다.[1] 메르스 치료를 더 이상 받지 않는 상황에다 전염력은 사실상 없다는 의견이 나왔음에도 보건당국은 차일피일 격리해제를 미루었다. 심지어 환자 가족이 몇 번 항의하니까 나중엔 아예 연락을 안 받았다. 알고보니 번호를 차단했다고. 그러고는 나중에 이게 들통나자 반응이 무려 웃으면서 "죄송합니다" 라고 말한 것이 전부였다. 감염병 환자라는 이유로 음압병실에 있어야 했는데, 암 환자는 양압 병실에 있어야 한다. 쉽게 말해, 무균실에 있어도 될까말까한 사람을 병균을 끌어모으는 곳에 둔 것. 필요한 환경과 정반대인 최악의 상황에 버려진 것이다.

11월 25일, 국내 마지막 메르스 감염자로 남아있던 80번 환자가 결국 숨졌다. 질병관리본부는 "80번째 확진자(35·남)가 기저질환인 악성림프종 치료 중 경과가 급격히 악화돼 이날 오전 3시쯤 사망했다"고 밝혔다. 이 환자는 지난 6월 7일 확진 판정을 받은 뒤 172일 동안 투병했다. 이는 메르스 투병생활 세계 최장기록이다. 그러나 그의 사망 원인은 메르스가 아니었다. 메르스 감염 전에 걸려 투병 중이던 악성림프종이었다. 메르스 환자였다는 이유로 격리된 것 때문에 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해 병세가 악화되었기 때문에 죽은 것이다. 암 환자가, 그것도 다른 곳도 아닌 병원에 입원해 있는 암 환자가 정작 암 치료는 거의 전혀 받지 못하고 방치되다 병이 악화돼 죽었다는 어이없는 상황. "80번 메르스 환자 사망은 보건당국의 살인" 참으로 안타까운 죽음이다.

2.11. 12월[편집]


12월 24일, 보건복지부는 세계보건기구(WHO) 기준[2]에 따라 0시(KST 기준)를 기해 메르스 상황 종료를 선언했다. 이로써 지난 5월 20일 첫 환자가 발생한 이후 186명이 메르스에 감염돼 그 중 38명이 숨진 메르스 사태는 218일 만에 공식 종료됐다.


3. 2017년[편집]



3.1. 9월[편집]


9월 13일 새벽, 74번 환자가 투병 2년여만에 숨졌다. 74번 환자는 메르스로 인한 최장기 입원 환자로, 메르스 자체는 완치되었으나 폐 섬유화 및 심부전증 등의 합병증으로 그동안 계속 입원 중이었다. 이로써 사망자는 39명이 됐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10:01:32에 나무위키 2015년 대한민국 메르스 유행/경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환자는 김탁환의 소설 <살아야겠다>의 주인공 '김석주'의 모델이 된다.[2] 세계보건기구는 감염 환자가 한 명도 없어진 뒤 메르스 바이러스의 최장 잠복기인 14일의 2배가 지난 시점을 감염 종료 상태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