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노 담화

덤프버전 :

일본 내각의 역대 전쟁 범죄 인정 사례

[ 펼치기 · 접기 ]
1993년
고노 담화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인정과 사죄
1995년
무라야마 담화
일본의 전쟁범죄 인정과 식민지 지배 사죄
1998년
김대중•오부치 게이조 공동선언
식민지 지배의 가해책임 인정과 식민지 지배 사죄
2005년
고이즈미 담화
무라야마 담화 재확인 및 계승의지 천명
2010년
간 담화
한일병합의 강제성, 식민지 지배의 폭력성에 대해 인정과 사죄




[ 펼치기 · 접기 ]
역사
칠지도 · 신라-왜 전쟁 · 일본의 신라 침공 계획 ·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 한국 역사상 일본을 공격한 사례 · 가야멸망전 · 백제부흥운동 · 백강 전투 · 원나라의 일본원정 · 왜구 · 대마도 정벌 · 계해약조 · 삼포왜란 · 을묘왜변 · 사량진 왜변 · 임진왜란 · 조선통신사 · 기유약조 · 운요호 사건 · 조일수호조규 · 조일통상장정 · 주한일본공사관 · 임오군란 · 갑신정변 · 동학농민운동 · 갑오사변 · 을미사변 · 톈진 조약 · 제물포 조약 · 한성조약 · 제1차 한일협약 ·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 을미사변 · 니시-로젠 협정 · 영일동맹 · 가쓰라-태프트 밀약 · 러일전쟁 · 포츠머스 조약 · 을미의병 · 을사의병 · 정미의병 · 대한제국 군대해산 · 남한 대토벌 작전 · 을사조약 · 한일의정서 · 기유각서 · 한일약정각서 · 정미 7조약 · 간도협약 · 한일병합조약 · 일제강점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 조선총독부 · 3.1운동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독립군 · 한인애국단 · 한국광복군 · 국가총동원법 · 일본군 위안부 · 8.15 광복
사건
사고

우키시마호 사건 · 6.25 전쟁 · 다이호마루 사건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독도대첩 · 재일교포 북송 · 니가타 일본 적십자 센터 폭파 미수 사건 · 6.3 항쟁 · 시노하라 사건 · 신오쿠보역 승객 추락사고 · 갑신왜란 · 2010년 삼일절 사이버 전쟁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독도 방문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천황 사과 요구 · 일본 해상자위대 초계기 저공 위협비행 사건 · 한국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한 WTO 분쟁 · 아베 신조 한국 비하 발언 논란 · 도미타 나오야 카메라 절도 사건 · 일본 축구부 단체 절도 사건 · 대한항공 A380 독도 시범비행 · 제주 국제관함식 자위대 욱일기 논란 · 김포공항 일본 공무원 난동 사건 · 한일 무역 분쟁 ·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 홍대거리 일본 여행객 폭행 사건 · 대한민국 해경 일본 측량선 저지 사건 · 2020 도쿄 올림픽 조직위원회 사이트 독도 및 쿠릴열도 표기 논란 · 주한 일본 공사 한국 대통령 비하 발언 논란 · 2020 도쿄 올림픽 한국 선수단 현수막 논란 · 한-일 정상 약식회담 논란 · 2022년 일본 국제 관함식 욱일기 대함경례 논란 · 일본안보전략 독도영유권주장 · 윤석열 대통령 삼일절 기념사 논란 · 한솔동 삼일절 일장기 게양 사건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외교
한일관계 (2020년대) · 한일안보협력 · 한일수교 · 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한국-대만-일본 관계 · 한일동맹 ·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일본대사관 · 한일기본조약 · 독도 밀약 · 전두환 대통령 일본국 공식 방문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6자회담 · 고노 담화 · 무라야마 담화 · 고이즈미 담화 · 간 담화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을 위한 행동계획 ·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문재인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윤석열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강제징용 피해배상금 한국기업 대납안 · 2023년 한일정상회담 (3월·5월)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기타
한국군 vs 자위대 · 한일전 · 혐한/일본 · 반일/대한민국 · 일본/과거사 청산 문제 · 사죄와 배상을 요구한다 · 독도 · 평화의 소녀상 · 동해/명칭 문제 · 토착왜구 · 친일파 · 친일반민족행위자 · 친일몰이 · 반일씹덕 · 일본의 한류 · 일본을 공격한다 · 일본 극우사관 · 예스 재팬 세대 · 인천-나리타 항공노선 · 인천-간사이 항공노선 · 김포-하네다 항공노선 · 자코타 삼각지대


