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yone Can Play Guitar

덤프버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10px;" 파일:라디오헤드 로고.svg

톰 요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000 45%, #000 55%, transparent 55%); width: 9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color: #000 ; min-width: 20%"
[ Studio Albums ]
파일:pablohoney.jpg
파일:thebends.jpg
파일:okcom.jpg
파일:kid a.jpg
파일:amnesiac.jpg
Pablo Honey}}}
1993년 2월 22일
The Bends}}}
1995년 3월 13일
OK Computer}}}
1997년 6월 16일
Kid A}}}
2000년 10월 2일
Amnesiac}}}
2001년 6월 5일
파일:라헤 6집.jpg
파일:inrainbows.jpg
파일:라헤 8집.jpg
파일:라헤 9집.jpg
Hail to the Thief}}}
2003년 6월 9일
In Rainbows}}}
2007년 10월 10일
The King of Limbs}}}
2011년 2월 18일
A Moon Shaped Pool}}}
2016년 5월 8일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 Live Albums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 Compilations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 Extended Plays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 Singles ]
파일:creepsingle.jpg
파일:누구나기타침.jpg
파일:팝이즈데드.jpg
파일:stopwhisper.jpg
파일:myironlung.jpg
Creep
1992년 9월 21일
Anyone Can Play Guitar
1993년 2월 1일
Pop Is Dead
1993년 5월 10일
Stop Whispering
1993년 10월 5일
My Iron Lung
1994년 9월 26일
파일:highplanet.jpg
파일:fakeplastictree.jpg
파일:radioheadjust..jpg
파일:streetspirit.jpg
파일:벤즈싱글..jpg
High and Dry / Planet Telex
1995년 2월 27일
Fake Plastic Trees
1995년 5월 15일
Just
1995년 8월 7일
Street Spirit (Fade Out)
1996년 1월 22일
The Bends
1996년 7월 26일
파일:파라노이드안드로이드.jpg
파일:카르마폴리스.jpg
파일:라헤럭키.jpg
파일:노서프라이즈.jpg
파일:pyramidsong.jpg
Paranoid Android
1997년 5월 26일
Karma Police
1997년 8월 25일
Lucky
1997년 12월
No Surprises
1998년 1월 12일
Pyramid Song
2001년 5월 21일
파일:knivesout.jpg
파일:there there.jpg
파일:GTS..jpg
파일:2+2=5,.jpg
파일:라헤직쏘.jpg
Knives Out
2001년 8월 6일
There, There
2003년 5월 26일
Go to Sleep
2003년 8월 18일
2 + 2 = 5
2003년 11월 17일
Jigsaw Falling into Place
2008년 1월 14일
파일:라헤누드.jpg
파일:harrypatch.jpg
파일:thesearewords.jpg
파일:Supercollider / The Butcher.jpg
파일:The Daily Mail / Staircase.jpg
Nude
2008년 5월 31일
Harry Patch (In Memory Of)
2009년 8월 5일
These Are My Twisted Words
2009년 8월 17일
Supercollider / The Butcher
2011년 4월 16일
The Daily Mail / Staircase
2011년 12월 19일
파일:SPECTRE.jpg
파일:번더위치고화질.jpg
파일:데이드리밍고화질.jpg
파일:okcom2017.jpg
파일:okcom2017.jpg
Spectre
2015년 12월 25일
Burn the Witch
2016년 5월 3일
Daydreaming
2016년 5월 6일
I Promise
2017년 6월 2일
Man of War
2017년 6월 22일
파일:kidamnesia.jpg
파일:kidamnesia.jpg
If You Say the Word
2021년 9월 7일
Follow Me Around
2021년 11월 1일



Pablo Honey>
트랙리스트
[ 펼치기 · 접기 ]


Anyone Can Play Guitar
싱글 발매일1993년 2월 1일
싱글 B면Faithless, the Wonder Boy
Coke Babies
앨범 발매일1993년 2월 22일
장르얼터너티브 록
러닝 타임3:37
작곡라디오헤드
프로듀서숀 슬레이드, 폴 콜데리
수록 앨범
레이블파일:7FF17EF7-7612-4390-BF5C-B00EF61850AD.jpg 팔로폰 레코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캐피톨 레코즈 로고.svg 캐피톨 레코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싱글 커버 ]
파일:누구나기타침.jpg
싱글 커버

1. 개요
2. 가사




1. 개요[편집]


1993년 MTV 비치하우스 라이브[* 일명 "그 라이브". 톰 요크 정박아 시절 혹은 톰 코베인 시절 등으로도 불리운다. 2절부터 몸을 비틀어대다 괴성을 지르고는 풀장에 다이빙하는 톰 요크는 이미 유명하며, 그 외에도 그런지 스타일을 노린듯하나 어쩐지 숨길 수 없는 톰 요크의 찐따미, 오글거릴 정도로 바이브레이션이 가미된 보컬과 에드 오브라이언의 괴악한 기타 퍼포먼스까지 거를 타선 하나 없이 충격적인 기행으로 인해 라디오헤드 팬덤 사이에서 컬트적인 인기를 누리는 라이브이다. ][1]
라디오헤드의 두 번째 싱글이자 1집 Pablo Honey의 6번 트랙.

