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WGP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

덤프버전 :

파일:신일본 프로레슬링 로고.svg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챔피언십 타이틀
파일:IWGPWHC.png파일:external/www.njpw.co.jp/championbelt_05.jpg파일:iwgp junior.png파일:external/www.njpw.co.jp/championbelt_06.jpg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IWGP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
파일:external/www.njpw.co.jp/championbelt_03.jpg파일:external/www.njpw.co.jp/championbelt_07.jpg파일:파일:iwgp위민스.png
NEVER 오픈웨이트 챔피언십NEVER 오픈웨이트 6인 태그팀 챔피언십IWGP 글로벌 헤비웨이트 챔피언십IWGP 위민스 챔피언십[★]
파일:KOPW2023.png파일:NJPW스트롱오픈웨이트.png파일:NJPW-STRONG-Tag-Team-Belt.png파일:NJPW-WORLD-TV.png
KOPW 2024NJPW 스트롱 오픈웨이트 챔피언십NJPW 스트롱 오픈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NJPW WORLD 인정 TV 챔피언십
파일:STRONG-WOMEN.png
NJPW 스트롱 위민스 챔피언십



파일:external/www.njpw.co.jp/championbelt_05.jpg
현재 챔피언 팀비샤몬
고토 히로오키 & YOSHI-HASHI
챔피언 등극2023년 6월 4일
도미니언 6.4 in 오사카-조 홀
이전 챔피언 팀어시 오픈
마크 데이비스 & 카일 플레처
소속 단체신일본 프로레슬링
New Japan Pro Wrestling
벨트 창설일1985년 12월 12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기록
4. 역대 챔피언 팀 목록



1. 개요[편집]


신일본 프로레슬링챔피언십 중 하나이다.


2. 역사[편집]


1981년 NWA 북미 태그팀 챔피언십이 봉인된 이후, 신일본은 한동안 태그팀 챔피언의 부재 시기가 계속되고 있었다.

1985년 5월 WWF 인터네셔널 태그팀 챔피언이 부활하여 후지나미 타츠미 & 키무라 켄고 팀이 제 8대 챔피언으로 등극하여 4번의 방어전을 치뤘다. 그러나, 10월 말 WWF가 신일본과의 업무제휴를 해소하여 이 챔피언십이 부활한지 5개월만에 WWF 인터내셔널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WF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함께 봉인되고 말았다. 그것을 대신하는 태그팀 챔피언십으로서 신일본 프로레슬링이 IWGP의 챔피언십으로서 처음으로 인정한 타이틀이 IWGP 태그팀 챔피언십이다.

1985년 11월 예정되어 있었던 MSG 태그 리그가 업무제휴해소로 MSG의 명칭을 쓸수없게 되자, 이것을 대체하여 IWGP 태그 리그전의 개최가 발표, 우승 팀이 초대 IWGP 태그팀 챔피언으로 인정하게 된다.

그런데, 리그전 1위 팀이였던 브루저 브로디 & 지미 스누카 팀이 12월 12일 결승전을 보이콧을 해버리고 귀국을 해버리는 바람에 안토니오 이노키 & 사카구치 세이지 팀과 후지나미 타츠미 & 키무라 켄코 팀의 리그전 공동 2위팀 간의 결승전이 진행. 드래곤 스플렉스 홀드로 후지나미가 이노키에게 3 카운트를 따내어, WWF 인터내셔널 태그팀 챔피언 팀이였던 후지나미 & 키무라 팀이 기념적인 초대 챔피언이 된다.


3. 기록[편집]


초대 챔피언후지나미 타츠미 & 키무라 켄고
최다 획득 챔피언(팀)게릴라즈 오브 데스티니
타마 통가 & 탕가 로아
7회
최다 획득 챔피언(개인)텐잔 히로요시12회
최장기간 챔피언배드 인텐션즈
자이언트 버나드 & 칼 앤더슨
564일
최단기간 챔피언무토 케이지 & 코시나카 시로6일
통산 보유 기간쵸텐
쵸노 마사히로 & 텐잔 히로요시
1010일
최다 연속 방어배드 인텐션즈
자이언트 버나드 & 칼 앤더슨
10회
통산 최다 방어쵸텐
쵸노 마사히로 & 텐잔 히로요시
12회


4. 역대 챔피언 팀 목록[편집]