1. 개요
2. 상세
3. 기타
4. 전문


1. 개요[편집]


河野談話 (こうのだんわ). 정식명칭은 ‘위안부 관계 조사결과 발표에 관한 고노 내각관방장관 담화(慰安婦関係調査結果発表に関する河野内閣官房長官談話)’.

1993년 8월 4일에 미야자와 기이치 내각 당시 고노 요헤이 내각관방장관이 1년 8개월 동안의 조사를 걸쳐 발표한,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된 담화이다.

2023년 담화 발표 30주년을 맞이했다.


2. 상세[편집]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있어서 강제성 뿐만 아니라, 관헌(官憲) 즉 일본군이 직간접적으로 관여하였다는 점을 인정한 일본 정부의 첫 담화이기에 그 중요성이 큰 담화이다. 다만 당시 미야자와 총리가 아닌 내각관방장관이 발표해[1] 무게감이 좀 떨어졌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자민당을 비롯한[2] 좌우 집권 정당들이 꾸준히 계승한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이란 점은 분명히 평가할만하다. 즉, 일단은 일본 정부도 많은 일본군 위안부가 강압적으로 모집되었다는 것과 당시 군이 그에 개입하였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일본 우익 인사들은 이를 극렬 부인하고 있고, 이들의 지지를 받고 있는 아베 신조 총리가 고노 담화의 내용과 모순되는 발언을 일부하기도 했지만 고노 담화는 현재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역대 정부의 공식 입장으로 줄곧 계승되어 왔고 이는 현재의 기시다 후미오 내각 또한 그렇다.[3][4]

일본내 우익 인사들의 고노 담화 폐지론 및 수정론에 고노 전 장관은 2012년 10월에 경고성 발언을 한 적이 있다.# 하지만 2014년 2월 20일,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이 국회에서 위안부 강제 연행 증거 미발견을 주장하며 고노 담화 수정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런데 뜬금없이 2014년 3월 16일엔 아베 신조 총리가 직접 고노 담화를 인정한다는 발언을 했다.# 미국의 압박에 못 이겨 성의 표시를 한 것이란 분석도 있지만 어쨌든 틈만 나면 고노 담화 흔들기를 시도해온 아베가 우익들의 기대와 다른 발언을 한 것이었다.

2014년 3월 리처드 아미티지 전 미 국무부 부장관은 위안부 문제에서 일본은 한국을 이길 수 없으며, 고노 담화를 수정하는 것은 피해자에게 무례한 행위라고 비판하였다.#[5] 일본 내에서도 고노 담화 수정에 반발하는 인사들이 정권을 비판하였다.#

허나 결국 2014년 6월 고노 담화 검증팀은 본인들에게 불리한 부분은 빼고 유리한 부분은 내세우며 군에 의한 위안부 강제 동원은 확인할 수 없었다는 식의 결론을 내놓게 된다. 고노 담화 역시 한일간에 문안조정이 있었다며, 즉 양국 사이의 정치적 타협에 의해 나온 결과물일 수도 있다는 식으로도 잘못 해석될 수 있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대해 하토야마 유키오 전 총리는 아베 내각이 역사를 직시해야 된다며 비판했다.#

이후 내각총리대신의 입장 발표가 이뤄졌는데, 아베 신조 총리는 앞선 조사단의 결과를 수용해 고노 담화에 한일 양 국가의 이면 협의가 있었을 가능성을 인정하며 정통성에 문제 제기를 하면서도 결과적으로 고노 담화를 폐기하지는 않았다. 이에 대해서는 몇몇 해석이 존재했는데 아베 총리가 고노 담화의 재조사를 요구하는 우익 지지층 세력을 달래고 지지를 확고히 하기 위해 고노 담화의 정통성을 문제삼으면서도 위안부 문제에 대해 진정성을 유지할 것을 요구하는 일본 국민, 지식인들의 시선과 이 문제에 관한 국제사회의 비판 여론을 무시할 순 없기에 눈치를 봤다는 것이다.

