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미술

덤프버전 :

분류

槪念美術
conceptual art

1. 개요
2. 특징



1. 개요[편집]


모더니즘의 역사

[ 펼치기 · 접기 ]
19세기
리얼리즘 (1840~1860) · 인상주의 (1863~1890) · 탈인상주의 (1886~1905) · 나비파 (1888~1900)
러시아 아방가르드 (1890~1930) · 분리파 (1892~1910)
모더니즘 외 사조}}} 아카데믹 미술(아카데미즘) · 라파엘 전파 (1848~1854) · 미술공예운동 (1860~1910) · 상징주의 (1880~1910) · 아르누보 (1890~1910)
20세기 초
야수파 (1904~1909) · 입체주의 (1907~1914) · 미래주의 (1909~1916) · 다다이즘 (1916~1930) · 초현실주의 (파리 다다) (1920년대)
표현주의 (1905~1930) · 다리파 (1905~1913) · 청기사파 (1911) · 더 스테일 (1917~1931) · 바우하우스 (1919~1933)
구축주의 (1920년대) · 절대주의 (쉬프레마티슴) (1913~1917) · 생산주의 (1917년 이후)
모더니즘 외 사조}}}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1922~1986) · 나치 시대의 미술 (1933~1945)
전후 모더니즘
추상표현주의 (1940년대) · 비정형 미술(앵포르멜) (196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팝아트 (1960년대) · 미니멀리즘 (1960년대) · 해프닝 (1970년대) · 개념 미술 (1980년대)



서양 미술사의 시대 · 사조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width=130><colbgcolor=#777,#888888> 원시 미술
~ 기원전 12세기
|| 선사 미술 | 메소포타미아 미술 | 이집트 미술 ||
||<-2><bgcolor=#fff,#191919>

||
|| 고대 미술
기원전 12세기 ~ 서기 4세기
|| 그리스 고졸기 미술 | 그리스 고전기 미술 | 헬레니즘 미술 | 로마 미술 ||
||<-2><bgcolor=#fff,#191919>

||
|| 중세 미술
4세기 ~ 14세기
|| 비잔틴 미술 | 로마네스크 | 고딕 ||
||<-2><bgcolor=#fff,#191919>

||
|| 근세 미술
14세기 ~ 19세기
|| 르네상스 | 매너리즘 | 바로크 | 로코코 | 신고전주의 | 낭만주의 | 아카데미즘 ||
||<-2><bgcolor=#fff,#191919>

||
|| 근대 미술
19세기 ~ 20세기
|| 모더니즘 | 리얼리즘 | 인상주의 | 탈인상주의 | 라파엘 전파 | 미술공예운동 | 보자르 | 아르누보 | 아르데코 | 탐미주의 | 분리파 | 표현주의 | 다리파 | 청기사파 | 더 스테일 | 바우하우스 | 추상회화 | 야수파 | 미래주의 |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 | 기하학적 추상 | 아방가르드 | 구축주의 | 구조주의 | 절대주의 | 상징주의 | 입체주의 | 구성주의 | 퇴폐미술 | 권위주의 예술 |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
||<-2><bgcolor=#fff,#191919>

||
|| 현대 미술
탈근대 미술
20세기 ~
|| 포스트모더니즘 | 행위예술 | 대지 예술 | 개념미술 | 설치예술 | 추상표현주의 | 미니멀리즘 | 스큐어모피즘 | 팝 아트 | 옵아트 | 키네틱 아트 | 해프닝 | 서정적 추상 | 앵포르멜 | 아르테 포베라 | 상황주의 | 제도비평 | 페미니즘 미술 | 소수자 미술 | 탈식민주의 미술 | 신표현주의 | 전유미술 | 극사실주의 | 플럭서스 | 비디오 아트 | 사운드 아트 | 미디어 아트 ||



개념미술 - 두산백과
파일:one and three chairs.jpg
조셉 코수스 - 〈하나이면서 셋인 의자〉 (1965)
--
[ 작품 해설 펼치기 · 접기 ]
해당 작품은 의자 하나, 의자의 사진 하나, 그리고 의자의 사전적 정의가 적혀 있는 종이 하나로 구성된 작품이다. '의자'라는 하나의 개념의 존재를 셋으로 나눈 이 작품은 인식론적 질문을 던진다. 흑백사진으로 의자의 시각적 모습을 복제한 '의자'는 실재와 모방의 상관관계에 대해 질문한다. 사전적 정의로서의 '의자'는 지식에 있어 인간이 언어적 구조에 대해 갖는 의존성에 대해 질문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의자는 다른 평범한 의자와 다를바 없는 오브제를 작품의 구성원으로서 소개함으로서 — 뒤샹이 도발적으로 제시하였듯 — 의자의 본래 사용 방법에서 벗어난 '의자가 아닌 것'이 되는, 그러나 동시에 '의자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예술품의 일부가 되는 역설을 보여준다. 셋 중 '진짜 의자'는 무엇일까?

