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낭콩

덤프버전 :


🥬 채소

[ 펼치기 · 접기 ]
십자
화목
배추속
브라시카 오레라케아: 양배추 · 콜라비 · 콜리플라워 · 브로콜리 · 케일 · 콜라드 · 적채
브라시카 라파: 배추(봄동 · 얼갈이배추) · 순무 · 채심 · 청경채
기타: · 쌈추 · 유채 · 자차이 · 루타바가
기타
(무청 · 시래기 · 우거지 · 열무) · 냉이 · 와사비 · 로켓(루꼴라)
가지

고추속
고추 · 피망 · 파프리카 · 페페론치노 · 할라피뇨 · 청양고추 · 부트 졸로키아 · 하바네로
나팔꽃속
고구마 · 공심채
가지속
가지 · 감자 · 토마토
천남성과
토란 · 타로 · 구약감자
범의 귀과
돌나물 · 돌단풍
박과
· 수박 · 여주 · 멜론 · 호박(애호박 · 늙은호박) · 오이 · 단호박 · 수세미 · 울외 · 동아
석죽

비름과
시금치 · 비름 · 명아주 · 사탕무 · 근대 · 비트 · 퉁퉁마디
기타
쇠비름 · 루바브 · 하수오
미나
리목
미나리과
미나리 · 셀러리 · 당귀 · 흥거 · 신선초 · 참나물 · 시호 · 당근 · 파스닙 · 고수 · 파슬리
두릅나무과
두릅 · 인삼
비짜
루목
비짜루과
아스파라거스 · 둥굴레 · 무릇 · 용설란 · 비짜루
수선화과
마늘 · 대파 · 양파 · 샬럿 · 부추 · 쪽파 · 달래 · 락교 · 리크(코끼리마늘) · 차이브 · 명이나물
아욱과
아욱 · 목화 · 오크라 · 카카오 · 말아욱
국화과
곤드레 · 엔디브 · 치커리 · 곤달비 · · 쑥갓 · 우엉 · 참취 · 곰취 · 민들레 · 씀바귀 · 상추 · 양상추 · 야콘 · 아티초크 · 머위 · 로메인 상추 · 돼지감자 · 부지갱이 · 고들빼기
초롱꽃과
도라지 · 더덕 · 잔대
콩과
· 대두(콩나물 · 풋콩) · 녹두(숙주나물) · 강낭콩 · 렌틸 · 작두콩 · 땅콩 · 서리태 · 완두 · 병아리콩 · · 구아 ·
버섯류
송이버섯 · 능이버섯 · 표고버섯 · 팽이버섯 · 영지버섯 · 참송이버섯 · 새송이버섯 · 송로버섯 · 양송이버섯 · 목이버섯 · 노루궁뎅이버섯 · 느타리버섯 · 만가닥버섯
기타
고사리 · 연근 · 죽순 · 생강 · 카사바 · · 으름 · 파극천 · 옻순
※: 채소가 아닌 과채류, 견과류, 곡류, 균류로 보기도 함
비가공 식품/재배물 기타 틀: 고기 · 곡물 · 과일 · 채소 · 해조류 · 향신료


곡물

[ 펼치기 · 접기 ]



파일:external/3dpormo.co.kr/%EA%B0%95%EB%82%AD%EC%BD%A9.jpg
강낭콩
Kidney beans[1]
이명: 강남콩
Phaseolus vulgaris L.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Angiosperms)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콩목(Fabales)

콩과(Fabaceae)
아과
콩아과(Faboideae)

강낭콩속(Phaseoleae)
꽃말
행복
1. 개요
2. 생태
3. 활용
4. 풋강낭콩(스트링빈스)
5. 강낭콩? 강남콩?
5.1.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쌍떡잎식물 콩과의 한해살이풀이자 강낭콩 가지에서 나오는 열매(콩 꼬투리 혹은 콩깍지)와 씨앗(콩알)의 일종.

2. 생태[편집]


멕시코가 원산지이며 멕시코 외에도 과테말라, 온두라스중남미 지역에서 재배되는 콩으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 이후로는 스페인으로도 전파되었다. 현재는 중국, 인도, 브라질 등에서 재배한다.

서늘한 기후를 좋아한다. 한국에서도 분단 전에는 생산량 대부분이 함경도에서 났다. 열매는 붉은빛에 원통형 꼬투리로 좀 납작하고 꽃잎은 붉은빛 등을 띈다. 가지는 사료용으로 주로 사용한다.

스페인이 필리핀을 점령하면서 명나라에 전해진 듯하다. 기록은 없지만 명나라 때 쓰인 본초강목에 강낭콩이 나온다. 명나라가 멸망한 후 일본으로 가서 만푸쿠지(萬福寺)를 세운 황벽종 승려 은원(隱元 1592-1673) 선사가 일본에 전했다 하여 일본에서는 강낭콩을 은원두(隠元豆), 일본식 발음으로는 인겐마메(いんげんまめ)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에는 중국 남부지방에서 전파되어 들어왔다.

3. 활용[편집]


퍽퍽한 식감이 과 유사하기 때문에 흔히 접할 수 있는 제과 재료 중 백앙금은 원래는 팥의 붉은 껍질을 제거한 것으로 만들었지만 현재 시판되는 백앙금은 대부분 강낭콩을 재료로 만들었다. 이 때문에 요즘은 진짜 팥으로 만든 백앙금은 거피팥앙금, 거피팥고물 등으로 부른다. 또한 좀 싸구려인 시판 팥앙금은 보통 팥 절반, 강낭콩 절반 섞어서 만들기 때문에 팥만으로 된 앙금이나 고물을 원한다면 성분표를 잘 볼 것.