또 한일 양국 관계의 심각한 훼손 역시 바라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 양국 사이에 이면 협의의 가능성은 있지만 그렇다손 치더라도 담화의 내용이나 법적 효력에는 문제가 없으므로 내각 차원에선 이 담화를 일본국 정부의 공식 입장으로 계승하겠다는 결론을 냈다는 식이다. 즉, 대내외적인 눈치가 보이니 정부차원에서는 고노담화를 계승한다라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양국 정부간의 협의에 의한 담화일 뿐이었음을 공언한 것. 실제로 고노 담화 검증의 핵심인물인 스가 요시히데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포함한 역사 연구와 평가는 "전문가들의 손에 맡기겠다"고 말했다. 이런 애매한 위치 잡기는 당시 한일 관계에 대형 악재로 작용했으며, 위안부의 탈/불법성 자체를 부정하는 일본 우익들에게도 그닥 만족스럽진 못한 반응을 얻는 등 이도저도 아닌 행보가 되었다는 분석도 있지만, 어찌됐든 그동안 일본정부차원에서의 위안부에 대한 '사실검증'이 아니라 단순히 '외교적 협의'에 의한 담화였음을 공표한 것. 특히 이번 고노 담화 검증으로 고노 담화일본 스스로 그 진정성에 심각한 훼손을 한 것으로 담화 내용에 반하는 여러 사안들, 군의 직접적인 관여 증거가 없다거나 강제성이 없었다는 식의 주장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위안부를 부정하는 쪽에서는 기꺼운 결과였음은 부정할 수 없다. 게다가 차후 전문가들의 연구와 해석을 통해 얼마든지 뒤바뀔 수 있다는 여지를 남긴 것.

3. 기타[편집]


해당 담화에는 위안부 강제동원 사실 인정과 사죄는 담고 있지만 배상에 대한 언급은 딱히 없는데, 사실 일본정부는 위안부 문제를 포함한 한일 과거사 문제에 대해 1965년 한일기본조약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입장을 줄곧 유지해왔다.[6] 하지만 1965년 당시에는 위안부 문제가 잘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직접적인 방법은 아니지만 일본 정부를 포함한 여러 단체가 출자하여 아시아여성기금을 설립하고 여기서 조성된 기금으로 보상금[7]이라는 명목으로 간접적으로 배상하게 된다. 다만 이때 수령받은 할머니들을 제외한 상당수 위안부 할머니들은 보상금 수령을 거부했는데,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등에선 일본 정부의 직접 배상이 아니므로 받을 수 없다고 했다.