파일:25215242463_82b92a823b_o.jpg
펠릭스 곤잘레스 토레스 - 〈무제(LA에서 로스의 초상)〉 (1991)
--
[ 작품 해설 펼치기 · 접기 ]
해당 작품은 79kg의 사탕을 미술관에 쌓아놓고, 관객들에게 그 사탕을 자유롭게 집어갈 것을 요청한 조형물로, 이가 모두 동나면 다시 79kg의 사탕이 채워지는 형태이다. 〈무제〉는 에이즈로 사망한 그의 남자친구 로스를 기리기 위한 작품으로, 79kg은 로스가 건강했을 적의 몸무게이다. 점점 작아지는 사탕 더미는 서서히 야위며 죽음으로 향하는 그의 육체를 은유하며, 동시에 관객이 가져가는 사탕의 달콤함은 곤잘레스 토레스가 로스와 함께한 사랑을 상징한다. 사라지는 동시에 생겨나는 사탕더미는 시간의 선 아래 순환하는 영원불멸의 사랑의 기억을 표현하여, 비극적이면서도 로맨틱한 여운을 남긴다. 또한 '존재함으로서 저항한다'라는 곤잘레스 토레스의 작품 세계의 대주제는 1980~90년대의 에이즈 위기 당시 이민자·동성애자·HIV 보균자라는 사회적 소수자로서의 저항 의식을 드러낸다.


미니멀리즘 이후에 등장한 현대미술의 한 경향.

이전 예술과 달리 완성된 작품 자체보다 그 작품을 만드는 과정이나 아이디어만 있어도 예술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 시초는 마르셀 뒤샹.

대표적인 개념미술 작가인 솔 르윗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개념미술에서는 생각이나 관념이 작품의 가장 중요한 측면이 된다. 예술가가 예술의 관념적 형식을 사용할 때, 그것은 모든 계획과 결정이 미리 만들어지고 실행은 요식행위임을 의미한다. 생각이 예술을 만드는 기계가 된다."


2. 특징[편집]


개념미술 강의

대표 작가로는 마르셀 뒤샹, 조셉 코수스, 솔 르윗, 온 카와라, 소피 칼 등이 있다.

파일:external/img.khan.co.kr/l_2012101301001327800123793.jpg
온 카와라, <오늘 연작 No.217. (TODAY Series No. 217.)>, 1966

한 예로, 온 카와라는 50년 동안 그날의 날짜를 그림으로 그리는 짓을 3천 번 반복했다.# 자신이 여기 존재한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이런 작업을 한 것. 그는 나이를 표기할 때도 '29,771일을 살았다'는 방식을 고수했다고 한다.

개념미술 작품에 대한 일반 대중들의 평은 볼거리가 별로 없다. 볼품이 없다. 난해하다 가 일반적이다. 전시장에 가면 웬 쌩뚱맞은 물건이나 사진만 덩그러니 놓여있거나 겨우 글귀를 인쇄해 놓은 종이 한장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반면 작품 설명문은 그 내용이 매우 방대하다. 작품과 관련된 썰이 굉장히 많고 어렵다.(...)

호기심과 상상력이 풍부한 사람들은 감상하는데 별 상관을 안 한다. 어차피 눈에 보이는 빈곤한(...) 작품 자체는 그냥 관문에 불과하다. 중요한 건 '그 작품이 대체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생각하는 것'이다. 기존의 예술이 잘 정리된 보고서를 관객에게 떠먹여 주는 것이었다면, 개념미술은 알쏭달쏭 수수께끼 푸는 것과 유사하다.

당연히 이 개념미술의 최대 단점은 대중성이 없다는 것이다. 위에서 말한대로 작품을 감상하려면 많은 생각이 필요하기 때문. 대중은 내용이 표면으로 나와있는 대중미술에 익숙해 있어 이런 작품에서 의미를 찾는것을 답답하게 여길 수 있다.

대신 장점은 삶이 풍부해진다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감상하고 해석하는데 익숙해지면 어느새 일상의 사소한 것들에도 감명을 받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사실 개념미술가들 중에는 이렇게 '소소한 일상을 재발견하자'는 모토를 들이미는 경우가 상당수이다. 자신의 연애 경험을 개념미술로 만드는 소피 칼 같은 경우가 대표적.

그리고 예술가 입장에서는 정말 작업할 맛이 난다. 당연한 게, 복잡하게 자르고 붙이고 그리는 과정을 할 필요 없이 생각만 하면 된다. 예술의 중요 요건 중의 하나가 경제성인데, 투입량에 비해서 산출량이 많아야 한다는 경제논리는 예술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예술가가 들이는 공력에 비해서 정작 예술가 자신의 만족도가 떨어진다면 그 예술은 좋은 예술이 아닌 것이다. 왜 극사실주의 그림을 그리는 사람보다 사진을 찍는 사람들이 훨씬 많은지 생각해보자. 그리고 사실상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것이 예술이 되기 때문에, 개념미술은 정말 무궁무진한 가능성이 있다.[1]

결과적으로 개념미술은 회화는 회화다워야 한다고 주장하며 추상을 실컷 밀어줬던 클레멘트 그린버그를 엿먹이고, 미술을 문학에 가까운 것으로 만들어 버렸다.[2]

사실상 오늘날 거의 모든 예술은 개념예술이거나, 개념예술과 상하관계에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15:19:20에 나무위키 개념 미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근데 사실 직접 해보면 제일 어려운 게 생각이란 걸 알게 된다. 점으로 그림을 그리고 좁쌀 하나까지 정교하게 표현하는 건 그냥 계속 하면 되는데 생각은 그게 아니다. 이는 하단 항목에 쓰여있듯이 작품을 해석하는 관객들도 마찬가지이기에 개념미술이 비판받게 만드는 가장 큰 요인이다.[2] 생각해보자. 해리 포터 소설을 읽을 때 사람들은 헤르미온느의 귀여운 모습을 머릿속으로 상상할 수 있지만, 영화에서는 주어진 배우가 연기하는 모습을 받아들이기만 해야 한다. 상상력이 풍부하다면, 문학이 오히려 더 큰 만족감을 줄 수도 있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