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덤프버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노벨문학상 수상자

20세기 [ 펼치기 · 접기 ]
1901년
1902년
1903년
1904년
1905년
쉴리 프뤼돔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테오도르 몸젠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외른손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호세 에체가라이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Military_ensign_of_Vistula_Flotilla_of_Congress_Poland.svg.png
1906년
1907년
1908년
1909년
1910년
조수에 카르두치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러디어드 키플링
파일:영국 국기.svg
루돌프 오이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셀마 라겔뢰프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울 폰 하이제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1911년
1912년
1913년
1914년
1915년
모리스 마테를링크
파일:벨기에 국기.svg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수상자 없음
로맹 롤랑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1916년
1917년
1918년
1919년
1920년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파일:스웨덴 국기.svg
카를 기엘레루프, 헨리크 폰토피단
파일:덴마크 국기.svg
수상자 없음
카를 슈피텔러
파일:스위스 국기.svg
크누트 함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1921년
1922년
1923년
1924년
1925년
아나톨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하신토 베나벤테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브와디스와프 레이몬트
파일:폴란드 국기(1919-1927).svg
조지 버나드 쇼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1926년
1927년
1928년
1929년
1930년
그라치아 델레다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앙리 베르그송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시그리드 운세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토마스 만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싱클레어 루이스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1931년
1932년
1933년
1934년
1935년
에릭 악셀 카를펠트
파일:스웨덴 국기.svg
존 골즈워디
파일:영국 국기.svg
이반 부닌
루이지 피란델로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수상자 없음
1936년
1937년
1938년
1939년
1940년
유진 오닐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로제 마르탱 뒤 가르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펄 벅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프란스 에밀 실란패
파일:핀란드 국기.svg
수상자 없음
1941년
1942년
1943년
1944년
1945년
수상자 없음
요하네스 빌헬름 옌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파일:칠레 국기.svg
1946년
1947년
1948년
1949년
1950년
헤르만 헤세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앙드레 지드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파일:영국 국기.svg
윌리엄 포크너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버트런드 러셀
파일:영국 국기.svg
1951년
1952년
1953년
1954년
1955년
페르 라게르크비스트
파일:스웨덴 국기.svg
프랑수아 모리아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윈스턴 처칠
파일:영국 국기.svg
어니스트 헤밍웨이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할도르 락스네스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1956년
1957년
1958년
1959년
1960년
후안 라몬 히메네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알베르 카뮈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파일:소련 국기.svg
살바토레 콰시모토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생존 페르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1961년
1962년
1963년
1964년
1965년
이보 안드리치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존 스타인벡
파일:미국 국기.svg
요르기우스 세페리스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장폴 사르트르
파일:프랑스 국기.svg
(수상 거부)
미하일 숄로호프
파일:소련 국기.svg
1966년
1967년
1968년
1969년
1970년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넬리 작스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미겔 앙헬 아스투리아스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가와바타 야스나리
파일:일본 국기.svg
사뮈엘 베케트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파일:소련 국기.svg
1971년
1972년
1973년
1974년
1975년
파블로 네루다
파일:칠레 국기.svg
하인리히 뵐
파일:독일 국기.svg
패트릭 화이트
파일:호주 국기.svg
에위빈드 욘손, 하뤼 마르틴손
파일:스웨덴 국기.svg
에우제니오 몬탈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76년
1977년
1978년
1979년
1980년
솔 벨로
파일:미국 국기.svg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오디세우스 엘리티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체스와프 미워시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엘리아스 카네티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파일:영국 국기.svg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윌리엄 골딩
파일:영국 국기.svg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
파일:체코 국기.svg
클로드 시몽
파일:프랑스 국기.svg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월레 소잉카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조지프 브로드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나기브 마푸즈
파일:이집트 국기.svg
카밀로 호세 셀라
파일:스페인 국기.svg
옥타비오 파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나딘 고디머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데릭 월컷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1979–2002).svg.png
토니 모리슨
파일:미국 국기.svg
오에 겐자부로
파일:일본 국기.svg
셰이머스 히니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파일:폴란드 국기.svg
다리오 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주제 사라마구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귄터 그라스
파일:독일 국기.svg
가오싱젠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Gabriel García Márquez