국내 일부 블로그 글이나 동영상 등에선 고노 담화에 대해 이야기하면서도 일본은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 사과한 적이 없다고 주장하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고노 담화의 내용을 읽어보면 알 수 있듯이 해당 담화에는 사과가 포함됐다. 다만 상기된 아베 내각의 조사 활동처럼 고노 담화를 훼손, 부정하려는 시도가 있기 때문에 일본 정부의 사과에 진정성이 없으니 애초에 사과를 한 적이 없다는 주장 혹은 애초에 이런 사과에 대해서는 아예 알지 못하고 일본이 사과를 한 적이 없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 위안부 문제와는 별개지만 평화주의자로 알려진 아키히토 상황처럼 한국 내에서도 착실히 사과하고 있다고 언론에서 평가받는 인물들이 있는 것을 볼 때, 마냥 한국이 반일 국가라서 사과하는데도 전혀 인정하지 않는다는 일부 일본 우익들의 주장은 실제와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다양한 주장과 반박을 접해보고 싶은 사람들은 2019년 영화 주전장을 참고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사실 한일 양국이 서로 싸우긴 하는데, 정작 왜 싸우는지는 모르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다. 심지어 영화에도 나오지만 일본 젊은이들은 위안부 문제 자체에 대해서 모르는 경우도 많다. 이는 일본의 역사 교과서에서 한일 문제의 원인에 대한 한국 측의 시선을 개괄적으로 배우고, 일본 제국에 의해 조선 등에 대해 강압적 통치가 이뤄졌음을 배우기는 하지만, 위안부 관련 서술의 경우 아베 내각 들어 일부 서술에 문제가 있다는 핑계 혹은 구실로 관련 내용이 축소되거나 누락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일본을 포함한 옛 식민 제국들의 교육 과정이 피식민 국가들의 피해 사실이나 감정에 대해 크게 관심을 두고 구성되지 않는다는 점이나, 일본 젊은이들의 과거사나 국제 문제 자체에 대한 무관심도 원인이다.[8]


4. 전문[편집]


2014년 6월 20일 연합뉴스 기사의 번역본[9][10], 일본어 원문, 공식 영어 번역본.

||<table width=100%><#fff><:> 위안부 관계 조사 결과 발표에 관한
고노 내각관방장관 담화
||

1993년 8월 4일

이른바 종군위안부 문제에 관해서 정부는 재작년 12월부터 조사를 진행해왔으나 이번에 그 결과가 정리됐으므로 발표하기로 했다.

이번 조사 결과 장기간, 그리고 광범위한 지역에 위안소가 설치돼 수많은 위안부가 존재했다는 것이 인정됐다. 위안소는 당시의 군 당국의 요청에 따라 마련된 것이며 위안소의 설치, 관리 및 위안부의 이송에 관해서는 옛 일본군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에 관여했다.

위안부의 모집에 관해서는 군의 요청을 받은 업자가 주로 이를 맡았으나 그런 경우에도 감언(甘言), 강압에 의하는 등 본인들의 의사에 반해 모집된 사례가 많았으며 더욱이 관헌(官憲) 등이 직접 이에 가담한 적도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 위안소에서의 생활은 강제적인 상황하의 참혹한 것이었다.

또한 전지(戰地)에 이송된 위안부의 출신지에 관해서는 일본을 별도로 하면 한반도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당시의 한반도는 우리 나라의 통치 아래에 있어 그 모집, 이송, 관리 등도 감언, 강압에 의하는 등 대체로 본인들의 의사에 반해 행해졌다.

어쨌거나 본 건은 당시 군의 관여 아래 다수 여성의 명예와 존엄에 깊은 상처를 입힌 문제다.[11]

정부는 이번 기회에 다시 한번 그 출신지가 어디인지를 불문하고 이른바 종군위안부로서 많은 고통을 겪고 몸과 마음에 치유하기 어려운 상처를 입은 모든 분에 대해 마음으로부터 사과와 반성의 뜻을 밝힌다. 또 그런 마음을 우리 나라로서 어떻게 나타낼 것인지에 관해서는 식견 있는 분들의 의견 등도 구하면서 앞으로도 진지하게 검토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이런 역사의 진실을 회피하는 일이 없이 오히려 이를 역사의 교훈으로 직시해 가고 싶다. 우리는 역사 연구, 역사 교육을 통해 이런 문제를 오래도록 기억하고 같은 잘못을 절대 반복하지 않겠다는 굳은 결의를 다시 한번 표명한다.

덧붙여 말하면 본 문제에 관해서는 우리 나라에서 소송이 제기돼 있고 또 국제적인 관심도 받고 있으며 정부로서도 앞으로도 민간의 연구를 포함해 충분히 관심을 기울이고자 한다.