  • 현재 챔피언이나 최다 횟수, 최장 보유 기간 등 중요한 부분에만 강조 표시.
  • 선수 옆 괄호() 속 숫자는 선수 개인의 타이틀 획득 횟수이다.
#태그팀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방어전 승리 횟수비고
1후지나미 타츠미 & 키무라 켄고1회1985년 12월 12일 (236일)5회[1]
2마에다 아키라 & 키도 오사무1회1986년 8월 5일 (49일)1회
3후지나미 타츠미(2) & 키무라 켄고(2)2회1986년 9월 23일 (135일)0회
-공석-1987년 2월 5일-[2]
4무토 케이지 & 코시나카 시로1회1987년 3월 20일 (6일)0회[3]
5마에다 아키라(2) & 타카다 노부히코1회1987년 3월 26일 (159일)0회
6후지와라 요시아키 & 야마자키 카즈오1회1987년 9월 1일 (139일)2회
7후지나미 타츠미(3) & 키무라 켄고(3)3회1988년 1월 18일 (144일)3회
8초슈 리키 & 마사 사이토1회1988년 6월 10일 (282일)4회
9슈퍼 스트롱 머신 & 죠지 타카노1회1989년 3월 19일 (116일)1회
10쵸슈 리키(2) & 이이즈카 타카유키1회1989년 7월 13일 (69일)1회
11마사 사이토(2) & 하시모토 신야1회1989년 9월 20일 (219일)3회
12무토 케이지(2) & 쵸노 마사히로1회1990년 4월 27일 (189일)3회
13하세 히로시 & 사사키 켄스케1회1990년 11월 1일 (55일)2회
14슈퍼 스트롱 머신(2) & 히로 사이토1회1990년 12월 26일 (70일)2회
15하세 히로시(2) & 사사키 켄스케(2)2회1991년 3월 6일 (15일)0회
16스타이너 브라더스
릭 스타이너 & 스캇 스타이너
1회1991년 3월 21일 (229일)2회[4]
17무토 케이지(3) & 하세 히로시(3)1회1991년 11월 5일 (117일)2회[5]
18빅, 배드, 앤드 데인져러스
빅 밴 베이더 & 크러셔 뱀 뱀 비글로
1회1992년 3월 1일 (117일)2회
19스타이너 브라더스
릭 스타이너(2) & 스캇 스타이너(2)
2회1992년 6월 26일 (149일)3회
20스콧 노튼 & 토니 홈1회1992년 11월 22일 (22일)0회
21헬 레이저스
호크 워리어 & 파워 워리어[6](3)
1회1992년 12월 14일 (234일)4회
22쥬라기 파워
스콧 노튼(2) & 헤라클레스 헤르난데즈
1회1993년 8월 5일 (152일)3회
23헬 레이저스
호크 워리어(2) & 파워 워리어(2)
2회1994년 1월 4일 (325일)2회
24무토 케이지(4) & 하세 히로시(4)2회1994년 11월 25일 (162일)1회
-공석-1995년 5월 6일-[7]
25쵸텐
쵸노 마사히로(2) & 텐잔 히로요시
1회1995년 6월 10일 (27일)0회[8]
-공석-1995년 7월 7일-[9]
26하시모토 신야(2) & 히라타 쥰지1회1995년 7월 13일 (335일)6회[10]
27야마자키 카즈오(2) & 이이즈카 타카유키(2)1회1996년 6월 12일 (34일)0회
28쵸텐
쵸노 마사히로(3) & 텐잔 히로요시(2)
2회1996년 7월 16일 (172일)2회
29후지나미 타츠미(4) & 키무리 켄고4회1997년 1월 4일 (98일)3회
30초슈 리키(3) & 사사키 켄스케(4)1회1997년 4월 12일 (21일)0회
31불 파워
나카니시 마나부 & 코지마 사토시
1회1997년 5월 3일 (99일)1회
32사사키 켄스케(5) & 야마자키 카즈오(3)1회1997년 8월 10일 (70일)0회
33무토 케이지(5) & 쵸노 마사히로(4)2회1997년 10월 19일 (184일)2회
-공석-1998년 4월 21일-[11]
34쵸텐
쵸노 마사히로(5) & 텐잔 히로요시(3)
3회1998년 6월 5일 (40일)0회[12]
35텐류 겐이치로 & 코시나카 시로(2)1회1998년 7월 15일 (173일)2회