베이크드 빈즈는 강낭콩으로 만든다. 삶은 콩에 토마토 소스 맛이지만, 강낭콩을 그냥 삶아서 먹는 것보다는 먹기 수월하다.

국민학교 시절부터 어린 학생들이 자연 과목 때 실습용 대상이 되어서 성장과정을 토대로 과제를 만들게 한 식물이다. 21세기가 온 후로도 초등학생들이 실습을 한다.[2] 살면서 이 문서를 보는 왠만한 사람들은 한 번쯤 키운 적이 있을 것이다.[3] 성장이 빠르고 키우기 쉬워서 그런 듯.[4]

씨알이 굵고 식감이 퍽퍽하며 비릿한 맛이 있어 호불호가 크게 갈리기에 완두콩, 서리태, 땅콩 등 다른 종류의 콩들은 다 먹어도 강낭콩만은 안 먹는 사람도 많다. 좋아하는 사람은 그 특유의 퍽퍽함을 매우 즐긴다. 콩의 비릿한 향이 싫어서 콩밥을 싫어하는 사람들에게는 강낭콩 밥 먹기야말로 고문이나 다름없다. 다른 콩들은 삼켜서 먹을 수 있지만 강낭콩은 다른 콩보다 씨알이 많이 굵어서 삼켜서 먹다간 자칫 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콩밥처럼 주식에 억지로 섞어들어간 경우가 문제다.

반드시 익혀 먹어야 한다. 렉틴이라는 독소가 있어서 날것으로 먹을 경우 심각한 장출혈, 토혈, 발한, 오한, 빈맥, 복부경련을 일으키며 심하면 사망하기도 한다.


4. 풋강낭콩(스트링빈스)[편집]


덜 익어 깍지 속에 들어있는 강낭콩을 풋강낭콩이라고 부른다. 다만 국내에선 일반적으로 소비되는 재료가 아니라서 외국 요리에 관심을 가지는 경우에 주로 찾게 되므로 외국 이름인 그린빈스로 더 자주 불린다. 깍지채로 조리하며 부드러우면서도 모양이 쉽게 망가지지 않아 존재감이 옅은 버전의 아스파라거스 같은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다. 파릇파릇한 녹색을 유지하면서도 냄새나 맛이 강하지 않아 맛과 향이 강한 요리에 끼워주면 비주얼이 확 살아난다. 그냥 먹을 경우 살짝 간을 하고 데치거나 볶아서 먹는다.


5. 강낭콩? 강남콩?[편집]


옛날에 국내에서는 '강남콩'이 표준어였고 '강낭콩'은 그른 말이었다. 맞춤법 문제로도 수두룩하게 나올 정도. 어원은 중국의 강남('장난')에서 온 콩이라는 뜻의 '강남콩'이지만 서울의 강남을 떠올리는 등 어원 의식이 희박해져 서울 강남에서 콩 재배도 하냐[5], 강남산(産) 콩이라는 오해를 불렀다가 1985~1987년 사이에 표준어 규정에 따라 널리 쓰인 '강낭콩'으로 변경하였다. '강냉이' 변화도 마찬가지. 종성 'ㅁ'이 뒤의 'ㅋ'에 조음 위치 동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지금도 일부에서는 '강남콩'으로 잘못 부르는 경우가 있다. "강낭콩이 잘 자랐습니다."를 나이 드신 분들한테 쓰게 하면 꽤 많은 분들이 "강남콩이 잘 자랐읍니다."라고 쓴다. 네이버 국어사전에도 '강남콩'이 '강낭콩'의 잘못으로 등재되었다.링크

'삭월세'와 더불어 사어로 지정된 대표적 표현이며, 기간이 비교적 길지 않아 자주 틀리는 단어라고 할 수 있다.

5.1.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3:51:00에 나무위키 강낭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직역하자면 콩팥콩. 생김새가 콩팥과 비슷해서 붙은 이름이다. 비슷한 예가 캐슈넛의 중국어.[2] 2015년 기준으로 4학년 식물의 한살이 단원에서 강낭콩을 기르는 실습을 한다.[3] 다만 학교 수업으로 키우는 방식이 제각각인데, 그냥 교실 창가에 화분 한두개 들여놓고 강낭콩을 심은 후 한 반이 다같이 키우거나, 각자 작은 화분과 소분 상토를 나눠준 뒤 각각 하나씩 키우게 하는 경우도 많다. 좀 시골 학교의 경우에는 학교 뒷편 텃밭에다 반마다 구역을 정해 심거나, 좀 오래된 학교는 방학숙제로 키트를 나눠줘 잘 키워서 개학때 가져오라는 경우도 있다.[4] 에초에 남아메리카에서부터 유럽, 아시아까지 고루고루 키워지는 튼튼한 녀석이다.[5] 실제로 강남구 일대는 1970년대 도시개발 진행 이전까지는 전형적인 농촌지역이었다. 1975년에 강남구가 신설된 이후로 대대적인 개발이 진행되면서 자의든 타의든 농가 대부분이 농사를 접었지만, 그래도 아직도 농사를 짓는 일부 농가가 있기는 하다. 당연히 이 시절에 강낭콩재배도 하기는 했지만 어원과는 별 상관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