安婦関係調査結果発表に関する 河野内閣官房長官談話

平成 5年 8月 4日

いわゆる従軍慰安婦問題については、政府は、一昨年12月より、調査を進めて来たが、今般その結果がまとまったので発表することとした。  今次調査の結果、長期に、かつ広範な地域にわたって慰安所が設置され、数多くの慰安婦が存在したことが認められた。慰安所は、当時の軍当局の要請により設営されたものであり、慰安所の設置、管理及び慰安婦の移送については、旧日本軍が直接あるいは間接にこれに関与した。慰安婦の募集については、軍の要請を受けた業者が主としてこれに当たったが、その場合も、甘言、強圧による等、本人たちの意思に反して集められた事例が数多くあり、更に、官憲等が直接これに加担したこともあった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また、慰安所における生活は、強制的な状況の下での痛ましいものであった。  なお、戦地に移送された慰安婦の出身地については、日本を別とすれば、朝鮮半島が大きな比重を占めていたが、当時の朝鮮半島は我が国の統治下にあり、その募集、移送、管理等も、甘言、強圧による等、総じて本人たちの意思に反して行われた。  いずれにしても、本件は、当時の軍の関与の下に、多数の女性の名誉と尊厳を深く傷つけた問題である。政府は、この機会に、改めて、その出身地のいかんを問わず、いわゆる従軍慰安婦として数多の苦痛を経験され、心身にわたり癒しがたい傷を負われたすべての方々に対し心からお詫びと反省の気持ちを申し上げる。また、そのような気持ちを我が国としてどのように表すかということについては、有識者のご意見なども徴しつつ、今後とも真剣に検討すべきものと考える。  われわれはこのような歴史の真実を回避することなく、むしろこれを歴史の教訓として直視していきたい。われわれは、歴史研究、歴史教育を通じて、このような問題を永く記憶にとどめ、同じ過ちを決して繰り返さないという固い決意を改めて表明する。

なお、本問題については、本邦において訴訟が提起されており、また、国際的にも関心が寄せられており、政府としても、今後とも、民間の研究を含め、十分に関心を払って参りたい。


Statement by the Chief Cabinet Secretary Yohei Kono on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issue of "comfort women"

August 4, 1993

The Government of Japan has been conducting a study on the issue of wartime "comfort women" since December 1991. I wish to announce the findings as a result of that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which indicates that comfort stations were operated in extensive areas for long periods, it is apparent that there existed a great number of comfort women. Comfort stations were operat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military authorities of the day. The then Japanese military was, directly or indirectly,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comfort stations and the transfer of comfort women. The recruitment of the comfort women was conducted mainly by private recruiters who act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military. The Government study has revealed that in many cases they were recruited against their own will, through coaxing, coercion, etc., and that, at times, administrative/military personnel directly took part in the recruitments. They lived in misery at comfort stations under a coercive atmosphere.

As to the origin of those comfort women who were transferred to the war areas, excluding those from Japan, those from the Korean Peninsula accounted for a large part. The Korean Peninsula was under Japanese rule in those days, and their recruitment, transfer, control, etc., were conducted generally against their will, through coaxing, coercion, etc.

Undeniably, this was an act, with the involvement of the military authorities of the day, that severely injured the honor and dignity of many women. The Government of Japan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once again to extend its sincere apologies and remorse to all those, irrespective of place of origin, who suffered immeasurable pain and incurable physical and psychological wounds as comfort women.

It is incumbent upon us, the Government of Japan, to continue to consider seriously, while listening to the views of learned circles, how best we can express this sentiment.

We shall face squarely the historical facts as described above instead of evading them, and take them to heart as lessons of history. We hereby reiterate our firm determination never to repeat the same mistake by forever engraving such issues in our memories through the study and teaching of history.