36텐코지
텐잔 히로요시(4) & 코지마 사토시(2)
1회1999년 1월 4일 (77일)1회
37사사키 켄스케(6) & 코시나카 시로(3)1회1999년 3월 22일 (97일)2회
38매드 독스
고토 타츠토시 & 오하라 미치요시
1회1999년 6월 27일 (62일)1회
39나카니시 마나부(2) & 나가타 유지1회1999년 8월 28일 (327일)4회
40텐코지
텐잔 히로요시(5) & 코지마 사토시(3)
2회2000년 7월 20일 (430일)6회
41니시무라 오사무 & 후지나미 타츠미(5)1회2001년 9월 23일 (35일)1회
42BATT
무토 케이지(6) & 타이요 케아
1회2001년 1월 28일 (97일)0회
-공석-2002년 2월 2일-[13]
43쵸텐
쵸노 마사히로(6) & 텐잔 히로요시(6)
4회2002년 3월 24일 (446일)7회[14]
44요시에 유타카 & 타나하시 히로시1회2003년 6월 13일 (184일)3회
45니시무라 오사무(2) & 텐잔 히로요시(7)1회2003년 12월 14일 (49일)0회
46스즈키 미노루 & 타카야마 요시히로1회2004년 2월 1일 (294일)4회
-공석-2004년 11월 21일-[15]
47타나하시 히로시(2) & 나카무라 신스케1회2004년 12월 11일 (323일)4회[16]
48쵸텐
쵸노 마사히로(7) & 텐잔 히로요시(8)
5회2005년 10월 30일 (325일)3회
-공석-2006년 9월 20일-[17]
49Wild Child
나카니시 마나부(3) & 오오모리 타카오
1회2006년 9월 28일 (164일)1회[18]
50RISE
자이언트 버나드 & 트래비스 톰코
1회2007년 3월 11일 (343일)5회
51모스트 바이올렌트 플레이어즈
마카베 토기 & 야노 토오루
1회2008년 2월 17일 (322일)4회
52팀 3D
브라더 레이 & 브라더 디본
1회2009년 1월 4일 (198일)4회
53브리티쉬 인베이젼
브루터스 매그너스 & 덕 윌리엄스
1회2009년 7월 21일 (89일)1회
54팀 3D
브라더 레이(2) & 브라더 디본(2)
2회2009년 10월 18일 (78일)1회[19]
55노 리미트
타카하시 유지로 & 나이토 테츠야
1회2010년 1월 4일 (119일)1회[20]
56청의군
나가타 유지(2) & 이노우에 와타루
1회2010년 5월 3일 (47일)0회[21]
57배드 인텐션즈
자이언트 버나드(2) & 칼 앤더슨
1회2010년 6월 19일 (564일)10회[22]
58텐코지
텐잔 히로요시(9) & 코지마 사토시(4)
3회2012년 1월 4일 (120일)2회
59CHAOS
야노 토오루(2) & 이이즈카 타카시(3)
1회2012년 5월 3일 (48일)0회
-공석-2012년 6월 20일-[23]
60텐코지
텐잔 히로요시(10) & 코지마 사토시(5)
4회2012년 7월 22일 (78일)0회[24]
61킬러 엘리트 스쿼드
랜스 아처 & 데이비 보이 스미스 주니어
1회2012년 10월 8일 (207일)5회
62텐코지
텐잔 히로요시(11) & 코지마 사토시(6)
5회2013년 5월 3일 (190일)2회[25]
63킬러 엘리트 스쿼드
랜스 아처(2) & 데이비 보이 스미스 주니어(2)
2회2013년 11월 9일 (56일)0회[26]
64불릿 클럽
칼 앤더슨(2) & 덕 갤로우스
1회2014년 1월 4일 (365일)6회
65맹우 태그
고토 히로오키 & 시바타 카츠요리
1회2015년 1월 4일 (38일)0회
66불릿 클럽
칼 앤더슨(3) & 덕 갤로우스(2)
2회2015년 2월 11일 (53일)0회
67더 킹덤
맷 테이븐 & 마이클 베넷
1회2015년 4월 5일 (91일)0회
68불릿 클럽
칼 앤더슨(4) & 덕 갤로우스(3)
3회2015년 7월 5일 (183일)1회
69G.B.H
마카베 토기(2) & 혼마 토모아키
1회2016년 1월 4일 (97일)1회