파일:990927_ra633.jpg

1982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본명
가브리엘 호세 데 라 콘코르디아 가르시아 마르케스
Gabriel José de la Concordia García Márquez
출생
1927년 3월 6일
콜롬비아 마그달레나주 아라카타카
사망
2014년 4월 17일 (향년 87세)
멕시코 멕시코시티
국적
[[콜롬비아|

콜롬비아
display: none; display: 콜롬비아"
행정구
]]

직업
소설가, 저널리스트, 정치 운동가
학력
콜롬비아 국립 대학교
가족
배우자 (1958년 결혼)
자녀 3명
종교
가톨릭
서명
파일:Gabriel_Marquez_Signature.svg

1. 개요
2. 생애
3. 작품 스타일
4. 여담



1. 개요[편집]


역사상 가장 위대한 콜롬비아인.

후안 마누엘 산토스#


콜롬비아의 작가. 20세기 중반 남미와 세계 문학사를 대표하는 대문호 중 한 명이다.


2. 생애[편집]


1927년 콜롬비아에서 태어나 스무 살에 보고타의 콜롬비아국립 대학교에서 법률 공부를 시작하지만 정치적 혼란 속에서[1] 학교를 중퇴하고 자유파 계열 신문인 《엘 에스펙타도르》의 신문기자로 사회생활을 시작한다. 1954년 특파원으로 로마에 파견된 그는 본국의 정치적 부패와 혼란을 비판하는 칼럼을 쓴 것을 계기로 파리, 뉴욕 등을 떠돌게 된다. 그 후 마르케스는 정치적 성향이 뚜렷해 1955년 공산당에 입당, 적극적인 정치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1950년대 이후 남미가 혁명과 폭력으로 혼란을 겪자, 좌익단체 산디니스타를 지원한 적도 있었다. 어쨌든 정치적으로도 명성이 드높았던 인물이었던지라 콜롬비아 자유당 및 콜롬비아 내 여러 좌파정당들에게서 정계진출을 제의받은 적도 있지만 마르케스는 이를 시원하게 거절했고, 소설가 및 시사평론가로 남았다.

마르케스는 남미의 역사, 토착신화, 마술, 미신, 민담 등을 소설의 주요 모티브로 삼으며 남미의 마술적 사실주의(마술적 리얼리즘)를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첫 소설 <낙엽>은 집필 7년 후인 1955년 출간됐으며, 퇴역 대령인 외할아버지를 모델로 쓴 <아무도 대령에게 편지하지 않았다>(1961)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으며, 1967년 대표작인 <백년의 고독>을 발표했다. 1982년에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그 밖의 작품으로는 <콜레라 시대의 사랑>, <미로 속의 장군> 등이 있다.

생전에 피델 카스트로와 매우 절친한 친구 사이였다. 그 때문에 공석에서 카스트로에 대한 비판을 일축하면서까지 옹호했기 때문에 카스트로의 딸랑이나 피델의 입이라는 야유를 받았고, 여타 소설가들이나 예술인들에게도 독재정권을 옹호한다느니 피델의 궁전작가 아니냐는 식의 비판이나 비아냥도 많이 들었다. 사실 이런 경력만 본다면 일방적으로 카스트로를 추종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카스트로와 연락을 주고받으면서도 쿠바 체제에 대해서 비판할 것은 비판하거나 쿠바 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수시로 조언도 해주었다고 한다. 카스트로는 비록 마르케스의 조언을 다 들어주지는 않았지만 일부는 받아들이기는 받아들여서 정치범을 석방시키거나 개혁의 제스쳐로 계급장 없는 옷을 벗고 양복과 과야베라를 입고 공식석상에 올라오게 만든다거나 했다. 즉, 알게 모르게 쿠바 체제의 경직성을 완화시켜준 일을 맡은 것이다. 반대로 마르케스가 작품 초고를 낼 때마다 피델이 초고 작품에 대해 이런 저런 면들을 비평해주면서 고쳐쓸 건 고쳐쓰게 만들었다. 피델도 문화적인 소양은 대단했던 인물이었기 때문에 마르케스의 소설에 대해 이렇쿵저러쿵 비평을 해주면서 교정시켜주는 일을 맡기에는 딱이었기도 했다 즉, 절친은 절친이었지만 잘못에 대해서 무조건적으로 감싸안기보다는 서로에게 비판할 것은 비판하는 생산적인 관계였다는 것. 여하간 이로 인해서 미국행 비자를 받지 못해서 미국에 방문하지 못했다가 빌 클린턴 때 와서야 비자를 받고 미국에 방문할 수 있게 되었다는 후일담도 있다. 또한 중남미의 여러 독재자들을 비판하는 우화 소설인 <족장의 가을>을 마르케스가 썼을 때는 둘 사이가 잠깐 서먹해지기도 했다고 한다.