UK 차트에서 32위를 찍은 곡이다. 90년대 초중반까지 밴드의 주요 라이브 곡 중 하나였으며, 지금도 가끔 라이브에서 연주되는 몇 안 되는 1집 곡 중 하나이다. 장르는 너바나를 위시한 전형적인 시애틀 그런지 풍으로, 그 당시의 영국 밴드들은 영국 색깔이 확연하게 나는 브릿팝 장르를 소화했던 것에 비하면 예나 지금이나 상당히 이질적인 곡이라고 할 수 있다.

2. 가사[편집]



Anyone Can Play Guitar

Destiny, destiny, protect me from the world
운명이여, 운명이여, 세상에게서 나를 지켜줘
Destiny, hold my hand, protect me from the world
운명이여, 내 손을 잡고 세상에게서 나를 지켜줘
Here we are, with our running and confusion
우린 여기에 있어, 모두가 달아나고 있는 혼란 속에
And I don't see no confusion anywhere
그리고 난 어디를 봐도 혼란스럽지 않아
And if the world does turn, and if London burns
그리고 만약 세상이 변한다면, 런던이 불타버린다면
I'll be standing on the beach with my guitar
난 내 기타를 들고 해변에 서 있을 거야
I wanna be in a band when I get to heaven
천국에 가게 된다면 난 밴드에 들어가고 싶어
Anyone can play guitar and they won't be a nothing anymore
누구든지 기타를 칠 수 있어, 그럼 더 이상 그저 그런 놈이 아니게 될 거야
Grow my hair, grow my hair, I am Jim Morrison
머리를 길러, 머리를 길렀으니, 난 짐 모리슨이야
Grow my hair, I wanna be, wanna be, wanna be Jim Morrison
머리를 길러, 난 짐 모리슨이 되고 싶어, 되고 싶어, 되고 싶어[2]
Here we are, with our running and confusion
우린 여기에 있어, 모두가 달아나고 있는 혼란 속에
And I don't see no confusion anywhere
그리고 난 어디를 봐도 혼란스럽지 않아
And if the world does turn, and if London burns
그리고 만약 세상이 변한다면, 런던이 불타버린다면
I'll be standing on the beach with my guitar
난 내 기타를 들고 해변에 서 있을 거야
I wanna be in a band when I get to heaven
천국에 가게 된다면 난 밴드에 들어가고 싶어
Anyone can play guitar and they won't be a nothing anymore
누구든지 기타를 칠 수 있어, 그럼 더 이상 그저 그런 놈이 아니게 될 거야

파일:Radiohead Pablo Honey.png
[1] 사실 일정 부분은 의도된 트롤링이다. 이날 MTV 측은 Creep으로 큰 히트를 친 라디오헤드를 MTV 비치하우스에 불러 비키니를 입은 여자들 앞에서 부르게 했는데, Creep은 알다시피 찐따 감성의 발라드로 유명하며, 이 곡의 경우 아무런 개선의 노력도 없으면서 막연히 록스타가 될 것이라 자위하는 양산형 밴드맨들을 비꼬는 노래이다. 이런 찐따미 가득한 노래를 댄스곡마냥 수영장 파티에서 연주하게 되었으니 톰 요크의 수치심은 이만저만이 아니었고, 그럼에도 모든 불만을 묵살당한 채 이어진 공연은 결국 이러한 대참사를 불렀다. [2] 톰 요크의 짐 모리슨에 대한 경멸을 생각하면 제법 비아냥이 섞인 구절이라고 할 수 있다. 여담이지만 mtv 수영장 라이브에서는 이 라인이 "and maybe I could become Jim Morrison. Fat, Ugly, Dead."(그리고 어쩌면 난 짐 모리슨이 될지도 모르겠네. 비계덩어리에, 못생긴, 시체가.)라는 가사로 대체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Pablo Honey 문서의 r15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Pablo Honey 문서의 r15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15:26:25에 나무위키 Anyone Can Play Guitar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