70게릴라즈 오브 데스티니
타마 통가 & 탕가 로아
1회2016년 4월 10일 (70일)1회
71브리스코 브라더스
제이 브리스코 & 마크 브리스코
1회2016년 6월 19일 (113일)2회
72게릴라즈 오브 데스티니
타마 통가(2) & 탕가 로아(2)
2회2016년 10월 10일 (86일)1회
73CHAOS
야노 토오루(3) & 이시이 토모히로
1회2017년 1월 4일 (61일)3회[27]
74텐코지
텐잔 히로요시(12) & 코지마 사토시(7)
6회2017년 3월 6일 (34일)0회[28]
75워 머신
핸슨 & 레이먼드 로우
1회2017년 4월 9일 (63일)1회
76게릴라즈 오브 데스티니
타마 통가(3) & 탕가 로아(3)
3회2017년 6월 11일 (20일)0회
77워 머신
핸슨(2) & 레이먼드 로우(2)
2회2017년 7월 1일 (85일)3회
78킬러 엘리트 스쿼드
랜스 아처(3) & 데이비 보이 스미스 주니어(3)
3회2017년 9월 24일 (102일)1회[29]
79로스 인고베르나블레스 데 하폰
EVIL & SANADA
1회2018년 1월 4일 (156일)2회
80영 벅스
맷 잭슨 & 닉 잭슨
1회2018년 6월 9일 (112일)1회
81게릴라즈 오브 데스티니
타마 통가(4) & 탕가 로아(4)
4회2018년 9월 30일 (96일)0회
82로스 인고베르나블레스 데 하폰
EVIL(2) & SANADA(2)
2회2019년 1월 4일 (50일)1회
83게릴라즈 오브 데스티니
타마 통가(5) & 탕가 로아(5)
5회2019년 2월 23일 (316일)7회
84핀쥬스
데이비드 핀레이 & 쥬스 로빈슨
1회2020년 1월 4일 (30일)0회
85게릴라즈 오브 데스티니
타마 통가(6) & 탕가 로아(6)
6회2020년 2월 2일 (20일)0회
86타나하시 히로시(3) & 이부시 코타1회2020년 2월 21일 (143일)0회
87스즈키군
타이치 & 잭 세이버 주니어
1회2020년 7월 12일 (176일)2회
88게릴라즈 오브 데스티니
타마 통가(7) & 탕가 로아(7)
7회2021년 1월 4일 (147일)2회
89스즈키군
타이치(2) & 잭 세이버 주니어(2)
2회2021년 6월 1일 (40일)0회
90로스 인고베르나블레스 데 하폰
나이토 테츠야(2) & SANADA(3)
1회2021년 7월 11일 (14일)0회
91데인저러스 테커즈
타이치(3) & 잭 세이버 주니어(3)
3회2021년 7월 25일 (163일)1회
92비샤몬
고토 히로오키(2) & YOSHI-HASHI
1회2022년 1월 4일 (95일)1회
93UNITED EMPIRE
제프 콥 & 그레이트-O-칸
1회2022년 4월 9일 (22일)0회
94불릿 클럽
배드 럭 파레 & 체이스 오웬스
1회2022년 5월 1일 (42일)0회
95UNITED EMPIRE
제프 콥(2) & 그레이트-O-칸(2)
2회2022년 6월 12일 (14일)0회
96FTR
댁스 하우드 & 캐시 휠러
1회2022년 6월 26일 (192일)2회
97비샤몬
고토 히로오키(3) & YOSHI-HASHI(2)
2회2023년 1월 4일 (94일)3회
98어시 오픈
마크 데이비스 & 카일 플레처
1회2023년 4월 8일 (43일)2회
-공석-2023년 5월 21일-[30]
99비샤몬
고토 히로오키(4) & YOSHI-HASHI(3)
3회2023년 6월 4일 (363일)[31]