3. 작품 스타일[편집]


중남미를 대표하는 소설사조로 유명한 마술적 사실주의 작가 중에서도 대표적인 거두로, 그의 소설들은 중남미의 역사, 토착신화, 마술, 미신, 민담을 한 데 모아 버무려 환상적인 이야기로 그리고 있다는 것이 특징인데, 특히 그의 대표작인 백년의 고독은 백년에 걸친 마꼰도와 부엔디아 가문의 이야기를 통해 중남미의 역사를 압축적으로 그려내고 있으며, 또다른 대표작인 족장의 가을은 중남미를 시대별로 지배한 각종 독재자들의 특징을 작중 등장하는 주인공 독재자인 '그/족장'을 통해 압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는데, 또한 족장의 가을은 백년의 고독에서 페르난다가 몇 페이지에 걸쳐 고래고래 잔소리를 늘어놓는 장면에서 등장한 기법을 한층 발전시켜, 아예 소설 전체가 몇 개의 문장으로, 마침표 없이 쉼표만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사회비판적 메시지를 작중에 담아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독재자들의 폭정을 비판하는 족장의 가을은 말할 것도 없고, 대표적인 경우가 백년의 고독에서 바나나 학살 같은 장면. 이후 소설이 전 세계적으로 유명세를 얻으면서 콜롬비아 정치인이 이에 대해 사과하고 진상 규명을 촉구하는 등 실제로도 사회 문제 개선에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또다른 작품인 '에렌디라와 그녀의 무정한 할머니의 말할 수 없이 슬픈 이야기'에서는 어린 손녀 에렌디라를 강제로 매춘부로 만드는 그녀의 할머니를 보여 주며 이러한 악습들에 대해 비판하기도 한다. 여담으로 등장하는 소녀 에렌디라는 백년의 고독에서도 까메오로 잠깐 출연한다.


4. 여담[편집]


최초로 쓴 소설을 출판사에 냈을 때 "소설가로서 미래가 없다"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

본인이 자서전에서 밝힌 바로는 맞춤법을 자주 틀린다고 한다. 그래서 그의 글을 받은 편집자들이 '설마 노벨 문학상까지 받은 대문호께서 맞춤법을 틀리실 리는 없고, 일부러 이렇게 쓰신 거겠지?'라고 생각하는 통에 매번 고쳐주느라 진땀을 빼야 했다고 한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정치적으로 논란이 많았지만 콜롬비아는 물론 세계적인 대문호로 손꼽히는 인물인 만큼 사후인 2016년부터 발행하는 새 콜롬비아 5만페소 지폐의 인물이 되었다.

큰아들은 영화감독 로드리고 가르시아로 '그녀를 보기만 해도 알 수 있는 것' 감독으로 유명하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12:09:18에 나무위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 콜롬비아는 강력한 차기 대권주자였던 호르헤 가이탄에 대한 암살사건의 여파로 내전이 터지는 격동의 시기였고, 이 여파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