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현대 한글 기본 자모
자음
· · · · · · · · · · · · ·
모음
· · · · · · · · ·
현대 한글 겹자모
자음
쌍자음
· · · ·
겹받침
· · · · · · · · · ·
모음
· · · · · · · · · ·
옛한글 자모


1. 개요
2. 발음
3. 역사
4. 용례
5. 기타


1. 개요[편집]



이름

분류
단모음
음성
ɐ~ä

한글 자모의 열다섯 번째 글자이자 모음의 첫 번째 글자다.


2. 발음[편집]


현대 한국어 표준 발음은 [ɐ](중설 근저모음)와 [ä](중설 저모음)의 중간 정도에 위치해 있다. 학교에서는 후설 평순 저모음으로 가르치고 있으나 이는 음운론적인 분류로, 음성적으로는 중설 저모음에 가까운 중설 근저모음이다. 참고로 진짜 후설 평순 저모음 [ɑ]는 한국어에는 없고 영어에서 종종 들을 수 있다.[1]


3. 역사[편집]


훈민정음에서는 를 결합한 양성모음, 훈몽자회에서는 阿(아)와 동일한 음가라고 설명하고 있다.

중세 국어에서는 아래아에 대응해 '윗아'라고 부르기도 한다. 과거에는 세로쓰기가 보편적이었던 관계로, 20세기에 최종적으로 정해진 순서대로 자모를 나열하면 'ㅏ'가 위에, ㆍ가 맨 아래에 왔기 때문이다. 다만 훈민정음 창제기에는 'ㆍ'가 , 와 함께 거의 맨 앞에 왔기 때문에, 그 기준으로 이름을 정했다면 오히려 'ㅏ'가 아래아가 됐을지도 모른다.


4. 용례[편집]


차량 번호판에서 가, 나, 다, 라, 마는 자가용, 아, 바, 사, 자는 운수사업용, 하는 렌터카에 쓰이며[2] 차, 카, 타, 파는 현재 사용하지 않는다. 오토바이 번호판의 용도기호에는 무조건 'ㅏ'가 들어간다. 정확히는 가~하 14개의 용도기호 중 하나를 쓰는 것.

'아 해 다르고 어 해 다르다'라는 속담이 있다. 한자성어로 표현하면 阿異於異(아이어이). 阿와 於는 훈몽자회에서 음차한 한자 표기를 그대로 따온 듯.


5. 기타[편집]


한글을 배우기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일본인들이 종종 처럼 적기도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04:03:26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단, 직업적인 이유로 후두를 일반 화자보다 좀더 내린 채로 말하는 사람에게서는 간혹 찾아볼 수 있다. 후두를 내리려면 혀의 무게중심이 약간 뒤로 이동해야 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후설성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는 주로 아나운서나 강사 등이 목소리의 울림을 높이기 위해 취하는 습관이다.[2] 본래 허만 쓸 수 있었으나 2014년 '호'와 함께 추가됐으며 장기렌터카 소비자들은 '호'를 더 선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