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reecaTV PUBG League Season 1

덤프버전 :


}}} ||


AfreecaTV PUBG League
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AfreecaTV PUBG League Season 1AfreecaTV PUBG League Season 2
AfreecaTV PUBG League Season 1 우승팀
KSV NOTITLE파일:KSV_Notitlelogo_square.png
KSV NOTITLE
OGN ENTUS FORCE
AfreecaTV PUBG League Season 1 Most Kill
양대인
(TTM 4DallarOK)
고정완
(NTT Esther)
김경열
(AFA Rozar)

파일:NTT APL S1 우승.jpg
2연패의 KSV NOTITLE, 최고의 배틀그라운드 팀으로 거듭나다!

파일:APL Season 1.png
AfreecaTV PUBG League Season 1
대회 기간2018년 3월 30일 ~ 5월 5일
주최파일:pubg corp krafton.png
주관파일:아프리카TV 로고.svg
개최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참가팀48팀
에란겔, 미라마
모드스쿼드 1인칭 / 3인칭
경기장KT 10 GIGA ARENA
메인 스폰서파일:인텔 로고.svg
스폰서파일:Logitech의 로고.svg파일:Zowie.png
중 계
[ 펼치기 · 접기 ]
중계 플랫폼온라인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중계진캐스터
박상현
해설자
김동준, 김지수
인터뷰어
이현경
일 정
[ 펼치기 · 접기 ]
상 금
[ 펼치기 · 접기 ]
총 상금120,000,000원
결승우승60,000,000원
준우승20,000,000원
3위4,000,000원
4위2,000,000원
5위1,500,000원
Most Kill1,000,000원
본선우승10,000,000원
준우승5,000,000원
3위2,000,000원
4위1,000,000원
5위500,000원
Most Kill1,000,000원
결 과
[ 펼치기 · 접기 ]
우승 '[[파일:KSV_Notitlelogo_square.png KSV NOTITLE'''
준우승파일:KSV_CLESlogo_square.png KSV CLES
Most Kill본선
고정완 (NTT Esther)
파이널
김태광 (DTN Giken)
1. 개요
2. 참가팀
3. 일정
4. 영상
5. 대회 규정
6. 여담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편집]


PKL의 프로 투어 리그이며, 아프리카에서 주최하는 아프리카TV PUBG 리그첫번째 정규 시즌이다.


2. 참가팀[편집]


PKL 상반기 공인 프로팀 36개팀+오픈 슬롯 예선 통과팀 2팀+해외 초청팀 10팀이다.


3. 일정[편집]






4. 영상[편집]




5. 대회 규정[편집]


  • A조 24팀, B조 24팀으로 구성되어 48강전을 진행, 이틀간의 성적을 종합하여 각 조 상위 18위까지 36강전에 진출한다.
  • 진출한 36개의 팀이 다시 A, B, C조 각 12팀으로 구성되어 36강전을 진행, 3일간 두 조씩 섞어 24개 팀이 경기를 펼치며 3개 조의 포인트를 종합(48강전의 포인트를 포함) 하여 포인트 상위 16개 팀이 결승으로 직행, 나머지 20팀은 와일드카드로 향한다.
  • 와일드카드전에서는 48강/36강 포인트 합산 없이 당일 경기 결과로 상위 8개 팀이 결승전에 합류한다.
  • 총 24개의 팀이 결승전 당일 경기 결과로 우승팀을 가린다.

  • 맵/시점
라운드시점
1라운드미라마1인칭
2라운드미라마3인칭
3라운드에란겔3인칭
4라운드에란겔3인칭
5라운드(결승전)에란겔3인칭

  • 자기장
Blue zone
PHASE123456789
Delay(s)90000000080
Wait(s)3009060606060606010
Move(s)27015012012012090606060
Shrink0.40.550.550.550.550.550.550.550.001
DPS0.40.60.813581114
Spread0.50.560.560.560.560.560.560.5610
CGA000000000

  • 상금
Prize Pool
내용순위상금횟수총상금
본선1위10,000,000110,000,000
2위5,000,00015,000,000
3위2,000,00012,000,000
4위1,000,00011,000,000
5위500,0001500,000
모스트킬1,000,00011,000,000
본선 상금 합계19,500,000
결승1위60,000,000160,000,000
2위20,000,000120,000,000
3위4,000,00014,000,000
4위2,000,00012,000,000
5위1,500,00011,500,000
6-10위1,000,00055,000,000
11-24위500,000147,000,000
모스트킬1,000,00011,000,000
결승 상금 합계100,500,000
전체 합계120,000,000

  • 라운드 포인트(RP)
PUBG Official Point Matrix
순위획득 포인트
1500
2395
3350
4315
5285
6260
7240
8220
9200
10185
11150
12135
13125
14110
15100
1695
1785
1880
1970
2065
2160
2255
2350
2445

  • 킬 포인트(KP)
경기 방식1킬 당 포인트
스쿼드10

  • 어드벤티지 포인트(AP)
FINAL Advantage Point
순위획득 포인트
1100
280
370
460
550


6. 여담[편집]


  • 직전 시즌과는 달리 신천 KT 10 GiGA Arena에서 진행되며 현장 관람이 가능하다. 결승전은 KBS 아레나를 대관해서 진행한 전 시즌과는 달리 기가 아레나에서 진행된다. 총 상금이 2억에서 1억 2천으로 줄어들었고, 대회에 대한 투자도 약간 줄어서 아쉬움을 주고 있다.

  • 대회 운영 면에서도 상당히 미숙한 점이 많았는데 기본적으로 매 경기마다 점수 합산 작업이 오래 걸렸는데, 가령 4월 13일 금요일 경기에서 한시간 넘게 지체해서 해설진들이 개인사까지 털어내야 할 정도로 고생하거나 경기 후반부에 서버가 터진 뒤 재경기를 종용하면서 선수들에게 무례한 태도로 일관해 졸속 진행이라는 비판을 듣는 등, 파일럿 시즌의 명성에 걸맞지 않게 새로운 문제를 만들었다는 평가가 많다. 그리고 24팀으로 참가 인원을 올린 펍지 측의 조치[1]로 인해 인게임 20프레임까지 떨어지는 최악의 대회 환경으로 인해 선수들 사이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08:54:21에 나무위키 AfreecaTV PUBG League Season 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이 변화 자체는 이후 환경이나 대회 양상의 늘어짐을 예상하지 못한 블루홀의 실책이지 아프리카 측의 과실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