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분류

옛한글 자모
기본 자모
· · ·
중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자모
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겹자모
초성
각자병서
· · ᄽ · ᄿ · ᅏ · ᅑ · · ·
합용병서
ㅲ · ᄠ · ㅄ · ㅶ · ᄩ · ㅺ · ㅼ · ㅽ · ㅾ · ㅴ · ㅵ
연서
· ㆄ · ㅸ · ㅹ · ㅱ
중성
· · (ᆖ) · (ᆢ) ·
종성
· ·
기타
한글 초성 채움 문자
※ 문서가 없는 옛한글 자모는 옛한글 자모 문서 참고.
※ 일부 기기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음.

한글 자모



1. 개요
2. 존재 여부
3. 기타





1. 개요[편집]


ꥼ(ㆆ+ㆆ)은 쌍여린히읗, 쌍된이응, 겹된이응 등으로 불리는 옛한글 낱자이다.


2. 존재 여부[편집]


'ꥼ'의 기원에 대한 가장 유력한 설은 바로 중국 문자표의 오류다. # 중국 문자 코드 GB 12052-89의 70~71 부분에 나오는 옛한글 순서는 현재 코드 순서인 'ㅸㅿㆁㆆㅥᅇㆅㅲㅳㅴㅵㅶㅷᄥㅺㅻㅼㅽㅾ...'과 비교했을 때 'ㆅ'가 있어야 할 자리에 'ꥼ'이 있다는 점 빼고 정확히 같다는 것. 또한 우리나라의 <한글 코드에 관한 연구>의 초성 목록에 ꥼ이 등장하는데, 출처가 이 중국 표라고 하는 것을 봤을 때 이 'ꥼ' 오타가 유니코드까지 반영된 것을 알 수 있다. 유령 문자와 비슷하게 만들어진 문자인 셈. 사실 이 GB 12052-89 문자표는 믃을 믌으로, 틘을 퇸으로 쓰는 등 이미 밝혀진 오타가 몇 개 더 있다. #

훈민정음 해례본에 따르면 각자 병서(같은 글자를 겹쳐 만든 글자)를 만들 때 아음에서는 예사소리인 ㄱ을 겹쳐 ㄲ을, 설음에서는 예사소리인 ㄷ을 겹쳐 ㄸ을, 순음에서는 예사소리인 ㅂ을 겹쳐 ㅃ을, 치음에서는 예사소리인 ㅅ을 겹쳐 ㅆ을, 예사소리인 ㅈ을 합쳐 ㅉ을 만들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후음에서는 ㅇ을 가획한 ㆆ이 아니라 두 번째 가획자인 ㅎ을 겹쳐 ㆅ을 만들 수 있다고 해 두었다. ㆆ은 예사소리에 해당됨에도 불구하고, 소리가 깊어 엉기[凝]지 않으므로 ㆆ보다 소리가 오히려 얕은 ㅎ을 겹쳐 ㆅ을 만들었다고 하였다.

ꥼ은 훈민정음 해례본뿐만 아니라 여타 조선 시대 외국어 교재에도 쓰인 적이 없는 글자다. 이러한 점들을 보면 ꥼ이 실제로 존재했던 낱자인지조차 의심스러우며, ꥼ이 왜 유니코드에 U+A97C로 들어가 있는지도 알 수 없다. 심지어 비슷한 처지의 국립국어원 소식지에서 유니코드에 들어갈 낱자 후보로 언급이라도 되었지, ꥼ은 그런 것도 없다.

만약 쓴다면 기존 이 성문 파열음(ʔ)이니까 ꥼ는 후두개 파열음(ʡ)을 나타내는데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3. 기타[편집]


유니코드의 한글 자모들로 조합할 수 있는 옛한글 중 가장 마지막 글자는 'ꥼᆢᇹ'이다. 유니코드 5.2에 ꥼ이 추가되기 전에는 'ᅙᆢᇹ'이 조합 가능한 가장 마지막 글자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21:49:04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