[1] 리그전 1위 팀이였던 브루저 브로디 & 지미 스누카 팀이 12월 12일 결승전을 보이콧을 해버리고 귀국을 해버리는 바람에 안토니오 이노키 & 사카구치 세이지 팀과 후지나미 타츠미 & 키무라 켄코 팀의 리그전 공동 2위팀 간의 결승전이 진행되었다.[2] 태그 팀 해산으로 인한 벨트 반납[3] 공석으로 인한 챔피언 결정 토너먼트에서 승리.[4] 스타케이드 1991 in 도쿄 돔 - WC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도 걸려있는 더블 타이틀 매치였다.[5] 스캇 스타이너의 부상으로 인해 스콧 노튼이 대타로 참전했음[6] 사사키 켄스케[7] 5월 3일 하시모토 신야를 꺾고 무토 케이지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한 뒤에 공석화.[8] 공석으로 인한 챔피언 결정전에서 하시모토 신야 & 히라타 준지 팀을 꺾고 등극.[9] 쵸노 마사히로가 부친상으로 인해 방어전에 불참.[10] 공석으로 인한 챔피언 결정전에서 마이크 이너스 & 스콧 노튼 팀을 꺾고 등극[11] 무토 케이지의 무릎 수술로 인한 결장.[12] 공석으로 인한 챔피언 결정전 토너먼트에서 텐류 겐이치로 & 코시나카 시로 팀을 꺾고 등극.[13] 무토 케이지가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나가면서 공석화.[14] 공석으로 인한 챔피언 결정전 토너먼트에서 나카니시 마나부 & 나가타 유지팀을 꺾고 등극.[15] 타카야마 요시히로의 부상으로 인한 이탈로 공석화.[16] 공석으로 인한 챔피언 결정전에서 사사키 켄스케 & 스즈키 미노루 팀을 꺾고 등극.[17] 쵸노 마사히로의 왼쪽 팔꿈치 수술로 인한 전력 이탈로 장기간 방어전을 치룰수 없게 되자 당시 사장인 사이먼 켈리 이노키가 벨트를 박탈함.[18] 2006년 7월 2일 마카베 토기 & 코시나카 시로 팀과 자이언트 버나드 & 트래비스 톰코 팀간의 잠정 태그팀 챔피언십을 실시했고, 승리 팀인 마카베 토기 & 코시나카 시로 팀과 나카니시 마나부 & 오오모리 타카오 팀과 정규 태그팀 챔피언십 결정전을 진행, 여기서 이긴 나카니시 마나부 & 오오모리 타카오 팀이 정식으로 제 49대 챔피언 팀으로 인정받게된다.[19] 2009년 바운드 포 글로리에서 4-WAY 풀 메탈 메이헴 태그팀 매치로 진행되었다.[20] 레슬킹덤 4에서 3-WAY 하드코어 매치로 진행되었다.[21] 레슬링 돈타쿠 2010에서 3-WAY 매치로 진행되었다.[22] 도미니언에서 3-WAY 일리미네이션 매치로 진행되었다.[23] 당시 챔피언 팀이였던 야노 토오루 & 이이즈카 타카시 팀이 조인식을 보이콧, 2012년 6월 12일 오사카에서 진행된 방어전 결과(노 컨테스트), 신일본 프로레슬링 사장(스기바야시 나오키)에 대한 폭행으로 인한 수뇌부 측의 협의 결과에 따라, 야노 토오루 & 이이즈카 타카시 팀은 챔피언 팀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벨트를 박탈했다.[24] 공석으로 인한 챔피언 결정전에서 텐코지가 야노 토오루 & 이이즈카 타카시 팀을 꺾고 등극. 특별 룰로 장외 카운트 없음, 4명의 레프리를 배치한 경기로 진행.[25] 레슬링 돈타구 2013에서 4-WAY 매치로 진행되었다.[26] 파워 스트러글 2013에서 3판 2선승 3-WAY 토네이도 태그 팀 매치로 진행되었다.[27] 3-WAY 매치로 진행되었다.[28] 원래는 당일 IWGP 태그팀 챔피언십은 현 챔피언 팀 VS 마카베 토기 & 혼마 토모아키로 내정되어 있었으나 3월 3일 오키나와 대회에서 혼마 토모아키가 경기 중 부상으로 인해 전력에서 이탈했다. 그 후, 마카베 토기가 챔피언십 도전을 사퇴, 텐코지가 대타로 참전했다.[29] 3-WAY 토네이도 태그 팀 매치로 진행되었다.[30] 마크 데이비스의 부상으로 인해 카일 플레처가 챔피언십을 반납[31] 도미니언 6.4 in 오사카-조 홀에서 펼쳐진 챔피언 결정전에서 EVIL & 타카하시 유지로, 그레이트-O-칸 & 아론 헤나레를 꺾고 챔피언에 등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7 23:15:14에 나무위키 IWGP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