As actions have been brought to court in Japan and interests have been shown in this issue outside Japan, the Government of Japan shall continue to pay full attention to this matter, including private researched related thereto.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8:11:48에 나무위키 고노 담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에는 부총리가 없었으므로 관방장관이 No. 2 정도 됐다. 사실 일본에서 부총리의 정의 자체가 '관방장관이 아닌 총리 권한대행 서열 1위 국무대신'인지라, 바꿔 말하면 부총리가 따로 없는 일본 내각에서 부총리는 곧 관방장관이라는 소리다. 실제로도 부총리가 없는 내각에서 총리 권한대행 서열 1위는 항상 관방장관이다. 아베 내각과 스가 내각에서 아소 다로가 부총리로 불린 이유도 아소는 관방장관이 아닌 신분으로 서열 1위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후 기시다 내각에서는 다시 관방장관이 1위가 되어 기시다 내각은 부총리라는 이름을 별도로 쓰지 않는다.[2] 애초 고노 요헤이 내각관방장관부터가 자민당 출신이다.[3] '담화'는 내각 차원의 정식 결의이며, 담화를 폐지하려면 또 다른 내각 차원의 결의가 필요하다. 이런 류의 발언은 설사 그 인물이 총리나 국회의원이라고 해도 (물론 우익 정치가들의 움직임은 경계해야 하지만) 일단은 '개인의 발언'이므로 정부의 담화를 취소하는 효력은 없다.[4] 2023년 한일정상회담에서도 언급된 바 있다.[5] 사실 미국은 아베 신조 정권이 야스쿠니 신사 참배 등 계속된 우익 행보를 보이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중국을 지나치게 자극하고 있는 데다가, 한국과의 공조도 불가능한 상황이 되었고 나아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세계질서에도 도전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6] 다만 2018년 말, 강제징용공 관련해 개인청구권이 소멸되지 않았다는 한국 대법원 판결이 나오자, 일본 의회에서 당시 고노 다로 외무상이 이를 인정하는 발언을 했다. 다만 개인청구권이 소멸되진 않았지만 한일기본조약으로 해결되었다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이에 대해 반대측은 한일기본조약은 정부의 외교보호권(국가청구권)만 상실한 것일 뿐 개인청구권과는 상관이 없으며, 보상과 배상은 엄연히 다른 개념이라고 반발했다.[7] 償い金(쓰구나이킨): 보상금, 속죄금으로 번역된다.[8] 즉, 학교 교육 과정에서 가르치기는 하나, 배우는 학생 입장에서는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실제로 교과서 서술 수정 이전에 역사 교과를 이수한 일본 학생들도 관심있게 본게 아니라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인식은 이후 세대나 이전 세대보다 뚜렷이 다르다고 하기는 어렵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서술 자체를 누락하는 것을 정당화할 수는 없다.[9] 다음은 1993년 8월 4일 발표된 고노(河野)담화 전문을 번역한 것이다. 담화에 등장하는 '정부'는 일본 정부, '우리 나라'는 일본을 의미한다. 고노담화는 일본군 위안부를 '이른바 종군(從軍)위안부'라고 표현했다. 일본에서는 이런 표현이 지금도 주로 사용된다. 군대를 따라간다는 의미의 '종군'이 피해자가 자발적으로 위안부가 됐다는 잘못된 인식을 심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이제 '종군 위안부'라는 용어를 거의 쓰지 않는다. 대신 일본군이 위안부 문제에 깊게 관여하거나 혹은 주도했다는 의미를 분명하게 하려고 '일본군 위안부'로 표기하고 줄여서 '군 위안부'라고도 쓰기도 한다. 일본의 역사적 인식이 반영된 원문을 전하는 차원에서 '이른바 종군 위안부'라는 표현을 '일본군 위안부'로 바꾸지는 않았다.[10] '우리 나라'가 아니라 '우리나라'라고 붙여 쓰면 제3의 의미를 지닌 합성어가 되어 '대한민국'만 뜻하게 된다. 여기서는 문자 그대로 '우리(의) 나라', 즉 '일본'을 의미하는 구(句)에 해당하므로 띄어 써야 한다.[11] 여담으로, 일부 일본 우익들은 위안부 문제는 업자들의 문제이지 일본 군부의 문제는 아니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해당 담화에서도 직간접적 일본 군부의 관여와 책임은 명시하고 있다. 애초에 위안부 문제의 발단이 되는 전쟁이 왜 일어났는지 생각해보면 전제부터가 어리석은 논쟁이다.